국립현대미술관 MMCA
이승조 _ 도열하는 기둥 | 3CH 아카이브
2020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이승조 _ 도열하는 기둥 | 3CH 아카이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이승조_도열하는 기둥
학예연구사 | 이단지
2020.06.18 – 10.4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Gwacheon)
Lee Seungjio _ Advancing Columns
Curator | Lee Danji
Advancing Colums_Lee Seungjio
2020.06.18 – 10.4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아카이브 자료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자료구성 및 정리: 이미지, 안재영, 박지호
편집: 이미지, 안재영
목소리: 박지호

작업 소개

전쟁을 직접 경험한 이승조 작가의 초기 작품부터 파이프 형상이 서서히 사라져가는 말년의 작품까지 그의 일생을 주변인들의 나레이션과 사진 자료로 구성한 3채널 영상으로 전시하였습니다. 이승조 작가는 ‘핵’이라는 하나의 세계를 조형적으로 탐구하며 철저함과 정확함, 속도감과 긴장감, 반복성이 돋보이는 옵아트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잔잔한 파동감이 느껴지는 파이프(처럼 보이는 형태)는 작가가 말한 ‘현대 문명의 문제점’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한 결과물로, 그의 독창적인 시선을 주변인들의 인터뷰와 함께 영상에 담아냈습니다.

The exhibition showcased a three-channel video featuring the life of artist Lee Seungjo, spanning from his early works influenced by his direct experience of war to his later pieces, where the pipe forms gradually fade. The narrative is interwoven with accounts from people close to him and archival photos. Lee Seungjo rigorously explored the theme of a singular “nucleus,” presenting Op Art works marked by precision, speed, tension, and repetition. The pipe-like shapes, with their subtle undulations, sensuously embody what he referred to as the “problems of modern civilization.” His unique perspective is captured through interviews with those who knew him, bringing his vision to life in the video.

이승조 (1941-1990)는 새로운 미래에 대한 열망이 충만했던 1960년대에 아방가르드 세대로 등장하며 한국의 기하추상을 진취적으로 이끌었다. 작고 30주기에 열리는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은 그가 마주했던 시대와의 관계 안에서 탄생한 작품 90여 점과 창립동인으로 활동했던 전위적인 그룹 ‘오리진(Origin)’, ‘한국 아방가르드 협회(AG)’에 관한 아카이브들을 소개한다.

1960년대부터 1990년까지 이승조는‘파이프’를 연상시키는 원통 단위의 조형 언어를 제시하고 한국 추상회화에서 매우 보기 드문 기계 미학적 회화를 일구어낸다. 1968년부터 1971년까지 보수적인 《국전》에서 연이어 수상하였고 추상회화의 입상이 드물었던 당시 파란을 일으켰다. 현상학 이론, 개념미술, 미니멀리즘 등 외부에서 유입된 현대미술의 흐름과 70년대 중반 이후 단색화와의 개념적 연계성을 가지면서도 스스로 개척한 ‘핵 (核, Nucleus)’의 고유성을 놓지 않았다.

구축과 전진을 은유하는 ‘도열하는 기둥(Advancing Columns)’은 개척자로서의 이승조에 대한 새로운 맥락 읽기를 제안한다. 1982년 기차여행을 언급한 이승조의 인터뷰를 오마주하고 있는 이번 전시 제목은 작품의 시각성을 넘어,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던 시공간에 대한 기저를 드러내고자 한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었던 1960~70년대에 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제철소와 아파트가 준공되며 인류가 지구 밖으로 쏘아올린 우주선의 발사를 이승조는 신체적 실재로서 목격한다. 기차 창밖의 스쳐가는 풍경들이 속도에 의해 빛으로 소급되는 순간에 대한 언급은 미래의 시간으로 향하는 속도에 대한 감각화인 것이다. 작가는 예술 환경의 변화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가시적인 재현으로써 회화에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광활한 시간의 개념으로 옮겨 놓았다. 이승조가 평생에 걸쳐 집중했던 ‘핵’은 말 그대로 궁극적 종착지인 회화의 최전방(Avant-garde)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소개글

Installation View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 3CH 아카이브 영상, 12분 52초

이승조는 1941년 3월 18일 평안북도 용천에서 태어났다. 해방 후 1947년 국민학교를 입학하던 해의 겨울, 가족들과 남하하였다. 한국전쟁 후 부산 피란을 거쳐 서울에 정착한다. 오산 중학교 미술반에서 그림공부를 시작했다.

이승조는 철저하게 자기 고뇌고, 자기 분석이고, 자기 나름대로의 세계를 구축했다고 봐요.
Lee Seung Jio’s work is purely from his own agony and self-analysis, and he built his own world on his own.

-작가 심문섭

이승조 작가의 특징은 테이프와 평 붓이었습니다. 그것은 테크닉상의 굉장히 독창적인 발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Lee Seung Jio were the tape and the flat brush. It was a very unique discovery in terms of technique.)

-작가 이일(뉴욕)

도시적이고 기계적이라기 보다 말 그대로 회화의 아방가르드는 무엇인가 그것이 역점이었습니다.
Rather than the urban and the mechanical, what is the avant-garde in painting literally, that’s what was emphasized.

– 송번수

오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0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하고 대학생이 된지 한 달 만에 부정선거와 독재에 반발한 민주화 혁명 4.19가 터진다. 사회 정치적으로도 쇄신을 열망하던 같은 시기에, 미술계 역시 실험적인 아방가르드 세대들이 등장했다. 국전과 아카데미즘, 앵포르맬 등 기존 제도의 무기력함에 반하여 이승조는, 1962년 홍익대학교 동급생이었던 최명영, 서승원, 권영우, 김수익 등과 함께 전위그룹을 결성한다. 이들이 만든 그룹 그룹 『오리진(Origin, 1962~)』은 주관적인 감정이나 서사가 개입되지 않은 순수한 회화로의 환원을 주장한다.

오리진은 순수하고 근원적인 조형언어로 환원을 주장하면서 앵포르멜에 대한 청산을 시도한 거에요.
Origin tried to do away with Art Informel by arguing for the reduction into a pure and original formative language.

-작가 이일(뉴욕)

이번 전시 <도열하는 기둥>에 출품된 모든 작품들의 제목은 핵(核/Nucleus)으로 동일하다. 1967년 청년작가 연립전에 출품한 작품을 시작으로 이승조는 이 개념을 평생의 회화적 주제로 삼는다. 그는 20년 가까이 ‘핵’ 연작에 천착했던 이유에 대해 “아폴로 우주선 발사로 새롭게 우주의 공간의식에 눈뜨고부터 시작한 이 작업이 작가인 내가 살고 있는 시대를 표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것 같아 끊임없이 하고 있습니다.”라고 대답한다.

요지부동할 수 없는 큰 울림이 잔잔한 것이 아니면서 싱겁지 않게 빛과 더불어 파동감이 야단을 친다 말이죠.
There is an unyielding great resonance, not a subtle one. And along with light, a sense of wave builds a commotion so that it’s not just bland.

– 작가 심문섭

이승조에게 ‘아이디어의 원천을 어디로 두고 있니?’’ 물었더니 ‘현대문명의 어떠한 문제점들’ 이라 답했다
When I asked (Lee Seung Jio), ‘where is the source of your ideas?’ and he answered, the modern civilization, certain problems of the modern civilization.

– 송번수

“나를 ‘파이프 筒의 화가’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별로 원치도 싫지도 않은 부름이다. 구체적인 대상의 모티프를 전제하지 않은 반복의 행위에서 오는 착시적(錯視的)인 물체성을 드러냄의 이름일 것이다. 물론 현대 문명의 한 상징체로서 등장시킨 것은 더구나 아니다.”

근본적인 파이프에서 탈출은 못했죠. 말년의 검은 작품을 보면 파이프가 많이 지워져 있죠. 물질의 세계를 완전히 극복하고 무(無)에 이르는 실험. 그 또한 열려있는 세계로의 실천입니다.
He never fundamentally escaped from the pipes.: In the black paintings of his later years, the pipes are almost erased. It’s an experiment of overcoming the material world completely and reaching nothingness. This is also a practice toward the open world.)

– 작가 송번수 , 오광수

Commissioned Work


* 이 영상은 57STUDIO 웹사이트 내에서만 재생 가능합니다.
* This video can only be played on the 57STUDIO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