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움미술관 LEEUM
인간, 일곱 개의 질문 - [Questions] 홍석욱 과학기술자
2021
Client 리움미술관 LEEUM
Project 인간, 일곱 개의 질문 - [Questions] 홍석욱 과학기술자

리움미술관
인간, 일곱 개의 질문 – “인간이란 무엇인가?”
‘질문들’ 인터뷰 시리즈
홍성욱 (과학기술학자)
2021

LEEUM
Human, 7 question – “What is Human?”
‘Questions’ Interview series
Hong Sungook (Scholar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2021

크레딧 보기

기획 | 리움미술관
김태연 책임연구원 (Education and Public Programs)

구성 및 편집 | 57STUDIO

촬영팀| 정재하, 김태우, 양용진
/ 엄준호, 이규연, 강원모

드로잉 | cucurucu
번역 | Ben Jackson

작업 소개

두 번째 인터뷰에서는 과학기술학자 홍성욱 교수의 통찰을 다룹니다. 홍성욱 교수는 인간이 이제 엄청난 속도의 기술 발전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야 할지 깊이 고민해야 할 시점에 직면했다고 말합니다. 그는 또한 인간이 자연, 환경, 동물, 기술 등 다양한 존재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 포스트휴머니즘의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감수성을 바탕으로 《인간, 일곱 개의 질문》 전시를 관람할 것을 권장합니다.

The second interview features insights from Professor Hong Sung-wook, a scholar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Professor Hong emphasizes that humanity is now at a critical juncture, where we must deeply consider how to guide the rapid pac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He also highlights that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humans with nature, the environment, animals, and technology is central to posthumanism. Based on this sensitivity, he encourages viewers to explore the Human, Seven Questions exhibition.

프로젝트 내용

《인간, 일곱 개의 질문》展과 연계한 6개의 인터뷰 시리즈.
인간이란 무엇인지, 코로나 팬데믹과 인류세를 마주한 인간이 스스로에게 던져봐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국내외 석학과 참여 작가들에게 묻고 그들의 통찰을 들어본다.

출처 : 리움미술관

인간을 연결된 존재로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거 같아요.
나는 혹은 인간은 연결되면서 만들어지는 혹은 연결되면서 그 존재가 등장하는.
나는 자연과 연결이 되어 있는 존재, 너와 연결이 되어 있는 그런 존재, 동물과 연결되어 있는 존재 ,기술과 연결되어 있는 그런 존재

– 과학기술학자 홍성욱

지금 인간이 스스로에게 던져 봐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은?

제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질문은 우리가 기술 발전에 속도를 얼마큼 따라가고 있나를 자문을 해봐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하나의 예를 들어 보면 인간은 원자 에너지를 사용하잖아요. 그래서 원자 에너지를 가지고
핵발전소도 짓고 원자폭탄으로 만들었는데 그 엄청난 파괴력을 가진 에너지를 이용하면서 도덕적으로, 윤리적으로는 아직도 어린아이의 마음을 가지고 있는 상태라는 거죠. 인간이 작동할 수 있는 힘의 영역과 그것을 컨트롤하거나 이해하거나 그것에 대해서 성찰할 수 있는 어떤 정신의 영역 이것 사이의 간극이 너무 벌어져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What is the most important question humans must ask themselves today?

In my view, the most important question that we must ask ourselves is: How well are we keeping up with the pa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ll give an example:
Humans use atomic energy. We use it in our nuclear power plants and our nuclear weapons. But even as we use this energy, with its enormous destructive power, our moral and ethical attitudes towards it are still at the level of a small child. Perhaps the gulf has grown too wide between the realm of power that humans can apply and the mental realm in which they can control, understand and reflect upon that power.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문을 우리에게 던져야 하는데 우리 스스로 던져야 하는데 우리는 아직도 인간이 무엇이냐 인간에게만 너무 몰입한다는 거죠. 이 강력한 과학 기술을 가지고 우리 인간은, 우리 사회는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인가, 이것을 자본주의적인 어떤 쾌락이나 욕망이나 이런 것들을 해소하기만 하는 방향으로 우리가 기술발전을 이끌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조금 더 인간 본연의 어떤 자아나 성찰이나 이런 것들을 찾고 추구하는 방식으로 기술 발전을 이끌어야 할 것인가 하는 것들을 심사숙고 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We need to ask ourselves several questions when it comes to developments in contemporary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till too absorbed by humans alone, and by the question of what “human” means. I believe it’s now time for us to think long and hard about what direction humans and society should take with the powerful technology we possess. Should we use this power to try and sate capitalistic and hedonist desires? Or should we channel it towards finding and pursuing more natural human attributes like the ego and self-reflection? I think the time has come to consider these questions very carefully.

이제 인간은 어떻게 정의되어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발걸음이 저는 인간을 연결된 존재로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거 같아요. 일단 우리 자신을, 나라는 인간을 독립된 개체가 아니라 연결된 존재 다른 말로 하자면 나는 혹은 인간은 연결되면서 만들어지는 혹은 연결되면서 그 존재가 등장하는, 나는 자연과 연결이 되어 있는 존재, 너와 연결이 되어 있는 그런 존재, 동물과 연결되어 있는 존재, 기술과 연결되어 있는 그런 존재, 내가 따로 있고 이런 외부 대상이 나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나와 이 대상들이 연결되면서 나라는 존재가 더 성숙해지고 나란 존재가 비로소 내 의식을 가진 인간으로서 만들어지는 그런 존재라고 이해를 하는 것이죠. 연결된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해 그 연결은 다른 인간들만이 아니라 무생물 같은 자연, 환경 혹은 동물, 기술 기술 이런 것들과 다 내가 연결돼 있고 그 연결이 나를 구성하고 나의 본질을 만들어 내고 또 나를 풍성하게 할 수도 있고 어떤 경우는 ‘나를 갉아 먹을 수도 있는 그런 것들이다’ 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지금 여러 가지 문제를 우리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첫 번째 발걸음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How can we define “humans” today?

To me, the first step must be understanding humans as connected beings. Thi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of all. The “I” or the “self” of a human is not an independent entity but a connected being. To put it another way: I am, or a person is, created through connections. My existence emerges through connections. I am a being connected to nature. A being connected to you. A being connected to animals. A being connected to technology. I am not separate or independent from external objects but connected to them. Once I become connected to these things, I understand them as beings that help me to mature and make me into a being that is conscious of its own existence. Humans as connected beings are linked not only to other humans but to inanimate objects, nature, the environment, animals and technology. All of these things are connected to me. These connections form me, create my essence, and can make me a richer person. In some cases, I think understanding that these things can also eat away at you can be the very first step toward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that we face.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머니즘엔 익숙하지만 포스트휴머니즘은 낯설 것 같습니다. 어떤 점을 염두에 두고 전시를 보면 좋을까요?

저는 일단 예술이 포스트 휴머니즘 감수성을 사람들에게 고양 시키는데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요. 그런 점에서 이 전시를 굉장히 반갑게 생각하고 높게 평가를 합니다. 전시를 보시면서 좀 고민해야 될 부분은 이렇다고 생각을 해요. 인간이 무엇이냐라는 것부터 시작했는데 휴머니즘은 인간이 가진 어떤 고유한 본질이나 권리나 이런 것들을 강조했던 그런 사상입니다. 휴머니즘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그게 굉장히 그 해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죠. 왜냐면 인간은 무엇인가에 항상 종속되어 있는 그런 존재였는데 휴머니즘은 그런 종속으로부터 인간을 풀어내려는 노력이었거든요. 어떻게 보면 인간을 해방시켰던 사상이었는데 인간만을 너무 강조를 하다 보니까 마치 인간은 내 주변에 것들 없이도 살 수 있는 것처럼 혹은 내 주변의 것들을 내 마음대로 이용을 하면서 심지어는 착취해 가면서도 얼마든지 살아가도 괜찮은 것처럼 인간의 그런 권리와 자유 이런 것들이 조금 절대화 됐던 조금 그런 경향이 없잖아 있었거든요.

It seems most people would be familiar with humanism but not with post-humanism. What would you like them to keep in mind as they view the exhibition?
Firstly, I think art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people’s post-humanist sensibility. In that sense, I am very glad to see this exhibition and I rate it very highly. I think this is what people need to consider as they view the exhibition. Humanism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at humans are. As a system of thought, it emphasizes the unique nature and rights of humans. When humanism first appeared, it was very liberating in character. Because human beings had always been subordinated to something. Humanism tried to free humans from that subordination. You could see it as the thought system that liberated humans. But putting so much emphasis on humans led to a tendency to see them as beings that could exist in complete independence and isolation from the things around them. Or that they could use the things around them however they liked, or even that it was all right to exploit those things. We have developed a tendency to hold these ideas as absolute convictions.

그것을 우리가 극복해 보자 그런 문제들을 한번 지적을 해 보고 그 문제들을 넘어서 보자라고 제시됐던 사상이 포스트 휴머니즘이라고 생각합니다. 휴머니즘 그 이후 혹은 휴머니즘을 포스트, 탈(脫), 넘어서 넘어서는 여러 가지 생각들 그것의 핵심은 나를 다른 존재들과 연결된 존재로 파악을 하자는 감수성이 포스트휴머니즘의 핵심이다 하는 점을 염두에 두시고 전시를 관람 하시면 아마 이 전시에 나오는 여러 작품들을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Post-humanism is a thought system that was put forward in order to overcome those problems to point them out, and to move beyond them. I think viewers will understand the works in this exhibition much better if they keep in mind that post-humanism is a thought system developed after humanism, to escape humanism and move beyond it, and that at the heart of post-humanism is the conception of oneself as a being connected to other beings. Holding that thought as you view the exhibition should really help you to understand it b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