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 아시아예술극장 개관페스티벌 | 컨템포러리 토크 : 오카다 토시키X마티아스 릴리엔탈
2015
Client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Project ✍️ 아시아예술극장 개관페스티벌 | 컨템포러리 토크 : 오카다 토시키X마티아스 릴리엔탈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아시아예술극장 개관페스티벌 ‘컨템포러리 토크’
오카다 토시키X마티아스 릴리엔탈
2015.1.24-7.25

Asia Culture Center
Asian Arts Theatre ‘Contemporary Talk’
Okada Toshiki X Matthias Lilienthal
2015.1.24-7.25

크레딧 보기

크레딧

기획 : 아시아예술극장, 두산아트센터
장소 :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구성/편집 : 57STUDIO

작업 소개

‘아시아’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오늘에 대해 이야기하는 관점과 태도를 탐구하는 아시아예술극장은 이 질문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모아 국가와 문화를 초월한 소통을 도모하였습니다. 개관 페스티벌은 이러한 비전과 방향성을 집약하는 축제로, ‘아시아 동시대 예술’을 새롭게 정의하는 꾸준히 갱신되는 대화의 장입니다.

개관 페스티벌의 사전 프로그램으로, 서울 두산아트센터와 공동 주관한 컨템포러리 토크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 행사는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아티스트, 평론가, 기획자들이 모여 현재의 아시아, 예술, 문화, 사회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자리입니다.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유의미한 대화가 남아 있는 소중한 아카이브로, 57STUDIO는 이 토크의 하이라이트 영상 기획과 편집을 진행하였습니다.

The Asia Arts Theater, which explores what ‘Asia’ means today and the perspectives and attitudes towards discussing the presen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se questions and fostered communication that transcends nations and cultures by bringing together diverse voices. The opening festival is a celebration that encapsulates this vision and direction, serving as an ever-evolving forum that redefines ‘contemporary Asian art.’

As a preliminary program for the opening festival, we co-hosted a contemporary talk event with the Doosan Art Center in Seoul. This event was a gathering where artists, critics, and curators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came together to discuss contemporary issues in Asia, art, culture, and society. The meaningful conversations from this event have been preserved as a valuable archive to this day, and 57STUDIO planned and edited the highlight videos of this talk.

프로젝트 내용

컨템포러리란 무엇인가.
예술가의 동시대성은 무엇인가.

‘컨템포러리 토크’는 동시대 공연예술계를 이끌고 있는 예술가, 프로그래머, 큐레이터의 현재 고민과 비전을 들어보는 무료강연 프로그램이다. 2015년 1월부터 7월까지 한 달에 한 번, 총 7회 진행된다. 영화, 공연, 미술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우리와 함께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예술가들이 지금 이 시간들을 어떻게 보고, 듣고, 생각하고 있는지 들어본다. ‘컨템포러리 토크’에 참여하는 아티스트들의 작품은 2015년 9월 아시아예술극장 개관페스티벌에서 만날 수 있다.


What is Contemporary?
What is the Contemporaneity of an Artist?

Contemporary Talk is a free lecture program where we hear the current concerns and visions of artists, programmers, and curators leading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scene. It runs once a month from January to July 2015, for a total of seven sessions. We listen to how artists, who are active in various fields such as film, performance, and visual arts, and who live in this era with us, see, hear, and think about these times.

The works of the artists participating in Contemporary Talk can be seen at the opening festival of the Asia Arts Theater in September 2015.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홈페이지 강연 소개글

(마티아스 릴리엔탈)
오카다 토시키의 작품에서 배우들의 움직임에 대한 형식적인 표현을 어디서 얻어 왔는지 궁금합니다. 유럽인의 관점에서 ‘3월의 5일’이라는 작품을 처음 봤을 때 굉장히 센세이셔널한 경험이었습니다.

(오카다 토시키)
배우들이 무대 위에서 보여주는 움직임보다는 거리에서 왜 저런 움직임을 하는지 이유를 알 수 없는 일반 사람들의 움직임을 보는 것이 훨씬 재밌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움직임은 제가 썼던 희곡의 텍스트와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제가 쓴 희곡은 소위 말하는 문학적인 텍스트가 아닌 매우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한 텍스트입니다. 일본어 같은 경우에는 문법을 굉장히 해치면서 엉망인 상태로 이야기하는 것이 가능한 언어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그대로 텍스트에 반영했기 때문에 그러한 몸의 움직임과 결합한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티아스 릴리엔탈)
오카다 토시키와 함께 공동제작을 했던 작품이 2014년 5월에 만들어진 ‘슈퍼 프리미엄 소프트 더블 바닐라 리치’라는 작품입니다.

(오카다 토시키)
이 작품은 편의점이 무대가 되는 작품입니다. 편의점을 오가는 인간 군상을 그리고자 한 것인 아니라 편의점이라는 비즈니스의 형태를 보여주고자 한 작품입니다. 노동착취와 같은 시스템을 이야기하고자 만들었기 때문에 이 작품의 주인공은 등장인물이 아닌 편의점 자체입니다.

(마티아스 릴리엔탈)
이 작품 안에서 굉장히 기발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편의점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비를 중심으로 한 비극이 또 다른 형태의 비극을 만들고 있다는 것입니다.

(오카다 토시키)
얼마 전 한국 분과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일본어와 한국어는 ‘높임말’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요. 이 높임말이 소비자와 고객 사이에 상하관계를 만들고 소비의 장을 비극적이며 난폭한 장으로 만드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 작품을 한국 관객이 보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궁금한데요. 그것은 편의점 문화와 고객과 점원의 관계가 언어를 통해서 상하관계로 형성되는 문화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의 공연은 해외의 공연과 다른 의미를 가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마티아스 릴리엔탈)
한국 선수와 일본 선수가 함께 있는 야구단에 대한 작품을 지금 한국에서 제작 중이라고 들었습니다.

(오카다 토시키)
야구는 한국에서도, 일본에서도 굉장히 인기가 있는 스포츠이지만 야구가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는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야구가 한국과 일본에서 큰 인기를 가지고 있는 이유에는 미국이라는 존재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두 나라가 미국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 그 역사적인 결과물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미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우리보다 상위에 있는 미국. 우리들의 배후에 있는 미국. 그리고 우리 내부에 있는 미국에 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최근에 생각한 저의 정체성은 일본 안에 국한되어 있는 내셔널 한 정체성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지역적 정체성을 갖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떤 사회를 바꾸어 나가려는 긍정적인 자세를 취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티아스 릴리엔탈)
사실 제가 굉장히 기대하고 있는데 9월에는 서울이 텅텅 빌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모든 분들이 오카다 토시키의 초연 작품을 보기 위해 광주로 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오늘 참석해 주신 멋진 관객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오카다 토시키 상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