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김지영
2019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김지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김지영 작가의 작업실과 전시 설치 현장에 동행하여 작가의 작업과정을 영상에 담았다.

김지영 작가는 자신의 작품 속에서 사회적인 이슈를 다루는 작가입니다. 주로 다루는 매체는 회화이지만 사운드나 영상, 조각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김지영 작가 작품 속에서는 사회시스템의 붕괴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과 그로 인한 희생자들을 계속해서 기억하게 만들고 우리의 눈앞으로 불러오게 하는 작가입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저는 뜻밖의 사고처럼 벌어지는 사회적 사건의 배면에 위치한 구조적 문제와 그 사건이 돌출된 양상을 통해 개인과 사회적 사건이 맺는 관계에 주목하고 있는 김지영입니다.

My name is Keem, Jiyoung. I’m interested in the structural problems that lie behind the seemingly accidental social events, and how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ividual and such social events are formed through the way such events are highlighted.

<바람>(2015/2019)은 사운드 작업인데 2014년 4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진도 팽목항의 풍속을 토대로 숫자로서의 풍속을 bpm으로 변환해서 소리로 그날의 바람을 가늠할 수 있는 사운드 작업입니다. 그 소리를 전시장에 놓음으로써 전시장 안의 시간 축을 세월호 사건으로 두고 시각적으로는<파랑 연작>(2016-2018)을 공간 안에 둠으로써 세월호 사건이 있기 전까지 우리나라의 한국 근현대사에서 반복되어 온 유사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사건들을 배치해서 역사 안에 켜켜이 쌓인 사건들도 모두 현재로 보이길 바라서 이 두 가지 작업을 놓게 되었습니다.

The sound work Wind (2015/2019) transferred the wind speed at Paengmok Port in Jindo from April 2014 to March 2015 in bpm, turning the wind of that day into sound. With the sound in the gallery space, the time in the space is set to the time when MV Sewol sank. The visual counterpart in the space is Blue Series (2016-2018), which arranges incidents that occurred repeatedly throughou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until the Sewol ferry disaster, due to the similar structural problem in the nation. The two works were put together in the space In the attempt to see the incidents in the layers of history in the light of the present.

<바람>(2015/2019)은 사운드 작업인데 2014년 4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진도 팽목항의 풍속을 토대로 숫자로서의 풍속을 bpm으로 변환해서 소리로 그날의 바람을 가늠할 수 있는 사운드 작업입니다. 그 소리를 전시장에 놓음으로써 전시장 안의 시간 축을 세월호 사건으로 두고 시각적으로는<파랑 연작>(2016-2018)을 공간 안에 둠으로써 세월호 사건이 있기 전까지 우리나라의 한국 근현대사에서 반복되어 온 유사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사건들을 배치해서 역사 안에 켜켜이 쌓인 사건들도 모두 현재로 보이길 바라서 이 두 가지 작업을 놓게 되었습니다.

The sound work Wind (2015/2019) transferred the wind speed at Paengmok Port in Jindo from April 2014 to March 2015 in bpm, turning the wind of that day into sound. With the sound in the gallery space, the time in the space is set to the time when MV Sewol sank. The visual counterpart in the space is Blue Series (2016-2018), which arranges incidents that occurred repeatedly throughou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until the Sewol ferry disaster, due to the similar structural problem in the nation. The two works were put together in the space In the attempt to see the incidents in the layers of history in the light of the present.

그 공간 안에 진행하고 있는 <이 짙은 어둠을 보라>(2019) 라는 작업은 매 순간 그 처참한 비극의 상황 속에서 현실을 마주하기 위해 애쓰고 투쟁했던 사람들의 시간들, 그 순간들을 목도하기 위해 애쓰던 그 시간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줘서 ‘이러한 움직임이 계속 지속되어야 하고, 지속되고 있다’ 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Look at This Unbearable Darkness (2019), a work in progress in the space,is a visual rendering of the times of all those who struggled with reality in the tragic and cruel situation. It’s also declare that gestures in resistance to such reality is still going on, and that it must continue to go on.

‘어떻게 하면 내가 이 세월호 사건을 혹은 세월호 사건 이후 지금의 현실을 마주할 수 있을까?’ 그것을 위한 준비, 시도에 훨씬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작업을 할 때마다 제가 우선 순위로 둔 것이 첫 번째는 ‘내가 작업으로 세월호를 화석화 시켜서는 안 된다. 그리고 두 번째는 ‘내가 작업으로 세상에서 제일 힘든 사람인 것처럼 굴어선 안된다.’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습니다. 미술은 재난이든 어떤 사건이든 간에 그것을 보내는 방식이 아니라 이미 던져진 것을 당겨오는, 현실로 가져오는 방식으로 작동해야 된다고 믿기 때문에 이번 작업들도 보내는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은 그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골똘히 바란다는 것 자체에 대한 상징으로 봐 주시면 더 좋을 거 같습니다.

I asked myself how I can look at the Sewol incident, and the reality today, after this incident. My work is an attempt or preparation for this question. Thus my priorities in working are that first, I shouldn’t fossilize the Sewol disaster, and that second, I should never give the impression that I’m suffering the most through my work I believe art shouldn’t detach itself from disasters or incidents, but bind itself with whatever that’s happened and operate as a way of bringing it into reality. Therefore, while this work also may seem to be thrown out there, I hope for it to be seen as a symbol of intently hoping for something.

제가 생각하는 미술의 역할이라고 해야 될까요? 제가 과거의 사건들을 다시 주목하는 자리를 만들지만 그것을 과거의 사건으로서 마주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사건인 것처럼 보여주어 그것의 현재성을 더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보이게 하고 싶었습니다. 색이라는 것은 시각적인 전달력과 메시지를 품고 있기 때문에 제가 염두에 두는 방향을 강화할 수 있는 색은 파란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파란색은 우리가 흔히 파란 불꽃이 가장 뜨겁다고 말하는 것처럼 제가 생각했을 때 이 사건들을 마주하는 방식, 그 태도가 그래야 된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And I think that should be the role of art. While I create a site that focuses on incidents of the past, I wished for them to be shown as incidents of present, rather than as events of the past, in order to emphasize their sense of ‘nowness’. Color has the power to deliver visual messages. For me, blue is a color that can reinforce the direction I’ve set in my mind. It’s said that blue flame is the hottest. And that reflects the kind of attitude we must have in confronting these issues.

‘아주 차가운 머리로 구조를 인식하되. 아주 뜨거운 공감의 영역으로 사건들을 마주해야 된다’ 이 중 한 쪽의 지점만이 옳은 것이 아니라 혹은 두 가지 지점의 중간이 옳은 것이 아니라 두 가지의 지점이 함께 있어야 우리가 이런 세계의 재난들에 대해서 제대로 마주할 수 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이 사건이 가진 비극성, 참혹함, 재난의 무거움, 그리고 그것이 훼손한 터전에 대한 인지가 이 주제 자체를 굉장히 무겁게 만들기 때문에 이 무거움 자체에 짓눌리다 보면 그것을 보지 않는 방식으로 결국은 이동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제가 작가로서 해야 하는 것은 그 무게를 감당하고 비록 그 전체를 한꺼번에 감당할 순 없지만 한 작업마다 나누어서 조금이라도 감당을 하려고 하고 미술로 기록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See the structure with a cold mind, but deal with the incident with a warm heart.’ It’s not that just one view is right nor that the midpoint between the two is right. I believe that we can face such disasters of the world in the right way only when these two points are put together. The tragedy, brutality, and the gravity of this disaster, and the damage it’s all caused, makes this subject itself very heavy. I think that if we’re weighed down by such heaviness itself, we end up moving away from the subject altogether. As an artist, I believe that I must be able to bear that weight. Although I may not be deal with it all at once, I believe that I should bear in portions with every work, and record it all through art.

‘왜 이 주제를 미술로 이야기 하나?’ 라는 질문과 더불어서 ‘왜 네가 한 이 미술이 길에 있지 않고 공간 안에 들어와 있느냐’라는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때 든 저의 생각은 ‘왜 이것이 미술이라는 공간 안에서 보여져서는 안되는가’, ‘왜 사회적 주제는 항상 길에서만 보여야 하는가’ 였습니다. 어떤 것을 경계를 짓는다는 것은 그 경계에 안으로 의미를 축소시킨다는 것과 마찬가지의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개인의 삶이 세계 안에서 분절돼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 삶들이 켜켜이 쌓여서 만들어지는 역사 안에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개개인이 이 사건 혹은 어떤 사항 혹은 역사의 흐름에 대해서 어떻게 사고하고 있는지, 사유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이 모여서 결국은 이 흐름을 다른 방향으로 조금은 아주 조금이라도 나은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시킬 수 있다고 믿습니다.

I was often asked why I talk about this subject through art, and why my art isn’t out on the streets but inside a space. I questioned why these works shouldn’t be shown inside an art space and why projects of social subject must always be shown on the streets. I believe that putting up boundaries around something only ends up reducing its meaning within the walls of such boundaries. Each individual life does not take place in this world independently. Rather, it takes place in history, made of individual lives put together into layers. I think it’s important to see how each individual thinks about the flow of history, and if they think about such things. And when such thoughts are combined, I believe that we can take a better directivity, even if it’s little by little.

사진 | 홍진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