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Museum Night : 임동식(Artist Talk)
2020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Museum Night : 임동식(Artist Talk)

MA-03-00007300, 1981년 공주 금강에서의 <온몸에 풀 꽂고 걷기> 사진, 8.5x12 cm

서울시립미술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뮤지엄 나이트 아티스트 토크 : 임동식
2020.8.19 – 12.31

Seoul Museum of Art
Rise Up Rim Dong Sik
Museum Night : Rim Dong Sik (Artist Talk)
2020.8.19 – 12.31

크레딧 보기

제작 : 서울시립미술관
대행 : 오은
연출 : 이미지
촬영/조명 : 정원우, 정재하, 김태우, 양용진, 서동주
음향 : 양용진
편집/색보정 : 이미지
녹취/자막 : 오유찬

작업 소개

코로나19로 인해 휴관 중 막을 내린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전시의 아티스트 인터뷰 영상입니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에 설치된 작품들을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임동식 작가가 직접 관객과 만나지 못한 작품들을 하나씩 소개합니다. 온라인을 통해 전시에 대한 아쉬움을 조금이나마 달래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This is an artist interview video from the Rise Up, Rim Dong Sik exhibition, which concluded during the temporary closure due to COVID-19. Through this video, viewers can explore Rim Dong Sik’s works installed at the Seoul Museum of Art’s Seosomun Main Hall. Rim Dong Sik himself introduces each piece, providing insights into the works that could not be directly presented to visitors. The video aims to alleviate the disappointment of not experiencing the exhibition in person.

서울시립미술관은 2020년 8월 19일부터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을 서소문 본관 1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은 순수 자연에 대한 강렬한 사랑을 바탕으로 예술 세계를 펼쳐온 한국 자연 미술가 임동식(1945~)의 개인전이다. 2018년부터 임동식은 4차에 걸쳐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2021년 12월 개관 예정)를 위해 서울시 문화본부에 본인의 예술기록 자원을 기증한 바 있다. 이에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시 문화본부는 협업을 통해 197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는 작가의 예술기록 자원을 전시로 풀어내어, 자연, 삶, 예술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평생 끈질긴 퍼포머이자 꼼꼼한 아키비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 온 작가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번 전시는 아카이브와 관련된 본격적인 연구의 첫발을 내딛는 동시에 자연에 쉼 없이 열정적으로 다가가는 과정을 다성적 짜임새를 지닌 예술로 승화시킨 작가 임동식의 방식을 통합적으로 목도할 기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시도가 사유 예술가로 불리길 희망하는 임동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로 이어지고, 향후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에서 전개될 프로젝트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출처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전시소개글

농촌 마을 원골 마을이라고요, 제가 거기에 들어가서 한 9년, 10년 가까이 될 무렵에 알게 된 저의 동갑내기 친구는 제가 원골 마을에서 10여 년간 배우려고 했고 또 체험을 했고 동네분들과 더불어 생활을 통해서 새로이 인식되고 했던 농경 문화에 대한, 마음 속에 새로운 어떤 그 가치를 부여하는 《예술과 마을》 뭐 그런 행사를 하던 중에 그 농사라고 하는 것을 신석기 시대라고 하지 않습니까? 신석기 시대를 농경 혁명 이렇게 얘기하는데 그 지점으로부터 더 거슬러 올라가서 채집 생활을 하는 친구를 알게 되었습니다.

Wongol Village is a rural village. There was a friend of mine of the same age who I got to know of around 9 or 10 years after living in the village. While organizing the Art and Village project I began to appreciate forms of agriculture in which I gained a new perception through living together with the neighbors. You know that agriculture began in the Neolithic age. We say that the Neolithic Age. coincided with the agricultural revolution Going further back from this age, I got to know him, my friend, who does a hunter-gatherer form of lifestyle. He is a friend who is the same age as me, born in the year 1945 when Korea achieved its independence. However, he went to farming and nature, who ran an orchard instead of continuing on to school education after elementary school.

저와 해방둥이 동갑내기지만 그 친구는 어렸을 때 초등학교 졸업 이후에 진학을 더 이상 하지 않고 할아버지가 경영하는 과수원 일을 돕기 시작함으로써 농사와 자연으로 간 친구입니다. 시간 있으면 친구들과 더불어 지게를 지고 나무를 하러 다녔고 산딸기 따기, 씨름하기, 수영하기, 새알 꺼내기 수 없는 지금 제 생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한 편의 시 같은 자연의 일부와 같은 그러한 아름다운 생활을 했던 사람입니다. 저는 그 친구와 대비해서 생각해 볼 때는 책을 가까이했어야 했고 펜대를 붙잡고 글씨를 써야 됐던 지식의 세계에 들어간 사람입니다.

When he had time, he went around with friends, carrying wood from forests with Jigae (a back carrier), picking wild berries, wrestling, swimming, taking out new eggs and so on. In retrospect, I think that he was a person who had lived such a beautiful life as a part of nature, like a poem. Compared to him, I was a person who had many books close and became a member of the world of knowledge with pleasure of writing. So, myself, who went out to join the intellectual world, met this friend, who sang, felt, and experienced the beauty of nature as if he were a part of nature since childhood. By meeting a friend who penetrated nature with ‘ Shinsik (身識, body-consciousness),’ I gave a name for him: a Nature artist. I thought that this kind of person was truly a nature artist. I said that.

그러니까 이제 그러한 어떤 지적 세계의, 유식 세계에 갈 수밖에 없었던 저의 일면과 어렸을 때부터 자연의 일부처럼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며 느끼며 체험하며 ‘신식(身識)’ (몸 신, 알 식) 신식을 통해서 자연을 관통하여 꿰뚫는 친구를 만나서 제 나름대로 그 친구의 이름을 지어줬습니다. 자연 예술가 이런 친구가 진정한 의미에서 자연 예술가구나, 그러한 이야기를 했고요. 그래서 그 친구의 성장과 기타 수없이 많이 겪어 왔던 다종다양한 직업의 세계 그런 것과 이제 모든 것을 비추어 볼 때 그런 것을 화면 왼쪽에는 제 친구를 배치하고 오른쪽에는 저를 배치해서 유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이렇게 사계절을 이루었던 시간의 변화를 주제로 해서 그린 그림이 〈자연예술가와 화가〉라는 제목의 그림이 되었습니다.

Reflecting on the growth of my friend, the various professions that he accumulated, and all other things, I placed my friend on the left side of the picture plane and me on the right side of it. I painted the changing of time that made the four seasons, and the shifts of childhood, adolescence, adulthood, and old age. It became a painting with the title, Nature Artist and Painter. So, in conclusion, this painting is not intended to show what type of person I am by comparing myself with this friend. The painting is made to admire Nature Art as well as my friend Woo Pyeong-Nam, who carries Ttongjanggun and Ojumjanggun (containers for carrying manure and urine as fertilizer) and climbs mountains to cut grass and trees and carries wood with Jigae (back carrier) from his child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