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 바이 바이 얼리버드
2022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 바이 바이 얼리버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학예연구사: 이지희
2023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Merry Mix: The More, The Better
Curator: Lee Jeehee
2023

크레딧 보기

후원: ㈜세아제강
제작: 국립현대미술관 (이지희 큐레이터)

백남준 아카이브 사진: 이은주

출연: 이날치 (안이호, 이철희, 권송희, 신유진, 장영규, 이나래, 박준철), 이은주
음악: 장영규

감독: 이미지
조연출: 오유찬
2nd 조연출: 이소연
연출팀: 손혜인, 최혜지, 송원근

리서치: 이한나, 김예지, 오유찬
시나리오: 이미지, 이선주
스크립터: 정한나

촬영 감독: 엄준호(세시 엔비젼)
B카메라 감독: 최동윤 (4도씨)
1st 카메라: 이용범
촬영팀: 조민우(4도씨), 오세형
드론: 홍종주, 이상현
현장녹음: 조민우(4도씨)
가곡: 박민희

의상: 서 현
편집: 이미지, 정한나
C.G / D.I : 이미지

Special Thanks to 이성의, 세계자연유산 (안웅산, 김성수), 하이크

작업 소개

57스튜디오(이미지, 1983~)의 <바이 바이 얼리버드> (2022)는 백남준의 뉴욕 작업실 사진과 꽃으로 둘러싸인 장례식 사진, 그리고 그 사진들을 촬영한 이은주의 “백남준 선생은 꽃밭에서 돌아가셨어요”라는 구술 인터뷰에서 착안한 영상 작품이다.작가는 시대의 아방가르디스트로서 아마도 평범한 사람들을 기다리느라 지루했을 백남준을 최초의 인공위성 이름인 얼리버드에 비유하고, 그가 던진 예술세계, 과거에서 보내오는 그 미세한 전파를 감지하는 인물들을 설정해 작가만의 방식으로 백남준을 위한 디지털 제의를 드리고 있다.

Bye Bye Early Bird (2022) by LEE Meejee (1983~) is a video work based on the photographs and oral interview of LEE Eunjoo, who photographed PAlK’s studio in New York and the scenes from his funeral surrounded by flowers. “Mr. Paik passed away amidst the flowers,” She said. The artist compares PAIK to an early bird, the very first satellite project, in thinking that PAlK as an avant-gardist, would’ve felt dull waiting for ordinary people to catch up. The artist is holding a one-of-a-kind digital memorial for PAlK by setting figures sensing the subtle transmission waves sent from the past.

글: 이지희(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Installation View


<바이바이 얼리버드> 2022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0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 지원, 세아제강 후원
(Bye Bye Early Bird) 2022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20min Sponsored by SeAH Steel, Produced by MMCA

1.
<바이바이 얼리버드> 2022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0분 국립현대미술관 제작 지원, 세아제강 후원
(Bye Bye Early Bird) 2022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20min Sponsored by SeAH Steel, Produced by MMCA

2.
<바이바이 얼리버드> 프롬 어스
From Earth

하나의 영상에 관객이 두 가지 사운드 경험을 선택할 수 있는 전시를 구성했습니다. 이는 백남준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이은주 작가님의 사진과 작업실에서 녹음된 사운드 파일을 받은 경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저는 이미지와 사운드에 집중하며 백남준의 지난 10년을 상상했습니다. 이후 이은주 작가님과 만나 그녀가 느낀 추모의 감정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관찰자의 시선에서 아카이브 자료를 해석하며 현재와 과거, 1인칭과 3인칭 사이의 간극을 느꼈습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장영규 감독님과 함께 5.1채널과 스테레오 채널 두 가지 사운드 설치 방식을 논의하였고, 5.1채널은 에너지의 소리로, 2채널은 영상의 사운드와 출연 인물들의 목소리로 구성했습니다.

-작가노트 중에서

We designed an exhibition where viewers could choose between two sound experiences within a single video. This concept stemmed from encountering photographs by artist Lee Eun-ju, capturing the final years of Nam June Paik, and receiving sound files recorded in his studio. During this process, I focused on the interplay between image and sound, imagining Nam June Paik’s last decade. Later, meeting with Lee Eun-ju allowed me to delve deeper into the sense of remembrance she felt.

Interpreting archival materials through the observer’s perspective, I experienced the gap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between first-person and third-person narratives. To express this, I collaborated with Director Jang Young-gyu to explore two sound installation approaches: 5.1-channel audio to convey energy and dynamics, and stereo channel audio integrating the voices of on-screen participants with the video’s soundscape.

—From the Artist’s Note

Commissioned Work


* 이 영상은 57STUDIO 웹사이트 내에서만 재생 가능합니다.
* This video can only be played on the 57STUDIO website.

시놉시스

약 58년간 지구 전 세계의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 얼리버드.
그는 1965년 4월 6일 지구 궤도에 안착한 최초의 인공위성이다. 텔레비전, 전화, 팩시밀리, 전보 등 다양한 통신을 즉각적으로 처리하던 얼리버드.
지구의 수많은 사건들을 매개한 얼리버드가 이제 궤도를 벗어나 우주로 떠나려 한다.
마지막으로 지구를 둘러보며 자신의 발자취를 더듬어 가는데 얼리버드를 발견한 이들이 있었으니…

Synopsis

For approximately 58 years, Early Bird transmitted a wealth of information across the globe. Launched into Earth’s orbit on April 6, 1965, it was the world’s first communications satellite. From television and telephone to fax and telegrams, Early Bird seamlessly handled diverse communications and mediated countless events on Earth.

Now, as it prepares to leave orbit and venture into space, Early Bird takes one last look at Earth, retracing its footsteps. Along the way, it encounters those who have discovered its enduring legacy…

스마트폰 카메라로 세상을 보는 A.
A는 카메라 필터를 바꿔가며 자신만의 세상을 만들어 간다.
A가 있는 곳은 저 멀리 마을이 보이는 언덕이다.

A는 대부분의 시간을 카메라 필터를 가지고 놀면서 보낸다.
산책하거나 사진을 찍으러 오는 사람들을 먼 발치에서
카메라로 이런저런 필터를 씌워가며 노는 A
그러던 어느날 A는 스마트폰 화면에 비치는
하늘에 반짝이는 것을 본다.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해 보니
반짝이는 불빛이 누군가가 보내는 신호 같이 느껴진다.
A는 무엇에 홀린 것처럼 그 빛을 따라 간다.

A, Viewing the World Through a Smartphone Camera

A spends most of their time playing with camera filters, crafting a world uniquely their own. From a hill overlooking a distant village, A observes life through their smartphone, altering perspectives with each filter.

People pass by—strolling, taking photos—while A quietly watches from afar, applying one filter after another.

One day, something unusual appears on A’s smartphone screen: a glittering light in the sky. Intrigued, A zooms in on the light and senses it as a signal, as if someone is trying to communicate.

Drawn by an unexplainable pull, A begins to follow the light, captivated by its mysterious glow.

하늘을 보는 것을 좋아하는 B는 애완 드론을 키운다.
어느날 마을로 산책나간 드론이
무언가를 급하게 전하듯 B에게 다가온다.
평소와 다른 드론의 모습에 B는 황급히 다가간다.
드론은 보여줄 것이 있는듯
B를 이끌고 어디론가 향한다.
구불구불한 바위 길을 지나, 바위를 넘고, 다리를 건너
동굴 입구에 다다른 B.
암벽 아래에는 산신령이 나올 듯한 안개가 잔뜩 끼어있다.
B는 조심스럽게 아래로 내려간다.

B, Who Loves Watching the Sky
B has a deep love for gazing at the sky and keeps a pet drone as a companion.
One day, during a walk through the village, B notices the drone behaving unusually, as if it’s urgently trying to communicate something. Startled by its erratic movements, B rushes toward it.
The drone, as though guiding B to a secret, begins to lead the way.
Through winding rocky paths, over boulders, and across a bridge, the journey takes B to the entrance of a mysterious cave.
Below the cliff, a thick mist blankets the ground, evoking an otherworldly aura as if a mountain spirit might emerge at any moment.
B cautiously descends into the misty depths, curiosity and wonder driving each careful step.

늘 수경을 쓰고 있는 C.
C는 자신이 물속에 살고 있다고 믿는다.
C는 수경 안의 물이 수평선과 일치할 때 늘 마음의 안정을 느낀다.

수시로 수평선을 바라보며 수경의 물을 맞추는 C.
C는 늘 누군가를 기다리듯, 바다를 보면서 시간을 보낸다.
귓가에 들리는 물소리와 고요한 바다의 수평선을 바라보는 C.

그러던 어느날 C는 수평선 너머에 반짝이는 무언가가 보인다.
C는 눈을 가늘게 떴다가, 힘을 주며 떴다가 하며 불빛을 보려고 하지만
흐물거리는 외곽에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C는 마치 자신이 기다린 무언가를 발견한 듯 벌떡 일어난다.

반짝 반짝 반짝 반짝

C, Who Always Wears Goggles

C is someone who firmly believes they live underwater.
They find peace when the water inside their goggles aligns perfectly with the horizon.
Constantly adjusting the water level in the goggles, C spends their time gazing at the horizon, as though waiting for someone.
Listening to the faint sound of water in their ears and staring at the tranquil sea’s horizon, C drifts into serenity.

One day, C notices something shimmering beyond the horizon.
Narrowing their eyes, then widening them with effort, C struggles to focus on the elusive light, blurred by its wavering edges.
As if spotting the very thing they’ve been waiting for, C suddenly jumps to their feet.
Twinkle, twinkle, twinkle, twinkle.

A,B,C 가 내려간 암벽 아래.
그곳에는 뿌연 안개가 가득하다.
안개가 조금 걷히자 어스름한 존재들이 보인다.

검은색 옷을 입은 4인의 사신들.
베이스, 드럼 스틱, 마이크 등 각자 악기를 가지고 반짝이는 불빛에 맞춰 소리를 내고 있다.
마치 A,B,C를 기다렸다는 듯 검은 존재들은 그들을 보고도 신경쓰지 않는다.

반짝 반짝 반짝 반짝

검은색 존재들이 각자의 악기를 큰소리로 연주하기 시작한다.
둥 두둥 둥 두둥 둥 두둥

Down the Rocky Cliff Where A, B, and C Descend

A thick fog blankets the area below the rocky cliff.
As the fog slowly clears, shadowy figures begin to emerge in the dim light.

Four reapers clad in black appear, each holding an instrument—
a bass, drumsticks, a microphone, and more.
They create sounds in rhythm with the shimmering light.

It feels as though they had been waiting for A, B, and C.
Yet, the dark figures pay no attention to their presence.

Twinkle, twinkle, twinkle, twinkle.

Suddenly, the black-clad beings begin playing their instruments loudly,
Boom ba-boom boom ba-boom boom ba-b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