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아트센터 NJP art center
소장품 하이라이트 | 큐레이터와 함께 4: 백남준&아베 슈야,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2021
Client 백남준 아트센터 NJP art center
Project 소장품 하이라이트 | 큐레이터와 함께 4: 백남준&아베 슈야,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백남준 아트센터 소장품 하이라이트
큐레이터와 함께 4: 백남준&아베 슈야,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기획: 정윤회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2021

NJP art center Highlights
Curator’s Take 4: Nam June Paik & Shuya Abe, Paik-Abe Video Synthesizer
Organized by Jung Yunhoe (Curator, Nam June Paik Art Center)
2021

크레딧 보기

제작 :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
기획 : 정윤회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디자인 : 김규호
영상 : 57STUDIO
촬영 : 정원우, 정재하
조명 : 김태우
촬영팀 : 양용진
편집/D.I : 이미지

작업 소개

백남준아트센터는 백남준과 그의 동료 작가들의 작품, 그리고 그의 실험적 예술정신을 계승한 동시대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작품으로 구성된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7STUDIO는 백남준의 대표작인 TV 정원, 참여 TV & TV 왕관,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TV 부처, TV 첼로 등 총 5점을 소개하는 영상을 기획하고 제작하였습니다. 이 영상은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의 글과 해설을 통해 작품의 배경과 의미를 깊이 있게 전달하며, 백남준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합니다.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houses a collection that includes works by Nam June Paik, his contemporaries, and contemporary media artists who carry forward his experimental artistic spirit.

57STUDIO planned and produced a video series introducing five of Paik’s iconic works: TV Garden, Participation TV & TV Crown, Paik-Abe Video Synthesizer, TV Buddha, and TV Cello. These videos provide in-depth insights into the context and significance of the artworks, guided by commentary and writings from the curators of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Through this series, viewers are introduced to the innovative and unique artistic world of Nam June Paik.

백남준아트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백남준 작가의 작품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소개합니다.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1969년 백남준과 일본의 공학자 아베 슈야가 함께 만든 일종의 영상 편집용 기계장치입니다. 백남준은 1960년대 초부터 텔레비전의 내부 회로를 조작해 화면을 왜곡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 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관객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행위의 자극을 전자적 신호로 전환해서 텔레비전 화면의 이미지를 변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관객들의 참여를 이끌어내 이른바 닫혀 있지 않은 전자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백남준의 노력이었던 것입니다.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개발도 이와 같은 관심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성과입니다.

This is Nam June Paik’s Paik-Abe Video Synthesizer from the Nam June Paik Art Center’s collection.

The Paik-Abe Video Synthesizer is a kind of video editing equipment produced by Paik and Japanese engineer Shuya Abe in 1969. From the early 1960s, Paik created new visual effects by manipulatin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TV and distorting screen images. Also, Paik transformed screen images by converting stimuli of the audience’s various behaviors to electronic signals. These reflect Paik’s effort to elicit audience participation and thereby build the open electronic environment. The construction of the Paik-Abe Video Synthesizer lies in the extension of this intention.

이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영상을 변형시키거나 구도를 바꾸어 내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상에서 색을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었고 다양한 이미지를 여러 형태로 중첩 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시각화할 수도 있었습니다. 또한 이미지의 분할과 확대 피드백 등 다양한 조정이 가능했습니다. 수많은 방식의 영상 편집을 가능하게 했던 것입니다. 백남준은 이를 두고 “다재다능한 컬러 TV 신디사이저”라고 불렀습니다. 자신이 만든 작품에 대한 기대와 자신감을 감추지 않은 것입니다.

This video synthesizer had various functions to modify video images and to set up composition. It could extract colors, combine them to form new ones, overlay images in many different ways, visualize audio signals, and so on. It also provided various processing methods like image segmentation, enlargement,and feedback. The synthesizer enabled thousands of ways of editing video images. Paik called it “a versatile color TV synthesizer.” He did not conceal his expectation and confidence about it.

더욱 인상적인 것은 이와 같은 모든 편집이 어렵지 않은 조작으로 가능했다는 것입니다. 백남준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정해져 있는 당시 텔레비전 체계의 전복을 꿈꾸었습니다.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사람들로 하여금 조금 더 손쉽게 생산자의 자리에서 볼 수 있도록 한 기계였던 것입니다.

What is more impressive is that all these kinds of editing can be done by not-too-difficult manipulations. Paik dreamed of overthrowing the then TV system with the fixed roles of producers and consumers. The Paik-Abe Video Synthesizer was a device to help people be in the producer’s shoes more easily.

이 비디오 신디사이저로 처음 제작된 방송은 백남준의 〈비디오 코뮨: 처음부터 끝까지 비틀즈〉라는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1970년 8월 1일 오후 9시부터 미국의 WGBH 방송국을 통해 4시간 동안 생방송으로 방영되었습니다. 제목과 같이 처음부터 끝까지 비틀즈의 음악이 흐르는 가운데 채도높은 영상이 더해진 이 작품은 MTV의 시작이었다고 표현될 정도로 흥겨운 작업입니다. 일본의 광고 영상과 비틀즈의 모습 샬럿 무어먼의 퍼포먼스 영상 등이 이 작품의 소스로 사용됐습니다. 그리고 턴테이블 위에서 회전하는 면도크림이나 쿠킹호일과 같은 모습을 현장에서 직접 촬영해 실시간으로 결합시키기도 했습니다. 방송이 송출되는 동안 스튜디오에서는 아베가 직접 신디사이저를 조작해서 영상을 변주했습니다.

Paik’s first video work created using this video synthesizer was Video Commune: Beatles from Beginning to End. This program was broadcast by the public television station WGBH in Boston for 4 hours on August 1, 1970. As the title suggests, a mixture of high-chromatic images was shown to the accompaniment of Beatles music from beginning to end, in such a cheerful and exciting mood that it is said to be a precursor to MTV. Paik used various sources, including a pre-recorded tape of Japanese TV commercials, extracts from The Beatles’ films, and Charlotte Moorman’s performances. Paik also used images shot live in the studio, such as those of shaving cream on turntables and crushed tin foil. During the four hours of this broadcast performance, Abe controlled the video synthesizer in the studio.

그리고 백남준 의도대로 방송 전문가가 아닌 일반 방청객들도 때때로 신디사이저를 함께 조작했다고 합니다. 이후 백남준은 자신의 많은 비디오 작업에서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몇 대의 신디사이저가 더 제작돼서 다른 작가들도 이를 이용해 영상을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당시 제작된 모든 신디사이저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And as Paik intended, ordinary people, not specialists, were also invited to participate in operating the synthesizer. After that time, Paik used the Paik-Abe Video Synthesizer in many of his video works afterwards. And a few more editions of Paik-Abe Video Synthesizer were built and available for other artists to create video works using it. Currently, no surviving editions work adequately.

백남준아트센터는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가 가진 의미를 되살리고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2011년 아베 슈야와 함께 신디사이저 기능을 복원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습니다. 백남준과 직접 일을 하기도 했던 이정성 테크니션이 함께 참여한 이 프로젝트를 통해 작동이 가능한 비디오 신디사이저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관람객들은 백남준아트센터에서 백남준의 생각이 구현된 방식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To revive the meaning of the Paik-Abe Video Synthesizer and for the educational purposes, the NJP Art Center initiated a project to restore the synthesizer’s functionality, with Shuya Abe in 2011. Technician Lee Jung Sung, who worked closely with Paik, also joined in this project, and they built a machine equipped with the functions of Paik-Abe Video Synthesizer. Now visitors can see with their eyes how Paik’s thoughts are realized in the NJP Art Center.

백남준은 우리 모두가 예술 작품을 창조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말합니다. 과거에는 오직 선택받은 소수만이 물감이나 캔버스를 가지고 작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텔레비전의 세계에서는 그와 같은 상황이 달라지기를 백남준은 바랐던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유튜브를 비롯한 현재의 다양한 영상 플랫폼들이 떠오르는데요. 지금 우리는 생산자도, 시청자도 비평가도 될 수 있는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 기술과 매체 발달이 이를 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Paik says that we all have desires to create a work of art. In the past, only a few chosen people could produce artwork with paints or a canvas. Paik wished that things would change in the world of TV. His wish reminds us of the rise of today’s video-sharing platforms, such as YouTube. We are living in a world where we can all become producers, audience, and even critic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made it possible.

하지만 어떤 이들은 여전히 소비자의 자리에 머무르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점차 소비자와 생산자를 구분하는 기준은 모호해지고 플랫폼의 규모는 점점 더 거대해 집니다. 백남준이 지금과 같은 상황을 본다면 무슨 말을 할까요? 그리고 무엇을 하려고 할까요? 물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찾는 것은 지금 남겨진 사람들의 온전한 몫입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길을 잃는 때가 온다면 백남준이 남긴 작품과 글들이 하나의 단단한 이정표가 되어 줄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However, some still seem to remain in the position of consumers somehow. The producer-consumer boundary becomes more and more blurred, and the scale of video platforms bigger and bigger. What would Paik say if he saw the present situation? And what would he like to do? Indeed, it is entirely up to the people left behind to find a direction to move forward. However, if the time ever comes when we lose our way, Paik’s works and texts will prove to be a trustworthy landmark.

백남준<비디오 신디사이전> (1970) Nam June Paik, Video Synthesizer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