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Z
Vol. Text-ure #‘멋’을 짓는 시간들
2019
Client LENZ
Project Vol. Text-ure #‘멋’을 짓는 시간들

57STUDIO R&D
LENZ Magazine Project
2019.11.16- 2019. 11.30

Text I by Henri Michaux, 1956
Texture | yyyyynnn

Vol. Text-ure #‘멋’을 짓는 시간들

Editor of Chief | 이미지
Editor 이성의
Contributor | 지로, 보리수
Guest | Designer 이진경, 곽영원
Drawing | cucurucu

Vol. Text-ure #‘Crafting Elegance in Time’
*This project was selected for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s First Arts Support Program.

작업 소개

57STUDIO는 2019년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자체 기획한 LENZ Magazine Project를 진행하였습니다. LENZ는 텍스트를 청각과 시각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해석과 감각적 접근을 제안하는 Audio Visual Magazine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텍스트를 선정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며, 텍스트에서 시작되는 텍스처(Text-ure)를 탐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첫 번째 텍스처는 북촌에 위치한 공간 yyyyynnn으로, 이 공간을 디자인한 이진경, 곽영원 디자이너와 함께 작업의 철학과 과정을 중심으로 공간을 해석하는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57STUDIO launched the LENZ Magazine Project in 2019 as a self-initiated endeavor after being selected for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s First Arts Support Program. LENZ is an Audio Visual Magazine that expands textual content into auditory and visual dimensions, offering new interpretations and sensory approaches.

The project involved selecting texts, interpreting them through various methods, and exploring the textures (Text-ures) that stem from these texts. The first texture focused on the space yyyyynnn located in Bukchon, where designers Jin-kyung Lee and Young-won Kwak engaged in discussions about the philosophy and process behind their work, offering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space.

이미지: LENZ의 첫 번째 에피소드, Text-ure에 관한 마지막 이야기입니다. STUDIO UNRAVEL 디자이너 이진경, 곽영원. 두 분과 함께 yyyyynnn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저희 말고 이런 프로젝트 협업을 진행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곽영원: 사실 처음이에요. 그동안에 어떤 기획이나 전시를 많이 의뢰하신 분들도 많았는데. 저희의 색깔과 맞지 않다, 라고 판단이 돼서 안한적도 있었고, 시기적인 것도 있었고 했는데 이번에 이렇게 진행하게 됐죠.

이미지: 이번에 혹시 사람들의 반응? 피드백 같은 건 받으셨나요. 프로젝트 협업 프로젝트를 처음 하시고나서.

이진경: 정말 했구나. 드디어 했구나. 그리고 생각보다 퀄리티, 완성도가 높았고 이런 걸 처음으로, 첫 프로젝트로 시작할지 몰랐다고. 그리고 저희한테 너무 좋은 기회였고 좋은 시간이었어요.

곽영원: 이게 아까 말씀해 주셨던 부분 중 좋았던게, 직접적인 표현이 아니라 간접적인 방향으로 공간에 드러났잖아요. 그런 게 한 번은 더 해석된 표현인 것 같아요. 그래서 오히려 좀 더 미적으로 저희가 생각했던 거보다 더 좋게 나오지 않았나, 라는 생각도 들고. 그런 부분들이 사람들이 드디어 했구나,라는 거와 동시에 사실 저희의 만족도는 사실 좋았어요. 이 공간에서 이런 걸 해보면서 저희도 다시 텍스처를 바라보게 됐고. 그리고 이제 공간에 조도도 달라지면서 공간에 다른 방향성도 보게 됐고. 그런 부분이 저희한테 다른 사람들한테서 듣는 얘기들보다는 우리가 이런 공간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라는 결론인 것 같아요.

MeeJee Lee: This is the final story of LENZ’s first episode, Text-ure. We’re continuing our conversation with STUDIO UNRAVEL designers, Jin-kyung Lee and Young-won Kwak, about yyyyynnn. Have you ever worked on a collaborative project like this before?

Young-won Kwak: Honestly, this was our first time. We’ve had many requests for planning or exhibition collaborations in the past, but we often turned them down because we felt the projects didn’t align with our vision, or the timing wasn’t right. But this time, we decided to move forward with it.

MeeJee Lee: Did you receive any feedback or reactions after completing this collaborative project for the first time?

Jin-kyung Lee: People were really surprised. They said, “You actually did it. You finally did it.” And the feedback about the quality and completion level was overwhelmingly positive. Many didn’t expect us to kick off with such a high-caliber project. For us, it turned out to be an incredibly meaningful opportunity and experience.

Young-won Kwak: One thing I really appreciated, as you mentioned earlier, was how the expressions in this project weren’t direct but rather indirect, subtly revealed within the space. It felt like everything was interpreted one step further, which ultimately led to something even more aesthetically pleasing than we initially imagined. That’s probably why people responded with, “You finally did it.” But honestly, beyond external feedback, our own satisfaction was quite high. Through this project, we found ourselves looking at textures differently. Additionally, as the lighting levels changed in the space, we started noticing new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for the space. So, rather than focusing on what others had to say, I think the conclusion for us was that we were glad we got to see and experience the space in this new way.

지로: 그래서 되게 궁금했던 점이 어떻게 보면 이 프로젝트가 시작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러니까 시작이라고 하면 이제 지금 변화를 했었고 앞으로도 계속 변화를 할 거 같던데. 저는 앞으로가 궁금해요. 이 공간에 대해서. yyyyynnn을 어떤 공간으로 만들고 싶으신지 여쭤보고 싶어요.

이진경: 첫 번째로는 저 UNREVEL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그런 창구가 되고 싶고. 같은 결 같은 생각이 아니더라도 그런 사람들이 와서 저희와 함께 의지가 있는 사람들이 함께 와서 새로운 걸 만들어 보고 싶고 저희도 그런 기회를 얻고 싶은. 계속 뭔가를 하고 싶은 공간으로 만들고 싶어요.

곽영원: 행위가 계속 일어나는 공간? 그냥 뭐 대표적으로 뭔가를 바꾸겠다, 집기를 어떻게 바꾸겠다는 사실은 아닌 거 같아요. 그거는 저희 실험으로 만족하고 그냥 어느 순간 그냥 갔다 놓으면 되는 것들인거고. 방금 얘기했던 것처럼 다양한 사람들이 와서 시너지가 날 수 있는 비움이 있는 공간. 그냥 그렇게 되는게 맞지 않을까?

이미지: 좋은데요

Ji-ro: So, I’m really curious about something. You mentioned that this project is just the beginning. If it’s the start, then it seems like there’s been a change already, and I imagine there will be more changes in the future. I’m really wondering what comes next. What kind of space do you envision for yyyyynnn moving forward?

Jin-kyung Lee: First and foremost, I want it to become a platform for conveying the message of UNREVEL. Even if not everyone shares the same thoughts or ideas, I hope people with similar values and a desire to create can come here and work together. We want to keep pushing ourselves to do new things, and I hope the space continues to offer us those opportunities.

Young-won Kwak: A space where actions keep happening? It’s not really about changing specific things or rearranging furniture—those things are more about our experiments and we’re satisfied with them. As I mentioned before, the idea is for the space to be empty enough for different people to come and create a synergy. That’s probably what’s most important for us.

Image: I like that.

보리수: 저희가 사전에 이야기를 했을 때였던 멋부림, 멋에 대한 얘기를 많이 얘기를 들었어요. 그래서 ‘멋’에 대한 다른 기준이 있는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다시 바꿔서 질문을 드리고 싶은 게, 그래서 yyyyynnn의 생각하는 ‘멋’이란 무엇인지. 마지막으로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곽영원: 너무 어렵다

지로: 약간 라디오스타 같아요

이진경: 일부로 만드려고 했어요. 만드려고 했는데 그거를 사람들이 몰라줄 때? 그냥 이게 원래 그랬던 것처럼, 내가 작가들의 작품들도 엄청난 고뇌로 생각을 해서 만들어지지만 우리는 그걸 하나의 결과물만 보잖아요. 근데 우리는 그걸 멋있다고 하잖아요. 그런 과정을 겪은 결과물. 티 내지 않지만 그 과정 알 수 있는.

곽영원: 제작자의 머리는 지진나는 거고, 보는 사람은 간결한. 그런게 ‘멋’인거죠?

이미지: 그런게 진짜 멋있다라는 말이 나오는 거죠.

이미지: 어떻게 보면 yyyyynnn과 저희 LENZ가 새로운 시도를 함께 실험을 해본 것 같아요. 저희의 불완전하고 굉장히 위태위태 했던 첫 실험에 함께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혹시 이후로 그 다음에 이벤트 같은 거 있으시면. 물론 그 이벤트가 지나서 이 영상이 나가겠지만. 그래도 이런 게 계획되어 있다. 혹은 예정되어 있다, 혹시 있나요?

이진경: 바로 내일. 12월 27일, 7시부터 저희가 술을 판매합니다. 근데 단순히 술만 있는게 아니라, 음악도 함께. 저희 공간에 어울리는 음악을 선곡해서 ‘DJ 아소’라는 친구가 음악을 플레이 해줄거에요. 그게 LENZ의 그 첫 번째 TEXT-ure에 이어서, 두 번째 저희의 기획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이미지: 혹시 그 프로젝트의 이름이 있나요.

이진경: Glass Night.

이미지: 그럼 여러분 잠시 Glass night 영상 보시고 오겠습니다. 이 영상을 함께 보면서 yyyyynnn 두 분과도 인사 나누겠습니다. 오늘 함께 해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이진경: 감사합니다.

곽영원: 감사합니다.

Borisu: When we discussed this earlier, we talked a lot about “style.” It made me think that there might be a different standard for “style” here. So, I want to ask you: what does “style” mean to you at yyyyynnn? That’s my last question.

Kwak Young-won: That’s a tough one.

Ji-ro: It’s a bit like “Radio Star” now.

Jin-kyung Lee: We intentionally made it that way. We tried to create something that, when people don’t recognize it, feels like it was always meant to be that way. When I think about artists’ works, they go through immense contemplation to create something, but we only see the result. But we call that “style.” It’s the result of that process. Even though we don’t flaunt it, we want people to understand that process.

Kwak Young-won: The creator’s mind is shaking, but the viewer sees it as simple. That’s the “style,” right?

MeeJee Lee: That’s exactly what makes something truly “stylish.”

MeeJee Lee: It feels like yyyyynnn and we at LENZ have experimented together with a new approach.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in our imperfect and precarious first experiment. By the way, do you have any upcoming events? Of course, this video will be released after the event has passed, but is there anything planned?

Jin-kyung Lee: Tomorrow, actually. From 7 PM on December 27th, we’ll be serving drinks. But it’s not just about the drinks—there’ll be music as well. We’ve selected music that fits the atmosphere of our space, and our friend “DJ Aso” will be playing. This will be the second part of our planned project after the first one with LENZ’s Text-ure.

MeeJee Lee: Is there a name for this project?

Jin-kyung Lee: It’s called Glass Night.

MeeJee Lee: Well, let’s watch the Glass Night video, and we’ll also say our goodbyes to the two of you from yyyyynnn. Thank you so much for joining us today.

Jin-kyung Lee: Thank you.

Kwak Young-won
: Thank you.

이미지: yyyyynnn은 LENZ의 첫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가 정말 자주 왔던 곳이었어요. 정말 많은 숙제를 또 하는 느낌이기도 했고 프로젝트 첫날에는 소풍 전날처럼 엄청 긴장도 하고 설렜던 공간인데요. 이 공간에서 진행하는 첫 번째 LENZ의 녹음이 이제 마무리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 시작부터 지금까지 저와 함께 진행해 주신 기고자 두 분의 소감이 궁금해요. 두 분 어떠셨나요?

보리수: LENZ 프로젝트를 하면서 저희가 평소에는 만날 수 없었던 분들을 만나게 됐잖아요. 특히 이번 경우에는 yyyyynnn카페를 운영하시고 여기 디자인도 직접 하시는 두 분을 만나서 이것저것 저희가 물어볼 수도 있었는데. 특히 저희가 실험실도 내려가보고 그랬잖아요. 그러면서 대중들한테 보여지고 대중들이 사용되는 어떤 가구들이 밑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런 것들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색달랐던 경험이었습니다.

지로: 저도 보리수씨랑 되게 비슷한데요. 처음 공간을 보면서 떠올렸던 생각들이나 의문들이 되게 많았었거든요. 근데 그런 생각들을 직접 공간을 설계하신 분들과 같이 얘기를 나눌 수 있어서 너무 좋았고. 저도 평소에 재료나 물성에 대해서 되게 관심이 많거든요. 근데 이 공간 뿐만이 아니라 밑에 지하에 실험실이 숨겨져 있잖아요. 그래서 가끔 몰래 보기도 하고 직접 소개시켜 주시기도 했는데, 저는 그 과정이 너무 재미있었어요. 그래서 아 이런 재료도 있고 이런 식으로 접근을 하시는구나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고. 그래서 같이 이렇게 함께 하게 되어서 저한테는 너무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이미지: 저 역시도 두 분 덕분에 좀 더 프로젝트에 집중하고 즐겁게 할 수 있었던 힘을 받았던 것 같아요. 저도 너무 뿌듯하고 즐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LENZ의 기고자로 자주 참석해 주세요.

다음에서는 책을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지금까지 제작 서울문화재단, 57STUDIO. 작가 이성의. 저는 이미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MeeJee Lee: yyyyynnn was a place I visited frequently while working on the first LENZ project. It felt like a lot of homework, and on the first day of the project, I was both nervous and excited, like the night before a school trip. Now, the first LENZ recording here is coming to an end. I’m curious about the impressions of the two contributors who have been with me throughout this project. How was it for you both?

Borisu: During the LENZ project, we had the chance to meet people we wouldn’t normally get to meet. Especially in this case, we got to meet the two designers who not only run the yyyyynnn cafe but also design the space. We were able to ask all sorts of questions. We even went down to the experimental lab, which was a different experience for us. Seeing how the furniture that the public uses is made and learning about that process was really eye-opening.

Ji-ro: I feel very similar to Borisu. I had many thoughts and questions when I first saw the space. It was great to be able to discuss those thoughts with the people who designed the space. I’ve always been really interested in materials and textures, so not just the space, but also the hidden underground lab was a great experience. Sometimes we got to sneak a peek, and other times we were shown directly. It was fascinating to learn about the materials and the approach they take. It was a very enriching experience for me.

MeeJee Lee: Thanks to both of you, I was able to focus on the project and enjoy it more. It was truly rewarding and fun, so thank you. Please continue to join us as contributors for LENZ.

Next, we will return with a story about the people behind making books.
This was brought to you by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nd 57STUDIO. The author was Lee Seong-ui. I’m MeeJee Lee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