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 참여작가 인터뷰 #3 57STUDIO
2023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 참여작가 인터뷰 #3 57STUDIO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참여작가 인터뷰 #3
프로그래머: 송초롱
참여작가: 57STUDIO
패널: 김호경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Merry Mix: The More, The Better
Artist Interview #3
Programmer: Song Chorong
Artist: 57STUDIO
Panel: KIM Hokyung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57STUDIO
촬영: 황낙원, 강주희
촬영보: 안재원, 오유찬

작업 소개

57STUDIO는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콘텐츠로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아티스트 인터뷰 기획과 제작을 진행하였습니다.

@mmcakorea
전시가 종료된 이후에 영상 작업은 어떻게 기억될까요? 그리고 어떻게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한 이번 프로젝트는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전시 종료 이후, 참여작가 3인의 작업을 새롭게 기록하고자 시작되었습니다. 매주 다른 컨셉으로 진행되었던 참여작가 3인의 작품 해설 프로젝트가 어느덧 마무리되었습니다.

그 마지막 주인공은 57STUDIO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음악비평가 김호경과 AI 기술을 통해 여러 인물로 변신하는 57STUDIO의 색다른 인터뷰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바이 바이 얼리 버드>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를 지금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만나보세요.

프로젝트 내용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은 오랫동안 꺼져 있던 국립현대미술관의 대표 소장품, 백남준의 ‹다다익선›(1988)을 대대적으로 복원해 다시 켜는 것을 기념한 전시이다. 1988년 9월 15일 백남준은 국립현대미술관에 모니터 1,003대를 이용한 대규모 영상설치 작품 ‹다다익선›을 완공했다. 전시는 ‹다다익선›의 제작 배경과 그 이후 현재까지 작품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아카이브, 그의 작품세계와 관련 자료를 새롭게 해석한 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Merry Mix: The More, The Better is an archival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reactiv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s greatest collection, The More, The Better (1988), following its extensive period of restoration. PAIK Namjune completed this large-scale video installation of 1003 TV monitors on September 15th, 1988. The exhibition will take on a journey across the background of its creative production, an archive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work since its conception, and the works of different artists who interpreted PAlK’s oeuvre into their own words.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소개글

김호경: 안녕하세요. 저는 음악 관련해서 연구하고 글 쓰는 김호경입니다. 오늘 뵙게 돼서 너무 반갑습니다

57STUDIO: 안녕하세요. 아카이브 기반으로 영상을 제작하고 있는 57STUDIO입니다.

김호경: 먼저 제가 보고 오긴 했지만 Bye Bye Eary Bird에 대한 작품 소개 먼저 부탁드릴게요.

57STUDIO: 이은주 작가님께 백남준의 마지막 10년을 기록하신 사진과 작업실에 방문하셨을 때 녹음하셨던 녹음 파일을 같이 받았어요. 저희가 보통 영상 작품을 제작을 할 때 아카이브 자료를 받으면 작가에 감정이입을 해서 해석을 하는 편이거든요. 이은주 작가님께서 그때 당시에 찍었던 상황 혹은 그때의 기억들을 다시 되짚어 주시는데 이게 백남준을 추모하는 느낌이 나는 거예요. 저도 그 얘기를 듣고 나니까, 이 자료들을 봤을 때 백남준보다 이은주 작가님한테 더 감정이입이 되는 거예요 그래서 이번 영상 작품을 만들 때는 백남준이 아닌 이은주 작가에 감정이 이입돼서 이것을 좀 풀어보면 어떨까? 이게 아카이브 전시의 마지막 섹션에 있는 거다 보니 그전의 섹션에서는 2채널, 3채널 백남준의 작품을 보여주는 여러 개의 채널 구성들이 있었어요. 전시장 안에서 그래서 저는 이걸 채널로 구분하기보다는 사운드로 관찰자와 작가의 관계의 간극을 사운드로 풀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저희가 이번에 작품을 전시할 때는 하나의 영상에 두 가지 감상 방식으로 영상을 볼 수 있게 이 간극을 표현해 봤어요.

김호경: 말씀하셨던 다양한 관점들이 감상자 입장에서는 긴장감으로 작용을 했던 것 같아요. 감상자로서 어떻게 이 영상과 소리들을 봐야 할까?, 그런 바른 태도가 뭘까를 궁금해하는 그런 지점들이 있었던 것 같고요. 그리고 그런 다양한 요소들도 있지만 그게 어떤 미술관이라는 큰 공간이 주는 중압감 같은 것도 있었던 것 같아요. 내가 어떻게 감상해야지 맞는 방식인 건지를 좀 생각하게 됐고 곱씹으면서 이해하고 느꼈던 그런 감상 경험이었거든요 궁금한 것들이 많았어요. 일단 첫 번째로는 말씀하셨던 것처럼 2채널 사운드로 기대하셨던 바가 구체적으로 무엇일지 먼저 여쭤보고 싶어요.

57STUDIO: 백남준의 작품 영상들 너무 좋고 심지어 다다익선이 10년 만에 재가동인데 그 엄청난 위압감 안에서도 관객들이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결국 선택이 아닐까 마치 큰 도서관에서 책을 하나 선택해서 앞에 머리말을 읽더라도 말씀하신 대로 그 도서관을 떠났을 때는 중압감과 함께 머리말 한 구절이 남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사실 2채널의 사운드를 관객들이 선택해서 들을 수 있다는 선택이 저한테는 좀 중요했어요. 저도 전시장에 가면 모든 작품을 다 학습하지는 않거든요. 작품들 사이에서 내가 감각적으로 느꼈던 것들이 오히려 더 인상에 남을 때가 있어요. 백남준의 아카이브 자료들 엄청난 문자, 그림, 영상들이 계속 혼재해 있는 곳에서 제가 그 아카이브 자료를 지나는 것만으로도내가 다다익선을 통과하는 느낌이 좀 있었거든요.

김호경: 감독님의 그런 마음가짐과 그리고 이은주 선생님의 시선 그리고 같이 작업하신 이날치 분들의 예술적인 재해석도 다 맥락에 여러 가지로 겹쳐져 있었던 것 같은데 음악 작업을 같이 하신 비하인드가 좀 궁금해요. 어떠셨는지…

57STUDIO: 장영규 감독님이랑 작업할 수 있었던 것은 진짜 영광이었어요. 이게 에피소드이기도 한데다 같이 만났어요. 첫 자리에 만나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무엇에 대한 작품인지 들어보자고 하셔서 제가 백남준께서 춘향이랑 심청이를 주인공으로 작품을 만들어보고 싶어 이런 말을 했던 걸 기사로 본 적이 있거든요. 약간의 가벼운 토크를 하면서 그 얘기를 하니까 다들 너무 반가워하시고 흥미로워하시는 거예요
‘어? 그래?’ 왜냐하면 백남준의 마지막 10년에서 이은주 작가님이 녹음하셨던 사운드 파일 중에 피아노 건반을 주먹으로 내리치듯이 ‘쾅쾅’ 이런 사운드가 있어요. 그거를 살짝 들려드렸더니 춘향에서도 이몽룡을 기다리는 옥에 갇혀서 춘향이가 이몽룡을 기다릴 때 창을 하는 구절이 있고 심청이도 인당수에 빠지기 전에 노래를 하는 구절이 있거든요. 그게 떠오른다고 하시는 거예요. 그래서 각각의 다른 요소지만 하나의 감성에 맞닿아 드린 거죠. 그 얘기를 하시는데 저는 그 씬이 너무 좋았어요. 심각하게 작업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도 아니고 음악 하는 분들이니까 약간 농담하듯이 얘기를 하는데 이게 마치 머리 땋듯이 싹 엮이는 거예요 저는 이게 물론 너무 대단하신 분들과 그리고 재능이 넘치시는 분들과 작업하는 즐거움도 있지만 이런 모티브가 엮이는 순 을 제가 그 자리에서 함께할 수 있다는 것도 사실 되게 짜릿했거든요. 저한테는 사실 이 Bye Bye Early Bird 작품은 의미도 있지만 과정에서의 즐거움도 꽤 컸어요.

김호경: 많은 예술가분들이 같이 협업을 하시면서 뭐랄까요… 그게 다 다른 맥락의 어떤 예술 창조 행위이긴 하지만 어떻게 보면 지금 현시점에 같이 하셨던 분들을 저는 매개자처럼 구분을 해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백남준이라는 어떤 인물이 있고 예술적인 어떤 결과물, 이미 완결이 돼버린 어떤 결과물들이 있고 현시점에 그것들을 다시 가져와서 변형하고 본인의 어떤 예술적인 의도로부터 다시 재창조하고 그런 지점들을 만들어내셨다는 점에서 그것들을 예술가다, 매개자다 이렇게 구분하는 게 어떤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매개자의 역할이 새로 생겨났다는 그런 해석을 해볼 수도 있을 것 같더라고요.

57STUDIO: 제가 작가님 플레이리스트 책을 보면서 정말 공감하고 반가웠던 것 중에 하나가 매개자의 역할을 규정해 주시고 그리고 그것이 제가 지금 하고 있는 이걸 창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근데 나도 분명히 어느 부분은 창작을 하고 있는데 지금 이 사회에서는 작가라는 것은 창작에 딱 규정이 되는데 나 같은 역할을 하는 사람은 뭐라고 규정이 되는 거지, 약간 애매한데 그것을 매개자라는 설명을 맞닥뜨린 순간에 엄청 반가웠죠. 백남준 선생님께서 모든 사람이 자기가 스스로 촬영할 수 있고 편집할 수 있는 툴을 가지게 되면 모든 사람이 다 예술가가 될 거라고 얘기를 했어요. 그때 당시에 커다란 카메라가 손에 쥐게 될 거라고 상 을 하셨겠어요. 그런데 그것을 언급하신 것 자체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창작 욕구를 건드린 게 아닌가 싶어요.

김호경: 전시가 종료됐는데 영상과 음악과 소리적인 요소들이 어딘가에서 관객이 볼 수 있을까요?

57STUDIO: 이 전시에서 볼 수 있는 사운드와 영상은 여기서 끝입니다.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영상 작품으로 제가 뭔가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기보다는 백남준의 아카이브 자료를 쭉 보고 이은주 선생님의 사진을 보고 그 마지막에 다다랐을 때 그때 인상이 작품의 사실 주된 창작의 목적이었기 때문에 전시장을 벗어나면 이 작품의 맥락을 잃게 되죠. 그런데 너무 신기하게 이날치 분들도 그렇고 장영규 감독님도 그렇고
공연을 하시는 분들이잖아요. 그때만 존재하는 거라는 걸 이해를 해주셨어요. 그래서 저희가 그때 당시에 전시가 종료되고 나면 이 영상 작품은 뮤직비디오로 만들어서 내보내자 미리 얘기가 되어 있었죠. 그래서 저희 뮤직비디오는 지금 AI로 다 변환을 했어요. 원본의 이미지를 AI한테 프롬프트를 넣어서 AI가 다시 만들어낸 영상으로 뮤직비디오를 엮어 놓은 상태인데, 뮤직비디오 기대해 주세요.

김호경: 뮤직비디오는 온라인상에서 감상자 개개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다른 각자에 맞는 상황과 맥락 속에서 감상을 하게 될 텐데 그러면 또 다른 감각들이 발현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상상력들도 자극할 수 있고…

57STUDIO: 맞아요. 지금 말씀해 주신 것처럼 상황이 달라지고 맥락이 달라진 상태에서
동일한 작품이라 하더라도 내가 어느 순간에 이걸 봤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이 되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저는 감상자를 중심으로 생각을 하는 것 같아요.

김호경: 저희가 사전에 이야기를 할 때 공감한다고 해주셨던 부분이 ‘오늘날의 감상자들은 매체를 일방적인 대상이 아닌 상호작용적인 대상으로 이해하고 그 연속성으로부터 상상력을 발현하는 방식으로 예술을 유희한다.’ 이렇게 제가 썼는데 그 부분에 굉장히 공감을 많이 해주셨던 것 같아요.

57STUDIO: 왜냐하면 같은 노래라도 플레이스트 제목에 따라서 다르게 들리는 것도 있고 앞뒤로 어떤 노래와 함께 듣는지에 따라서 내가 듣고 싶은 노래가 전혀 다른 감성으로 느껴질 때가 있었거든요. 사실 이것도 감상자가 자기가 선택하는 선택 안에서의 감상을 하는 능동적인 자세가 있는 거잖아요. 아까 선생님께서도 책을 인용해 주셨지만 저는 이것도 너무 좋았어요 ‘애니옹은 음악이란 정적인 미적 대상이 아닌 늘 상황에 놓여 있다고 본다’ 근데 저는 여기서의 음악이 이제는 영상이고 어떤 때는 사운드고 저는 이렇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어디 상황에 놓여 있는지가 작품을 만드는 사람뿐만 아니라 감상자도 선택하게 되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 좀 들었어요.

김호경: 그렇게 본다면 이번에 새롭게 공개될 뮤직비디오는 미술관이라는 아우라를 벗고 온라인 공간 속으로 옮기면서 다른 맥락을 가질 테고 그렇다면 다른 작품이라고 볼 수도 있겠군요.

57STUDIO: 그렇죠. 저의 의도는 딱 거기까지죠. 어느 플레이리스트에서 속할지는 제가 선택할 수 없는 거죠. 이런 선택을 흔쾌히 오케이 해주신 장영규 감독님이나 이날치 분들한테도 너무 감사하죠.
이것은 함께 하는 분들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 같아요.

KIM Hokyung: Hello. My name is Kim Hokyung , and I research and write about music. It’s a pleasure to meet you today.

57STUDIO: Hello. I’m from 57STUDIO, which produces archive-based video work.

KIM Hokyung: I actually saw it before coming here, but I’d like to ask you to talk about the work Bye Bye Early Bird.

57STUDIO: We acquired images taken by photographer Lee Eunjoo depicting Nam June Paik during the last 10 years of his life, along with recordings from visits she made to his studio. Usually, when we put together a video work and receive archival materials, we try to identify with the artist and interpret the materials along those lines. Lee Eunjoo said that as she was recalling the circumstances around taking the pictures and revisiting her memories from the time, it felt like she was commemorating Nam June Paik. When I heard that and examined the materials, I found myself identifying more with Lee Eunjoo than with Paik. So when we were making this video, we thought, “Why not present it in a way that identifies with Lee Eunjoo rather than Nam June Paik?” It was shown in the last section of an archive-based exhibition, so the preceding sections had presentations with different channels showing Paik’s work in two or three channels. In the gallery. So I thought, rather than dividing [our work] into channels, we could use sound to explore the divide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artist. When we were exhibiting the work, it was presented in a way that allowed you to view a single video two different ways, as a way of representing that divide.

KIM Hokyung: From what you describe, it sounds like there are different perspectives creating a kind of tension from the viewer’s standpoint. So how should the viewer approach the video and sounds? I found myself wondering about such points as what the right approach would be in this case. Also, you had all these different elements, But you also had the effects from the larger setting of the museum, which added a sense of pressure. So it was the kind of experience that prompted me to think about how I should be viewing it, pondering it, and gaining an understanding and sense of it. It did leave me with a lot of questions. The first has to do with what you mentioned. I wanted to ask what exactly you were anticipating with the two-channel sound approach.

57STUDIO: Nam June Paik’s videos are so outstanding. You even have The More, the Better going back online after 10 years. So the thing enabling viewers to focus on something even amid all that pressure seems to be a matter of choices. It’s similar to picking out a book at a big library and reading the introduction. Like what you said, when you leave the library, you leave with the sense of weight experienced there but also with what you read in the introduction. For me, the idea that viewers could choose which of the two sound channels to listen to was a really important aspect. When I go to a museum, I don’t study all the different works. Sometimes, there are works that I experience at a sensory level that end up making more of an impression. With Nam June Paik’s archives, there’s this enormous mixture of texts, images, and videos. Just passing through those materials, I had the sense of traveling through The More, the Better.

KIM Hokyung: So you had your mindset as the director, you had Lee Eunjoo’s perspective, and you had the artistic reinterpretation by the members of [alternative pop band] Leenalchi, who you worked with, and all of these things seemed to be layered into the context in multiple ways. I’d like to know a bit about what happened behind the scenes with the music.

57STUDIO: Getting to work with Jang Younggyu was a real honor. There’s a bit of a story there. All of us met together. We were meeting for the first time and talking about all sorts of things, then Jang asked what the work was going to be about. I had read an article where Nam June Paik said he wanted to make something with the figures of Chunhyang and Sim Cheong as protagonists. We were just kind of casually talking about that, and he seemed really drawn to that and found it fascinating. He was like, “Oh, is that so?” In the sound recordings that Lee Eunjoo made during the last 10 years of Nam June Paik’s life, you could hear what sounded like a fist banging on the keys of a piano. I shared a bit of that with [Jang], and he talked about a passage in the tale of Chunhyang where she’s imprisoned and sings as she waits for Lee Mongryong, And another in the tale of Sim Cheong where she sings before falling into the waters of Indang. He said it reminded him of that. These were different elements, but they all connected with the same feelings. As he talked about it, I just thought it was a terrific scene. So it wasn’t a case of really agonizing over the artwork. We’re musicians, so we were talking about things casually, kind of jokingly, and it ended up intertwining like braids of hair. Obviously, it’s a thrill to be able to work with such tremendous people, with people who are so talented. But being able to be there as those motifs all wove together was tremendously exciting. For me, Bye Bye Early Bird is significant as a work, but I also quite enjoyed the process.

KIM Hokyung: When you have a lot of artists working together,
in a sense, these are acts of artistic creation from different contexts, but there’s also a sense where from the present standpoint, you’re able to distinguish them as a kind of mediator. You have the figure of Nam June Paik, you have a certain artistic outcome that is already completed, and you bring those things into the present and transform them, recreating them based on your own artistic intentions and creating something in that way. I don’t know how meaningful it is to make distinctions of “artist” or “mediator,” but it did seem possible to interpret it as having created this new mediator role.

57STUDIO: As I was reading your book Playlist, one of the things I really connected with and appreciated was how you defined the role of the mediator, and in terms of what I’m doing now, I don’t know if you can call it “creation,” although I am definitely creating something in some respects, but we live in a society right now where artists are defined in terms of creation.
For someone with my role, it’s a bit uncertain what we should be defined as. So when I saw you describing that role as “mediator,” I really appreciated it. Nam June Paik talked about how if everyone had the tools to film and edit things by themselves,we would all be artists. He might have imagined at the time that we’d be carrying around these big cameras. But the fact that he mentioned it at all seemed to touch upon an innate creative urge that human beings possess.

KIM Hokyung: Now that the exhibition is finished, will the video, music, and sound elements be available for viewers to experience somewhere else?

57STUDIO: Both the sound and video end with this exhibition. As I mentioned before, the aim of the video work wasn’t exactly about communicating a specific message. After looking at Paik’s archive and Lee Eunjoo’s photographs, the final impression that we arrived at was really the main objective behind the work’s creation. So if you take it out of the museum, it loses its context. The interesting thing, though, is that you have Jang Younggyu and the other members of Leenalchi, who are performers, and they understood that this was only going to be there for that time. So once the exhibition was over, we talked ahead of time about turning the video work into a music video and presenting that. Our music videos have all been converted now using AI. You give the original image as an AI prompt, and it produces moving images that are compiled into a music video. So you can look forward to seeing the video.

KIM Hokyung: When it comes to music videos online, individual users tend to watch as they want, in situations and contexts that suit them. But it seems like there are other senses that could be expressed, too. It could also stimulate the imagination.

57STUDIO: Exactly. As you said, when the situation changes
and the context changes, even the same artwork is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n we saw it. In that sense, I seem to focus on thinking about the viewer.

KIM Hokyung: When we were talking before, one of the things you said resonated with you was when I talked about the way viewers today are understood not merely as recipients of media but as having an interactive role, playing around with art as they express their own imagination as a continuation of it. That’s one of the things I wrote, and you said that it really resonated with you.

57STUDIO: For example, the same song may sound different
based on the playlist’s title, or based on what songs you hear before and after it. There have been times when the song I wanted to hear has taken on a very different feeling. So this is really a case of the listener experiencing things through their own choices and taking on an active role. You talked about what was in the book, but there was another part I really liked. You mentioned how Annie Wong views music “not [as] a static aesthetic object but something that is always placed in a situation.” So for the music in this case, it’s currently a video, but sometimes it’s sound. That’s how I perceive it. So the question of what situation it’s placed in is not only the creator’s choice but also the choice of the experiencer. That’s the sense that I got.

KIM Hokyung: In that sense, when the new music video comes out, and moves beyond the museum’s aura into the online space, it takes on a different context, and you could view it as being a different work.

57STUDIO: Yes. That’s as far as it goes with our intentions. We obviously can’t decide what playlist it’ll be added to. Jang Younggyu and the other members of Leenalchi readily agreed to that choice, and we’re really grateful to them. I think working with them is what made thi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