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 리-플레이 :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 아티스트 인터뷰 "네임리스건축(나은중, 유소래)"
2015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 리-플레이 :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 아티스트 인터뷰 "네임리스건축(나은중, 유소래)"

서울시립미술관
리-플레이: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아티스트 인터뷰 “네임리스건축(나은중, 유소래)”
2015.10.20-12.13

SeMA
RE-PLAY: 4 PLATFORMS & 17 EVENTS
Artist Interview “NAMELESS Architecture(Unchung Na, Sorae Yoo)”
2015.10.20-12.13

작업 소개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진행된 전시 아티스트 인터뷰 영상을 기획, 제작하였다.

저희가 제안하는 건축적인 장치는 고정되고 솔리드한 구조물이 아니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사람들의 요구에 의해서 공간이 변화할 수 있는 건축적인 장치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네임리스건축(나은중, 유소래)

크레딧 보기

크레딧:

촬영/편집 57STUDIO

서울시립미술관은 ‘포스트 뮤지엄’이라는 비전 아래 관객을 위한 공간, 대중과의 소통, 타 장르와의 협업을 실천해왔다. ‘최근 도시재생정책과 함께 화두가 되는 ‘유휴공간’을 주제로 이를 지역 거점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프로젝트 리-플레이: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를 선보인다. 1980년대 이후 서구에서 등장한 ‘도시재생’이라는 개념은 문화 콘텐츠를 통해 후기 산업도시를 (재)활성화하고, 낙후한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도시문화정책을 포함한다. 국내에서도 2000년대부터 ‘창조도시’의 개념과 함께 유휴시설을 문화와 접목하여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하지만 이러한 오래되고 빈 건물을 활용한 도시재생 과정에서 사용자와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고려와, 이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 및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음을 지적할 수 있다. 관객과 커뮤니티가 직접 참여하고 창작 등 문화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미술관 프로그램과 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이다. 이 전시는 관객이 문화 활동의 주체이자 대상이 되는 문화공간의 모습을 모색하고, 그 작동 가능성을 실험하는 무대라 할 수 있다.

출처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전시소개글

(나은중)
보시는 슬라이드는 숲의 이미지 입니다. 저희들은 현재 방치되어 있는 땅 위에 하나의 숲을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정말로 자연적인 숲이기 보다는 문화적인 활동과 놀이가 가능하고 미술관의 야외 공간으로서 전시 공간, 야외 작업실 등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가치들을 담을 수 있는 하나의 인공의 숲을 제안했습니다.

숲은 개개의 나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나무들에는 나무를 지지하는 큰 줄기와 줄기에서 뻗어 나오는 잔가지들 사이로 잎이 펼쳐져 있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는데 저희들의 구조물은 그 두 개의 큰 기둥, 줄기가 변화한 하나의 큰 기둥과 기둥 사이에 펼쳐져 있는 불투명한 막과 같은 움직이는 벽을 형성했습니다.

저희는 움직이는 벽에 반투명한 스틸 매쉬 소재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벽이 하나의 솔리드한 벽체라고 느껴지기 보다는 반투명한 막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사람들이 숲의 기둥 사이를 움직이면서 벽들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마치 숲을 헤치고 다니는 그런 경험을 할 것이라고 예상이 됩니다. 그리고 기능적인 목적이라 한다면,

(유소래)
예를 들어 놀이터를 구획할 수도 있을 것 같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의 라인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나은중)
사람들이 그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벽들 역시 사람들의 행위로 인해서 움직이게 되고 아이들은 밑의 공간을 활용해서 뛰어놀 수도 있고.

(유소래)
전시장에는 저희가 예상하는 전체 숲의 일부를 전시하게 되지만, 사람들이 직접 기둥 사이를 움직이고 문을 움직이면서 공간을 돌아다니면서 이 공간이 유휴공간에 들어섰을 때 어떻게 공간을 구획하고 만들어갈 수 있을지 경험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은중)
구조물이 갖고 있는 특성이 유휴공간이라는 버려진 장소, 거기에 놓이게 될 임시적인 구조물, 그리고 그 곳을 방문하는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