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주변인 인터뷰 : 이수경
2020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주변인 인터뷰 : 이수경

MA-03-00007209, 공주 곰나루에서의 〈햇빛에 의한 작업> 사진, 9x12.5 cm

서울시립미술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주변인 인터뷰 : 이수경 (미술가)
2020.8.19 – 12.31

Seoul Museum of Art
Rise Up Rim Dong Sik
Interview : Yeesookyung (Artist)
2020.8.19 – 12.31

크레딧 보기

제작 : 서울시문화본부, 서울시립미술관, 57STUDIO
PD : 서울시문화본부 김호정, 송고운

연출 : 이미지
촬영/조명 : 정원우, 정재하
음향 : 양용진
사운드 감독 : 더백스 스튜디오 백종성
믹싱/마스터링 : 서정혁, 백종성
피아노/Synth : 김세종
기타 : 서정혁
보이스믹싱/fx 레코딩 : 김혜진
편집/색보정 : 이미지
영문 번역 : 전효경
영문 감수 : 앤디 세인트루이스
녹취/자막 : 박지호, 안재영, 오유찬

작업 소개

임동식 작가는 2018년부터 4차례에 걸쳐 자신의 예술 기록 자원을 서울시 문화본부에 기증하며, 서울시립미술관 미술 아카이브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시 문화본부는 그의 기록을 전시로 풀어내어, 자연, 삶, 예술의 통합을 추구했던 그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고, 퍼포머이자 아키비스트로서의 면모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57STUDIO는 이번 전시에서 영상 기획 및 제작뿐만 아니라 전시장 내 전반적인 미디어 프로덕션 협업을 담당하며, 커미션 작품 영상, 작가 인터뷰, 전시 설치 영상 등 전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임동식 작가의 예술 세계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관객들이 그의 작품과 기록에 더욱 깊이 공감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주변인 인터뷰 시리즈에서는 임동식과 함께 작업한 동료인 김학량 작가, 김해민 미디어아티스트, 이수경 미술가, 이성원 교사가 임동식과의 작업 경험을 추억하며, 그들이 바라본 작가의 작품 세계를 조망합니다.

Artist Rim Dong Sik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eoul Museum of Art’s art archive by donating his artistic records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Cultural Headquarters on four occasions starting in 2018. Building upon this, the Seoul Museum of Art and the Seoul Cultural Headquarters presented his records through an exhibition, shedding new light on his artistic philosophy that pursued the integration of nature, life, and art. The exhibition also re-evaluated Rim’s dual identity as a performer and archivist.

57STUDIO played a key role in this exhibition, not only in planning and producing videos but also collaborating extensively on media production throughout the exhibition space. The studio created a range of content, including commissioned artwork videos, artist interviews, and exhibition installation footage, delivering a comprehensive view of Rim’s artistic world.

The Periphery interview series features Lim Dong-sik’s collaborators—artist Kim Hak-ryang, media artist Kim Hae-min, artist Lee Soo-kyung, and teacher Lee Sung-won. They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working with Lim and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artistic vision and work.

Installation View


<주변인 인터뷰: 이수경>, 2020, 싱글채널비디오, 10분 53초, 57스튜디오
Lim Dong-sik Periphery Interview: Lee Soo-kyung, 2020, Single channel video, 10min 53sec. by 57STUDIO

Commissioned Work


* 이 영상은 57STUDIO 웹사이트 내에서만 재생 가능합니다.
* This video can only be played on the 57STUDIO website.

이수경 (미술가)

Lee Soo-kyung (Artist)

그때가 2005년이었는데,요 아르코미술관에 전시된 임동식 선생님 그림 앞에서 제가 아주 펑펑 운 적이있어요. 그 그림은 강의 한가운데에서 몸이 반쯤 물에 잠겨있는 남자가 호리병(페트병)을 높이 들고 그 강물에 물을 흘려보내는 그런 그림이었어요. 그 그림은 지금까지도 계속 저에게 새로운 의미로 다가옵니다. 그때는 몰랐지만, 지금 또 생각을 해보면 그 흐르는 강물에 물을 붓는 것이 얼마나 부질없고 무상한 짓인가요. 그 작품은 그림을 그리는 자의 숙명을 말해주는 것 같아요. 강물은 계속 한 방향으로만 흘러가는데 아무런 동요도 없이 가만히 서서 물을 쏟아내는 행위는 어쩌면 예술가가 주어진 숙명을 온전히 받아들이겠다는 어떤 선언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호리병(페트병)에서 나오는 물은 어쩌면 예술의 성체가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2005년에 제가 그 그림을 처음 봤을 때는 사실 어떠한 해석도 사고도 불가능한 상태였던 것 같아요. 그냥 저는 제자신을 잃어버리고, 그 그림의 세계에 완전히 흡수되어 버렸던 것 같아요. 사실 저는 그때까지만 해도 임동식 선생님에 대해서는 잘모르고 있었거든요. 그때 그 그림 앞에서 제가 무너져 내릴만큼 울었다는 것이 당혹스럽기도 했지만 이 기적 같은 사건은 저의 창작 활동에 아주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작품에 감동해서 눈물을 흘린다는 것은 현대미술의 관점에서 보면 굉장히 촌스럽고 철 지난 드라마로 보이겠죠.

그런데 2005년 선생님 전시를 본 즈음에 저는 작업에 있어서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려고하는 강박에서 조금씩 떨어져 나오기 시작했는데요, 분명히 임동식 선생님 그림과의 만남이 그것을 더 가속화했던 것 같아요. 임동식 선생님의 그림은 ‘나’라고 하는 개인뿐만이 아니라 내 안에 있지만 동시에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아름다운 것에 반응하고 감동하는 어떤 거룩한 존재에 호소하는 그런 작업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2019년 제일 더웠던 여름날 임동식 선생님의 공주 작업실에 다녀왔는데요. 그때 보았던 목욕탕을 묘사한 그림이 지금도 많이 떠오릅니다. 어떤 묘한 징후와 예감이 수증기처럼 목욕탕 안을 감싸고 있는 그 그림은 전체적으로 희뿌옇지만, 그 안에 내비치는 색채는 전율을 일으키게 할 만큼 너무 아름다웠어요. 마치 환영과도 같은 인물들은 어떠한 신화적인 상상력을 불러일으킵니다. (임동식) 선생님의 회화에 대한 헌신, 그리고 갈망이 특히 그 그림에 고스란히 담겨있는 것 같아요.

양자물리학에서 보면 우주만물은 물론이고 우리의 몸도 일초에 만 번 이상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 그러니까 아주 빠르게 명멸하는 빛으로 이루어진 존재라고 하는데요, 그 목욕탕이라는 공간에서 벗은 몸체들은 어쩌면 빛의 존재로서 모두가 연결되어있는 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그 공간은 기이하고 신비롭고 엄청난 아름다움으로 생생하게 채워져 있는데요. 그야말로 유한한 존재가 품는 욕망이라는 단어를 무색하게 만드는 어떤 초감각을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는 임동식 선생님만의 왕국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저를 울게 하고 그 당시 현대미술에 대한 권태로부터 저를 헤어 나오게 만들어준 <1981년의 여름의 기억>이라는 제목의 그림과도 마찬가지로 이 목욕탕 그림도 물과 연결되어 있는데요.

세례자 요한은 물로 세례로 주었고 수월관음 발 아래에는 만물을 소생하게 하는 물결이 일렁이고 있어요. 임동식 선생님의 그림을 볼 때에 거기에 무엇이 그려져 있는가는 저에게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캔버스 위에 기름기 하나 없이 ‘바스락 바스락’ 거리면서 쌓아 올려진 아주 작은 붓질들은 마치 끝없이 반복되고 이어진 만트라(mantra)처럼 그렇게 촘촘하게 구축된 어떤 에너지 장을 팽창해 나간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 어떤 절대적인 아름다움? 심지어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 만큼의 지독한 아름다움에 다다르고자 하는 임동식 선생님의 마음이 그림에 코딩이 되어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것은 어떤 종교적인 도상이나 장엄하고 거룩한 장면을 묘사하지 않고서도 마치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처럼 아름다움이라고 하는 것은 도처에서 찾아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나무를 그리신 것을 보면 거의 모든 잎사귀들을 다 그려내고자 하는 선생님의 소중한 마음이 담겨 있어요. 선생님 그림 안에서는 모든 존재들이 평등하게 사랑을 받고 있는 거죠. 잎사귀 하나하나가 아주 여러 번 그려지고 덧입혀지고 그러면서 지워졌다가 사라졌다가 나타나기를 반복하는 동안에 선생님은 계속 초감각으로 곤두서서 그 모든 순간을 깨우고 계신 것 같아요.

그래서 임동식 선생님의 그림 속에는 어쩌면 현실보다 더 실제 같은 다른 차원의 세계가 살아 숨 쉬고 있어요. 그래서 임동식 선생님의 풍경그림은 다른 시공간의 세계로 들어가게 해주는 통로 같습니다. 2005년, 선생님의 그림 하나가 외계의 운석처럼 날아와서 저의 가슴에 박혔어요. 그 이후에 저의 삶과 예술에 대한 태도는 달라지기 시작했어요. 나의 예술이 나의 삶을 소외시키지 않았고, 다소 친밀해졌어요. 임동식 선생님 덕분에 나의 감정을 부정하고, 감동의 순간들을 의심하고 현학적인 체하면서 작업에 냉소적인 농담 섞기를 즐겨 하던 작가로서의 아주 못된 버르장머리를 어느 정도는 없애게 된 것 같습니다. 비록 저 자신은 유약하고 무너져 내리기 쉬운 존재이지만 지극한 아름다움을 통해서 우리 안에 살아 숨 쉬는 거룩한 존재에 감동을 줄 수 있는 그런 작품을 저도 일생에 단 한 점이라도 내보일 수 있으면 하는 소망이 제에게 있는데요, 그것을 감히 품을 수 있도록 계속 용기를 주시고 더 큰 그림자를 우리에게 드리우며 저만치 앞서가시는 임동식 선생님께 큰 감사를 드립니다.

It was back in 2005. I cried my eyes out before Rim Dong Sik’s artwork exhibited in ARKO Art Center. It was a painting with a man half-submerged in the middle of a river with a bottle in his hand raised up high, pouring the water into the river. I still find that painting novel and meaningful. I didn’t realize it back then, but when I think of it now to pour water into the flowing river is such a meaningless, pointless act. I think that painting depicts the fate of an artist. While the river flows in one direction without being agitated, he stands still to pour the water into the river. This act feels like an artist’s declaration to accept the fate that was given to him as is. Maybe the water that comes out from the bottle symbolizes the sacred body of art.

But when I first saw the painting in 2005, I wasn’t in a place to interpret or comprehend the work. I just lost myself and was immersed in the world of that painting. Honestly, up until then, I didn’t know much about him. I was a bit confused that I broke down and cried in front of the painting. This miraculous encounter had a profound impact on my creative works. To shed tears moved by an artwork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can be very cheesy and sound like a drama from the past.

Around the time I saw his work in 2005, I was taking a step away from the obsession to be rational and reasonable when making art. I’m sure that the encounter with Mr. Rim’s work accelerated this process. I believe his works speaks to an individual and something that is within me that is commonly shared by all. They appeal to a certain divine being that responds to and be touched by something beautiful. On the hottest summer day in 2019, I visited Mr. Rim’s studio in Gongju. I still remember the painting I saw that portrayed a bathhouse. Mysterious signs and feelings filled up the bath like vapors so that the painting looked hazy in general, but the colors that penetrated through were so beautiful that they gave me chills. The illusion-like people arouse some sort of mythical imagination. I think Mr. Rim’s devotion and yield for painting is especially well depicted in that painting.

In the perspective of quantum physics,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cluding our bodies, switch on and off over 10,000 times a second. In other words, we are consist of flickering light. When I saw the naked bodies in the bathhouse, I thought everyone is connected to one another as existence of light. Also, that space mystical, mysterious. It was lively filled with marvelous beauty. It put the desires of finite beings to shame. I thought it was like Mr. Rim’s kingdom that can only be reached through extrasensory perception. Come to think of it, just like the painting Memories of the Summer 1981 that made me cry and helped me escape the mannerism this painting of the bathhouse also relates to water.

John the Baptist used water to baptize. The life-reviving waves roll beneath the feet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When I look at Mr. Rim’s paintings, it doesn’t matter what are painted. The layers of tiny, crisp, oil-less brush strokes are like a mantra that repeats and is connected infinitely. I think it expands some dense energy field. Maybe it’s an absolute beauty? I think Mr. Rim’s determination that could even save us is programmed in his paintings. He’s showing us that we don’t have to portray religious figures or magnificent, holy scenery to describe beauty. Just like the air around us, I think he’s telling us that beauty can found everywhere.

When I look at Rim’s paintings of trees, I can see his precious devotion not to miss any leaves. All beings are loved equally in his paintings. Each leaf is painted repeatedly, layer after layer while continuously getting erased, disappeared, and revealed again. While doing so, he is keen with his extrasensory perception to wake every single moment.

That is why the world in his paintings is a different world that is more real than reality itself. I think that’s why Mr. Rim’s landscape paintings become a pathway for us to enter different time and space. In 2005, one of Mr. Rim’s paintings flew and lodged in me like a meteor. Since then, how I treat life and art has changed. My art no longer isolated my life. They started to get along. I’m grateful for Mr. Rim Dong Sik. It’s because I used to deny my emotions, doubt touching moments, and add cynical jokes into my works as if that was the way to be pedantic. These terrible artistic attitudes have been corrected a bit, thanks to him. I’m a weak, easily breakable being, but I have a wish to create at least one piece in my life that touches heart of the holy being living in us with profound beauty. For offering me the courage to keep that wish, and for paving the way far ahead of us, while casting a big shadow on us, I want to thank Mr. Rim Dong Sik.

1975년 여름의 기억, 2015-2020, 캔버스에 유채, 182x227 cm, 서울시립미술관 제작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