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Museum Night : 송고운
2020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Museum Night : 송고운

서울시립미술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큐레이터의 시선 : 서울시문화본부 학예연구사 송고운
2020.8.19 – 12.31

Seoul Museum of Art
Rise Up Rim Dong Sik
Museum Night : Curator Song Goun, Seoul Culture
2020.8.19 – 12.31

크레딧 보기

제작 : 서울시립미술관
대행 : 오은
연출 : 이미지
촬영/조명 : 정원우, 정재하, 김태우, 양용진, 서동주
음향 : 양용진
편집/색보정 : 이미지
녹취/자막 : 오유찬

작업 소개

코로나19로 인해 휴관 중 막을 내린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전시의 큐레이터 인터뷰 영상입니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에 설치된 작품들을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전시를 준비한 큐레이터와 아키비스트들이 관객과 직접 만날 수 없었던 작품들을 하나씩 소개합니다. 온라인을 통해서나마 전시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This is the curator interview video for the Rise up, Rim Dong-sik exhibition, which closed during the COVID-19 shutdown. The video offers viewers a virtual tour of the artworks installed at the Seosomun Main Branch of the Seoul Museum of Art, with curators and archivists introducing each piece that could not be directly shared with audiences. It reflects a desire to mitigate the disappointment of missing the exhibition by offering an online experience.

서울시립미술관은 2020년 8월 19일부터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을 서소문 본관 1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은 순수 자연에 대한 강렬한 사랑을 바탕으로 예술 세계를 펼쳐온 한국 자연 미술가 임동식(1945~)의 개인전이다. 2018년부터 임동식은 4차에 걸쳐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2021년 12월 개관 예정)를 위해 서울시 문화본부에 본인의 예술기록 자원을 기증한 바 있다. 이에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시 문화본부는 협업을 통해 197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는 작가의 예술기록 자원을 전시로 풀어내어, 자연, 삶, 예술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평생 끈질긴 퍼포머이자 꼼꼼한 아키비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 온 작가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번 전시는 아카이브와 관련된 본격적인 연구의 첫발을 내딛는 동시에 자연에 쉼 없이 열정적으로 다가가는 과정을 다성적 짜임새를 지닌 예술로 승화시킨 작가 임동식의 방식을 통합적으로 목도할 기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시도가 사유 예술가로 불리길 희망하는 임동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로 이어지고, 향후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에서 전개될 프로젝트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출처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전시소개글

안녕하세요. 서울시 문화본부 학예연구사 송고운입니다. 제가 소개해드릴 드로잉 작품은 <흰 눈이 나리다>인데요, 사실 설명이 그다지 필요 없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흰 눈이 내리고 있는 풍경이 드로잉되어 있고 그것이 제목으로도 그대로 잘 드러나 있는데요, 얇은 종이 위에 지붕이 그려져 있고 그 지붕 위로 흰 눈송이 하나하나가 칼로 오려져서 눈송이 하나하나가 다시 처마에 내려앉아 있고 일부는 또 고드름으로 매달려 있습니다.
사실 별 다를 것 없는, 그다지 특별하지 않은 풍경이기도 한데요. 1980년대 중반 독일 유학 시기에 그려진 이 풍경은 자세히 보시면 지붕이 한국식 기와집으로 되어 있어요. 그래서 독일에서 본 풍경을 그린 것이 아니고 기억의 풍경을 그린 것이기도 한데 1980년대 중반 독일에서 유학하던 시기는 작가님이 조금 더 자연과 내밀하게 다가가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풀밭 위에 누워서 이슬을 받아 마신다든가 풀잎과 마주보고 생각에 잠긴다든가 이런 식의 자연과 마주하는 어떤 그 상황들이 사진으로 기록되어 있고 그것이 또 작품의 제목으로서 더 잘 드러나는데 이를테면 이런 것이에요. 이슬 받아 마시기, 풀잎과 마주한 생각 이런 것처럼 제목이 어떤 꾸밈이 없고 그 자체가 작업이자, 행위이자, 의미이기도 한 것인데 그러한 관계들이 드로잉에서도 잘 드러나는 거 같아서 설명해 드리고자 뽑았습니다. 제가 만약 이 <흰 눈이 나리다>라는 드로잉에 대해서 설명을 조금 더 하려고 ‘이 작품은 종이를 오리고 그대로 붙임으로써 부증불감에 어떤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그런 눈에 보이는 그 상태 그대로를 드러내려 했다,는 1970년대에 임동식 작가의 <견분> 시리즈의 작업과 맥이 닿아 있다.’ 이런 식의 설명을 만약에 하게 된다면 이 드로잉이 품고 있는 매력 자체가 조금 반감이 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때로는 우리가 언어가 필요하지 않을 때 언어 없이도 미술이 조금 더 몸소 더 받아들여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고요.

흔히 미술 혹은 예술이라고 할 때 그것이 아방가르드하고 전위적이다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고 미술이라는 것은 어떤 시대에 앞서서 민감하게 현실에 반응해야 하고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고 거기서 먼저 보여주는 듯한 경향과 태도들이 분명 존재합니다. 그런데 임동식의 작업에서는 그런 경영에서 한발 물러나서 자연에 좀더 다가감으로써 오히려 그러한 경향이나 미술계를 뒤돌아보게 하는 반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우리가 임동식을 모르는 관객조차도 임동식의 작업을 봤을 때 거리낌 없고 감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은 그렇게 어떤 미술이란 언어의 틀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흰 눈이 나리다>라는 드로잉에 내재한 그 담백하고 솔직한 풍경이 조금 더 의미 있고 감각적으로 관객에게 다가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한번 뽑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