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미술관소장품강좌 (신학철 Shin HakChul,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Who Said They Saw the Sky?, 1989)
2020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미술관소장품강좌 (신학철 Shin HakChul,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Who Said They Saw the Sky?, 1989)

국립현대미술관
열린강좌
미술관소장품강좌
2020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Open Class
MMCA Collection
2020

크레딧 보기

제작: 국립현대미술관
기획: 강지영
영상: 57STUDIO

작업 소개

57STUDIO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열린강좌 프로그램 중 미술관 소장품 강좌 시리즈를 제작하였습니다. 윤범모 관장이 직접 작품을 설명하는 형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또한, 어느 장면을 캡처하더라도 교육 자료로서의 기능이 충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였습니다. 이 시리즈는 작가 12명의 작품을 조명하며, 매주 수요일 YouTube LIVE를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57STUDIO produced the Museum Collection Lecture Series as part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MMCA) open lecture program. The series was structured in a format where Director Yoon Bum-mo personally explains each artwork, ensuring its effectiveness as a valuable educational resource for use in learning environments.

The videos were designed so that every frame could function as an informative material, regardless of where it was captured. This series highlights the works of 12 artists and was released weekly via YouTube LIVE every Wednesday.

신학철 Shin HakChul,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Who Said They Saw the Sky?, 1989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많은 질문을 던져 주고 있는 그림입니다.
신학철의 한국 근대사 시리즈 중에 한 작품이죠. 일견 이 그림을 보면 상당히 특이한 그런 구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크게 봤을 때 기본적으로 하늘을 향해서 상승하는 수직 구조이네요. 아래부분에 근대기에 다양한 역사의 현장에 등장하던 인물 물론 그 중에는 이름이 남겨지지 않은 익명의 어떤 민중이 무수하게 바탕을 장식하고 있고 또 상승하면서 역사의 현장의 주역일 수 있는 그러나 이름을 또 모르는 상당한 인물들 그러면서 현대사에 부분의 상층부에 있습니다.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참 울림이 있는 제목이 아닌가 싶습니다. 1980년대 들어오면 우리 미술계에 지형이 상당히 다르게 됩니다. 이른바 제도권과 민중권이라고 하는 양대의 진영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그 전에는 모더니즘 중심으로ㅜ우리 미술계가 하나의 제도를 이루고 있었다면 그것에 대한 저항으로써의 일군의 젊은 작가들이 새로운 발언을 하기 시작하죠. 사회의식이라든가 현실, 시대정신 이런 것을 기본으로 해서 민족이 뭔지, 사회가 뭔지 이러한 거대담론을 주목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존의 미술계 판도에 양분했다 할 정도로 새로운 화풍,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게 됩니다. 나중에 민중 미술이라고 불리는 그런 일련의 미술 운동이 벌어지게 됩니다.

지금 이 작품의 작가인 신학철 작가도 80년대에 새롭게 두각을 나타내는 아주 독특한 화풍의 작가입니다. 원래 신학철 작가는 모더니즘 계열로 미술계에 입문했고 또 나름대로 작가적 기반을 닦고 있다가현실에 대해서 새로운 눈을 뜨게 되지요. 그러면서 자기의 역량을 과시하게 되는데 그때 나타난 작품이 한국 근대사 혹은 한국 현대사 시리즈를 아주 대작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작가가 역사를 현실을 독자적으로 해석한 연출된 어떤 특정 광경이라고 볼 수 있지요. 콜라주란 형식으로 많은 작품을 했고또 유화 작품임에도 독특한 형식을 구사하는 그런 작품이 됩니다. 역사를 작가는 어떻게 해석했는가 그 해석한 방식을 이렇게 조형언어로 발표하는 그런 형식을 갖게됩니다. 80년대라는 것이 군사 정권 시절이었기 때문에 반대적으로 민주화운동이 치열했던 시대였기 때문에 그 치열한 현장과 역사의식과 시대정신 이런 것이 골고루 녹아서 이룩된 시리즈의 한 작품이 되겠습니다.

역사와 현실을 생각하게 하는 그런 발언이 담겨져 있지요. 미술계에서 이런 문제 제기를 했다는 자체가 아주 독특한 상황을 증명해 주고 있고 그런 내용이 오늘날에는 국제무대에서 80년대 이 미술 운동이 학술적 연구의 대상이 되어서 많은 또 연결 대상이 된 결과로 논문이 나오고 있고요. 이러저러한 전시나 출판 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정하고 주목한다는 뜻이겠지요.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다시 이 작품을 자세히 한번 보겠습니다. 익명의 그러면서도 역사의 주인공을 의미 하지 않나 그래서 비록 익명이지만, 무명이지만 역사의 현장에서 역사를 부둥켜안고 있는 인물 이런 인물이 무수한 속에서 한 분일 텐데 이런 인물들에 의해서 우리 근대, 현대 역사가 이렇게 변화 발전하고 있는 모습 그래서 19세기 말 동학농민전쟁 시절부터 80년대 민주화 운동의 현장까지 이뤄지는 근현대 역사를 작가가 해석한 모습 바로 이런 도상으로 특화됐다 볼 수 있습니다. 신학철이란 작가는 이렇듯 역사와 현실을 독자적으로 해석한 독특한 화풍으로 80년대 이후 주목을 받는 작가로 이름을 높게 떨치고 있습니다.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서 여러분 어떻게 대답하실지 저도 궁금합니다.

Shin HakChul, Who Said They Saw the Sky?, 1989

Who Said They Saw the Sky? This is a painting that asks many questions. The artist is Shin Hak-chul, and it is from his series entitled Korean Modern History. The first thing to notice is the unusual composition. Overall, it has a vertical structure that rises toward the sky. At the bottom, there are various people represent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 Of course, many of the people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are anonymous. Moving upwards, the people become more prominent, yet still anonymous depicting those who could play a leading role in history. Those in the upper part represent the contemporary era.

Who Said They Saw the Sky? I think this title has such a deep resonance. By the 1980s, the field of Korean art had undergone major changes, dividing into two main camps:institutional art vs. Minjung art. Before that, the Korean art world was dominated by a strong focus on modernist art. However, groups of young artists began to raise their voices to resist the dominance of modernist art. With an elevated social consciousness, fueled by the conditions and spirit of the times, they started pursuing grand discourses, including what a nation or what a society should be. This led to a new painting style that came through like a fresh breeze, dividing the existing art field in two. This is how the movement later called “Minjung art” was formed.

Shin Hak-chul, who made this painting, emerged in the 1980s as an artist with a very original style. After entering the art field as a modernist and building his artistic foundation, Shin Hak-chul opened his eyes to social realities and started demonstrating his true capacity. He began to produce his Korean Modern History series, which explored the theme of modern history on a grand scale. The series can be viewed as a restaging of scenes from history according to the artist’s own interpretation of reality. Many of these works combine methods of collage with oil painting for a highly unique style and composition. That is, the format of the series is an attempt to express the artist’s interpretation of history through the language of formal aesthetics. In Korea, the 1980s were still the period of the military regime, but also the fierce struggle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gainst the military regime. In this painting, as in the entire series, the artist evenly blended those intense conflicts with a deep awareness of history and a spirit of the times.

It also contains his thoughts reminding us of that history and reality. The production of such works of “committed art” was totally unique to Korea in the 1980s, and this art movement has now become the subject of wide research, leading to the various exhibitions and publications. Perhaps this means that the movement’s uniqueness has been recognized and confirmed. Now, let’s look more closely at this painting I think it represents an anonymous person, who is still a protagonist of history. Despite being anonymous, this person still embraces history at the very site where history is taking place. It is through people like this that ou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hanged and developed. This image contains the artist’s full interpretation of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rom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f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the 1980s. Since the 1980s, Shin Hak-chul has been renowned for his innovative style and independent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reality. Who Said They Saw the Sky? I’m curious to know how you would answer that qu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