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황수연
2019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황수연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황수연 작가 작업실에서 진행한 인터뷰 음성을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모습과 설치 장면들을 함께 구성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황수연 작가는 자신의 주변에서 발견한 재료들을 오랜 시간 동안 바라보고 자신이 만져보고 두드려보고 소화시킨 다음에서야 조각으로 만들어내는 작가입니다. 그리고 한 작품을 만드는 과정과 그 시간이 작가에게 굉장히 중요한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와 공간에 맞는 다양한 조각 군들을 종이 등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우리는 이런 황수연 작가의 조각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조각의 모습이 아닌 시간과 장소와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는 조각의 다양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안녕하세요 저는 황수연 작가이고 몸으로 살아내는 것에 대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작업에 있어서 시간의 가변성을 굉장히 중요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저의 초반 작업들은 이렇게 구체적인 형태가 없는 재료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형태를 끌어내는데 집중을 했습니다.

Hello, my name is Hwang Sueyon. I work with the idea of living with the body. For me, the variability of time is very important in my work. My early work focused on eliciting the potential form from materials with no specific form.

물성과 저의 신체가 만나서 이루어지는 또 다른 현상에 관한 것인데, 종이를 펼치고 연필로 새카맣게 종이가 일어날 때까지 칠 하거나 얇은 알루미늄 포일을 뭉쳐질 때까지 때린다던가 하는 과정을 통해 다시 알루미늄 덩어리로 돌려보내거나 고무줄을 굉장히 잘게 잘라서 이것들이 실용성과 비실용성 사이에서 아무런 의미도 없게 만들고 다른 몸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작업들을 했습니다. 제가 입체라고 생각하는 건 어떤 덩어리가 이 세상 속에 모여서 살아가는 방식을 입체라고 생각하는데, 물리적인 몸으로써 물리적인 세상을 갈등하고 마찰하면서 살아가는 현상을 은유적으로 벌어지는 현상으로 이해하였습니다.

It’s about the phenomenon of the encounter between matter and my body. For example, I would fill a sheet of paper black with pencil lead, or keep pounding at thin aluminum foil until it converges into a lump to revert it back to a lump of aluminum. Or I’d cut rubber bands into very small strips. These works rendered such gestures meaningless between the practical or impractical, and enabled one to inhabit another body. My idea of the three-dimensional entails how certain lumps come and live together in this world. I’ve used the metaphor of how the physical body brushes shoulders with the physical world, and the ensuing phenomena thereof.

몸을 많이 의식하다 보니까 직접 몸을 만들고 싶은 생각이 있었습니다. 제가 옷을 만드는 학원을 다닌 적이 있고 옷을 재단하는 곡자 같은 것들을 보았습니다. 등이나 엉덩이, 겨드랑이 선들을 잘 그릴 수 있는 통계가 들어 있는 자였고 그렇게 해체되는 선들을 모아서 드로잉을 한 선 한 선 해나가면서 몸을 만들었습니다.

Being so conscious about the body I wanted to make the body myself. I once studied how to make clothes at a workshop, and saw curved rulers for cutting fabric. The ruler contained markings best suited for sketching out the lines across the back, buttocks, and armpits. I drew the lines together to create the body.

예전에는 굉장히 물리적이고 손의 압력으로 나와야 끄집어낸 물성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지금은 제가 이렇게 쌓아온 그 본 자체에서 나오는 것. 하나의 본을 만들면 다른 본에도 계속 적용이 되어서 비슷한 개체들이 만들어지는데, 이렇게 똑같은 원이라도 이런 비슷한 본들이 많습니다. 이런 것들의 데이터가 저한테는 새로운 물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것들을 다시 이용하고 형태를 또다시 활용하면서 자연물, 동식물 같은 모양들이 많이 나옵니다. 그것은 제가 생물학에 관심이 있었고, 몸을 만들면서 자연스러운 무의식 속에 생물이나 인간으로서 공감되는 형태들을 끌어왔다고 생각합니다.

I used to think such materiality must come from the very physical pressure of my hand. But now it all comes from the patterns I’ve accumulated. Once I draw a pattern, the same applies to the next pattern. I thus end up with similar iterations, even for a circle like this.There are lots of patterns similar to this. For me, this sort of data is a new type of material. I use this data and forms again to create beings of nature, fauna, and flora. This is because I’ve been interested in biology and subconsciously recalled creatures that I can relate to as I created the body based on these forms.

종이 조각을 시작을 해서 계속 쌓을 수 있고, 유동적으로 몸과 머리가 바뀔 수 있는 것들도 생각을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한꺼번에 크게 다 붙여서 만드는 것은 저에게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에 여기로 옮겼다가 저기로 옮겼다가 펼쳐서 보관해야겠다는 생각도 하게 되고, 몸을 제가 완전히 ‘인체의 몸’이라고만 생각하지 않고 다양한 덩어리라고 생각을 하니까 내부에 공간들도 있고 앞으로 나오고 뒤로 돌아가는 그런 내부들을 만들다 보면 되게 길을 헤매는 느낌입니다.

They may be paper statues that can be built on endlessly, or things on which the head and body can flip flexibly. This is because putting together everything at once was not a feasible option for me. They had to be moved around, or even spread out for storage. For me, the body isn’t just the “human body”. Rather, it’s a lump in various forms. Internalized spaces come out forward and curve backwards, and creating such internal spaces makes me feel lost at times.

지금 저는 조각을 만들면서 동시에 파괴한다 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종이 조각들이 굉장히 조각적인 태세를 지니고 있지만 아주 가까스로 버틸 수 있게 만들어 놓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것 역시 점점 파괴되고 있는 과정이고 일관성이 있게 젊었을 때부터 그 생활을 계속해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관객분들이 그저 어떤 이상한 형태들이 나를 맞이하는구나 저런 표정 나오는 코가 재미있고, 손으로 만지작거렸던 시간들이 느껴지는구나 하고 즐겁게 봐 주셨으면 좋겠어요.

I often talk about creating while also destroying my sculptures. The paper sculptures have very sculptural postures, but they’re set so that they can barely support themselves. They’re in the gradual process of destruction, which is also reflective of my own life since when I was young. I just hope that audiences have a pleasant experience with my work, and are able to read the strangeness and sense of touch in the works.

사진 | 홍진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