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장서영
2019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장서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장서영 작가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가의 작품과 전시장 설치 풍경을 함께 담았다.

장서영 작가는 영상과 조각, 설치를 주로 다루는 작가입니다. 특히 장서영 작가는 신체 내부와 그리고 시간이라는 두 가지 주제에 관심이 많은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유전자라고 하는 우리 몸에 가장 작지만 또 가장 큰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4개의 영상과 여섯 개의 조각을 통해서 마치 각자 독립적이지만 하나의 작품처럼 구성된 장서영 작가의 작품세계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저는 장서영 입니다 저는 영상과 입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내레이션, 자막 같은 언어적 요소와 특정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인물이 등장하는 영상을 주로 만들고 있고, 이 영상 안쪽에 있는 내용하고 연결되는 입체 작업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스크린 안쪽에서 벌어지는 상황과 스크린 바깥쪽, 즉, 입체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상황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그 공간, 전시 경험을 총체적으로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Hello, my name is Chang Seo Young.
I work with video and three-dimensional work. I mainly create videos where a figure repeats specific actions, combined with linguistic elements like narration and subtitles. My “three-dimensional” work are connected with the contents of these videos. What happens inside the screen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to the situa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 attempt to create situations where the viewer can experience the space and exhibition as a whole.

저는 존재감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하고 있고, 뚜렷한 윤곽선이 보이는 그런 존재감, 절대적이고 확고한 존재감이 아니라 이 것이 어떻게 관찰되는지 혹은 어떤 맥락에서 보이는지에 따라서, 분명히 (있긴) 있지만, 없는 것처럼 보여지는 상황이나 아니면 희박한 존재감 혹은 반대로 더 과장하여 보여질 수 있는 존재감에 관심을 갖고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I am interested in the sense of existence in my work. By that, I don’t mean clear, bold outlines, or something absolute or unshakable. Instead, I’m more interested in how things seem present but aren’t, depending on how they’re observed and in what context. I’m interested in such faint sense of existence, or conversely, existence that can be exaggerated.

요즘 관심이 있는 주제는 그 중에서도 시간하고 신체입니다. 신체가 시간 안에서 어떻게 체험 되는지 관심 있습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어떤 존재감을 가져서 수축하고 팽창하는지 혹은 반대로 시간 안에 있는 몸은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신체를 해석하는 말에 따라서 어떤 부분은외형적인 부분으로서 신체를 해석할 수가 있는데, 제 작업에서는 기능하는 장기, 살아있게 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로서의 ‘신체’입니다. 따라서 낙후되어가는 ‘신체’라는 의미에서 시간과 신체를 같이 염두하여 작업하고 있습니다.

These days, I’m inspired by the subjects of time and body, specifically, how the body is experienced through time. I’m interested in how the body takes on a sense of existence, expanding or contracting through the passage of time, or what happens to the body in time. Some aspect of interpreting the body can be seen from an external sense. In my work, though, “body” refers to the organs, the essential elements that keep one alive. So the body in my work is something that grows obsolete, and I keep this context in mind for both body and time.

전시공간 안에서 영상을 볼 때 (계속) 루프 되는 영상을 보게 됩니다. 루프 안에서는 시간이 흐르지만 결과적으로는 같은 일이 다시 반복되고, 계속 같은 상황이 영원히 회귀되는데 영상 안에 있는 주체, 영상 안에 있는 인물들에게는 그것이 탈출할 수 없는, 나갈 수 없는 시간입니다. 이 부분이 제가 인식하고 있는 몸과 비슷합니다. 몸 바깥으로 나갈 수 없는, 나에게 주어진 몸은
하나이고 (이것) 이외의 다른 가능성은 없이 (그) 바깥으로 나갈 수 없는 탈출 불가능성과 (그) 회전 하듯 순환하는 이미지를 연결하여 작업하였습니다.

The video in the exhibition space keeps playing in a loop. Time keeps flowing within the loop, but ultimately the same thing repeats itself perpetually and infinitely. To the subjects and figures within the video, it’s like the inescapable fetters of time. This is similar to my awareness of the “body.” I’ve only been given one body that I can’t escape. There is no other possibility than this one body. So I made a link between the inescapability of the body and the image of the cycling loops in my work.

스마트폰을 만들 때 곡률, (아니면 )표면의 마감 그리고 텍스처 같은 (이런) 물성이 사람의 피부를 닮도록 만든다고 합니다. 물론 봤을 때는 이런 매끈함과 피부에 유사성이 전혀 없을 것 같지만 기계가 촉발하는 촉각성 자체가 사람과의 접촉을 연상시키는 것을 목표점으로 한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Smartphones are designed so that their curves, surface, and textures resemble human skin. At a glance, there seems to be no resemblance there, between the smooth surface of the phone and human skin. But apparently, the tactile experience of the device is meant to conjure up the experience of human contact.

스크린과 특히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서 내가 직접 경험하지 않았지만,다른 사람의 경험까지(도) 내 경험으로 포섭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험의 확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시각이 확장되는 것은 너무 당연한 것이고, 버추얼 마사지, ASMR, 먹방 같은 콘텐츠를 통해서 촉각,미각 혹은 불완전하게 후각까지도 저 사람의 몸 인지 (아니면) 나의 몸인지 구별 불가능한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화면을 통해서 매개되는 다른 사람의 몸. 하지만 그 사람의 몸이라는 게 나의 몸, 저 사람의 몸이 아니고 우리 모두의 몸도 아닌 제3의 몸, 그런 어딘가의 사이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hrough the screen, particularly a smartphone screen, people can appropriate others’ experience as their own, even when they’ve never experienced it themselves. The rapid expansion of experience has naturally expanded the visual field. Such expansion has also covered other sensations, like virtual massage, ASMR, and mukbang content, making it im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whose body it is, experiencing all this. The body of others, channeled through the screen, is no longer really theirs nor mine. It’s somewhere between ours and a third party’s, falling halfway between that gap.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안과 밖이 뒤집히고 위아래가 전복되거나 혹은 중요한 것이 되게 사소한 것이 되고, 반대로 되게 사소한 것이 중요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고 그런 여러 형태로의 뒤집음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번 작업에서도 네거티브와 포지티브가 뒤집히는 상황이 여러 각도에서 나오게 됩니다.

I’m fascinated by the various forms of flipping ideas, such as how,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the inside and outside, and upside and down are flipped, or how important things become something trivial and the trivial becomes important. My works in this exhibition also present many situations where the negative and positive are flipped.

영상에는 덩어리들의 이미지가 점점 다가오는 상황이 보이는데, 이게 빛에 의해서 분명 파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튀어나온 것처럼 포지티브와 네거티브를 오가는 듯이 보입니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인식되고 조각에서는 점점 없어지는 단계 중에 시간의 한 부분이 보이는 것입니다.

The video shows images of lumps approaching. Although they are definitely embossed inwards, the lighting makes them look like they’re bulging,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 can thus change recognition. What is captured is a frozen moment
of the sculpture melting away.

왜냐하면 조각은 정지되어 있으며, 반대로 전환해서 생각해 보면 영상에서는 시간이 흘러가지만 루프에 의해서 그 시간 이후로는 벗어날 수가 없는 것이고 실제 조각이 놓인 시간은 조각 자체는 정지되어 있다고 해도 실제 시간이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뒤집힌 것 같은 이상한 시간성이 느껴집니다. 한 쪽은 정지되어 있지만 흐르고 있고, 다른 쪽은 흐르지만 정지되어 있는 이런 점들을 오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his is because the sculpture is stationary, just like the way time flows in the looped video, but cannot actually escape beyond that video because of the set loop. The time where the sculpture is placed may be stationary, but time itself continues to flow, creating a strange sense of flipped temporality. A part stands still while the other part flows, and vice versa. My work are an exploration of such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