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전시 기록 & 큐레이터 인터뷰
2020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전시 기록 & 큐레이터 인터뷰

서울시립미술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전시 기록 & 큐레이터 인터뷰
2020.8.19 – 12.31

Seoul Museum of Art
Rise Up Rim Dong Sik
Exhibition Document & Curator interview
2020.8.19 – 12.31

작업 소개

코로나19의 상황 속에서 휴관 중 막을 내린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의 전시 기록 및 큐레이터 인터뷰 영상이다. 왠지 쓸쓸해 보이는 서울시립미술관 속 작품들을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으며, 작품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임동식 작가의 영상까지 온라인에서나마 전시의 아쉬움을 달래보고자 한다. 

“그러나 이 작업에는 특별한 논리적인 해설은 없습니다.
그냥 젖어오는 그런 감흥이었고요.
글을 통해서 사변, 탐닉, 감각
온갖 어떤 구조적인 생각 그런 것에서부터 저는 벗어날 수가 있었습니다.”

– 임동식

크레딧 보기

크레딧:

제작 : 서울시문화본부, 서울시립미술관, 57STUDIO
PD : 서울시문화본부 김호정, 송고운
연출 : 이미지
촬영/조명 : 정원우, 정재하
음향 : 양용진
사운드 감독 : 더백스 스튜디오 백종성
믹싱/마스터링 : 서정혁, 백종성
피아노/Synth : 김세종
기타 : 서정혁
보이스믹싱/fx 레코딩 : 김혜진
편집/색보정 : 이미지
영문 번역 : 전효경
영문 감수 : 앤디 세인트루이스
녹취/자막 : 박지호, 안재영, 오유찬

서울시립미술관은 2020년 8월 19일부터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을 서소문 본관 1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은 순수 자연에 대한 강렬한 사랑을 바탕으로 예술 세계를 펼쳐온 한국 자연 미술가 임동식(1945~)의 개인전이다. 2018년부터 임동식은 4차에 걸쳐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2021년 12월 개관 예정)를 위해 서울시 문화본부에 본인의 예술기록 자원을 기증한 바 있다. 이에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시 문화본부는 협업을 통해 197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는 작가의 예술기록 자원을 전시로 풀어내어, 자연, 삶, 예술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평생 끈질긴 퍼포머이자 꼼꼼한 아키비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 온 작가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번 전시는 아카이브와 관련된 본격적인 연구의 첫발을 내딛는 동시에 자연에 쉼 없이 열정적으로 다가가는 과정을 다성적 짜임새를 지닌 예술로 승화시킨 작가 임동식의 방식을 통합적으로 목도할 기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시도가 사유 예술가로 불리길 희망하는 임동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로 이어지고, 향후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에서 전개될 프로젝트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출처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전시소개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은 자연, 삶, 예술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평생 끈질긴 퍼포머이자, 꼼꼼한 아키비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온 임동식의 예술 세계를 조명하는 개인전입니다.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이라는 전시 제목은 1981년 여름 공주 금강에서 임동식의 주도로 시작된 ‘야투(野投)-야외현장 미술연구회’에서 선보인 두 개의 퍼포먼스 제목 – <일어나>와 <올라가> – 에서 차용한 것으로, 임동식 특유의 미학적 행로가 시작된 기념비적 순간을 역동적으로 포착합니다. 전시는 크게 ‘몸짓’, ‘몰입’, ‘마을’, ‘시상’ 등 4개의 주제로 나뉘어지는데요, 현실과 형식에 저항하며 행한 자연교감적 퍼포먼스에 이어 사실과 상상의 영역을 넘나드는 회화, 그리고 그 기반이 되는 풍부한 아카이브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지배적 경향에 휩쓸리지 않고 자유로이 펼쳐 온 그의 작품 세계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Rise Up Rim Dong Sik is a solo exhibition surveying the life-long practice of Rim Dong Sik (b. 1945), an artist who has consistently pursued an art world of his own integrating nature, life, and art as a persistent performer and meticulous archivist.

The title of the exhibition, Rise Up Rim Dong Sik, is inspired by two performances—Stand up, and Rise Up—presented at the first meeting of the Yatoo-Outdoor Field Art Research Association, held at the Geumgang, Gongju, 1981. It dynamically captures the monumental moment since which Rim has walked a path of his own. The exhibition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themes to follow the chronological flow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of the artist: Gesture, Flow, Village, and Poetic Notion. From resistance to reality and convention to performances of communion with nature and paintings that navigate between the realms of fact and imagination, the exhibition highlights an art world of the artist, who did not conform to the dominant tendency of the time and freely express his artistic vision.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아카이브를 기록물이 아닌 순수 창작물처럼 체계적으로 수집, 분류, 보관, 연구될 대상이자 중요한 예술적 영감의 산실로 제시합니다. 영영 잊혀 질 수 있던 예술 행위의 순간을 소환하는 아카이브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새로운 창작 행위의 바탕이 되며, 무한한 확장성이 잠재된 결과물로 새롭게 다가옵니다. 본 전시가 자연에 쉼 없이 다가가며 느꼈던 상호 교감의 미묘한 순간을 다성적 짜임새를 지닌 예술로 승화시킨 작가 임동식을 새로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In particular the artist’s archive in this exhibition is presented as pure creations to be systematically collected, categorized, stored and studied, as well as a cradle of significant artistic inspirations, and not as records that accumulate like sediments in the deep sea. In addition, the recursive summoning of the moment of artistic act that could have been forever forgotten becomes a new creative act transcending time beyond mere purpose of documentation and a product with unlimited expandability. This exhibit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witness the artistic methods of Rim, an artist who has transformed the numerous processes of approaching nature ceaselessly and passionately into an art.

몸짓 Gestures

‘몸짓’은 작가의 ‘몸’, 그리고 무언가 행하는 ‘짓’으로, 기존 형식에 변화를 추구하던 젊은 임동식의 날것과 같은 몸부림과 답답한 현실과 대척되는 순수한 자연이 어우러진 생생하고 풋풋한 에너지의 표징이다.

“나 임동식이 30여 년간 몰두한 ‘야투(野投, Field Shot)’는 들로 던진다, 들에서 내게로 던져져 온다는 뜻으로 […] 실내 중심의 미술 행위를 야외로 전환하며 기존 방법론을 확장, 재해석하는 데 있다.”

“자연 속에서 작품을 하면 […] 삶의 근원공간인 자연에서부터 내게 던져져 오는 일들을 수용하는, 능동적이라기보다는 수동적이며, 수동적이라기보다는 ‘수용적’ 내용 가운데서 이루어진다.”

– 1987년 독일 노이에베르크 섬에서

몸짓 Gestures

Gestures represent the artist’s “body” and “act” of doing something, and symbolize fresh and vibrant energy in which the young artist’s unrefined struggles in seeking changes from existing forms are mixed with the pure nature that contrasts with the frustrating realities.

“My thirty-year devotion, Yatoo (field shot) means throwing to the field or being thrown to me from the field […] and aims to expand and reinterpret existing methodologies by shifting indoor-oriented art activities to outdoors.”

“Creating works in nature […] involves contents that are passive rather than active and ‘receptive’ rather than passive, accepting things that are thrown at you from nature, the origin of life.”

– Neuwerk, Germany, 1987

야외현장미술은 한시적으로 존재했다가 사라지기에, 이 내용을 어떻게 기록하고 유지시키는가는 임동식에게 있어 늘 과제였고, ‘아카이빙’은 이러한 과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내는 방식의 토대가 되었다. ‘몰입’에서 보여지는 작업들은 독일 함부르크조형예술대학 시절에 이뤄진 작업의 계획과 결과로, 아이가 놀이 삼매경에 빠진 듯 몰입하여 행한 이 시기의 작업을 ‘놀이(play)’로 특징지어 ‘음향시각놀이’, ‘환영놀이’, ‘매체놀이’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Because outdoor field art “exists temporarily” and disappears, how to “record and main the contents” have always been tasks for Rim, and “archiving” became the foundation for an effective method of completing such tasks.

몰입 Flow

‘몰입’에서 보여지는 작업들은 독일 함부르크조형예술대학 시절에 이뤄진 작업의 계획과 결과로, 아이가 놀이 삼매경에 빠진 듯 몰입하여 행한 이 시기의 작업을 ‘놀이(play)’로 특징지어 ‘음향시각놀이’, ‘환영놀이’, ‘매체놀이’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제가 하는 행위는 […] 의도하고 계획해서 이렇게 다니는 게 아니거든요. […] 숨도 쉴 수 없는 긴장이 와요. […] 비둘기가 오는 시늉을 하다가 멈출 때, 정말 숨쉬기가 어려운 그 긴장감. 그것은 일대일의 상황이거든요.”

“[…] 드로잉은 작은 돌을 던졌는데, 파문이 크게 일어나는 그런 것에 비유할 수가 있어요. […] 여러 가지 자기 생각을 펼쳐보면서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엄청 재미있어요. 몰입된 상태죠.”

몰입 Flow

The artworks shown in this section are the outputs from his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Fine Arts at Hamburg (1981–1989). The works during this period, which were produced in a state of flow like the way a child is immersed in “play,” can be characterized and classified as follows: Sound-visual Play, llusion Play and Medium Play.

“The acts I perform […] are not intended or planned. […] I get so tense that I can’t breathe. […] When the pigeons seem to come but stop, it is so tense that you cannot breathe. It’s a one-on-one situation.”

“Drawing can be compared to throwing a little rock and creating great ripples. […] You lay out your own thoughts and try different things, and it is extremly fun. It is a state of flow.”

마을 Village

1990년대 초, 임동식은 공주시 원골마을에서 문명사회 이전과 같이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생활을 시작한다.

“예술작업을 ‘짓거리’로 하는 나는 농사 ‘일거리’ 속에 사는 분들과 마을환경을 통하여 세탁되면서 새로이 열려진다.”

“그림을 그리고 자연에서 하는 행위들을 생존이나 생활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생각하고 본다면, 쓸모 없는 일인 거에요 […] 그러나 정신의 율동, 여백, 긴장해소로서 사람들을 고양시키고 정화시킨다고 할까, 그러한 지점을 열어주는 것이 시각예술의 역할이겠죠. 이런 것이 없다면 정말 삭막할 거예요.”

마을 Village

In the early 1990s in Wongol Village, Gongju, Rim begins a lifestyle that follows the ways of nature as in pre-civilization times.

“While I do art as an ‘act’, I become purified and newly opened by the village environment and the people who live amid their farming ‘work’.”

“In the aspect of essential matters for survival or living, painting and other acts done in nature would be useless […] but they boost or purify people by the rhythm of mind, space, and ease of tension. Opening up those points could be the role of visual arts. It would be truly desolate without these things.”

시상 Poetic Notion

임동식의 퍼포먼스는 현재진행형이다. 그의 회화는 과거 자연에서 행한 퍼포먼스에 대한 ‘재연’을 넘어선 새로운 ‘해석’으로서, 사진과 영상 등의 기술 매체가 담아내지 못하는 기억과 감정의 흔적이 가감, 증폭된 한 편의 시(詩)와 같다.

“평생 자연과 함께한 일반인들의 솔직하고 경험에 바탕을 둔 정직한 바라봄에 비하여 소위 미술가라는 나 자신의 작위성과 수준 이하의 엉터리 지어내기의 유한성을 깨닫게 한다. 나는 그림 안 그리는 일반인들의 눈을 사랑한다.”

“우리는 풀포기의 떨림에서부터, 여치의 울음, 새, 물고기, 나뭇결에 스치는 바람 소리, 밤하늘의 별빛, 봄의 꽃, 여름의 열기, 가을의 드맑고 높은 하늘, 겨울의 차디찬 기온은 물론 […] 동서남북이 확 열려진 커다란 공간과 변화되는 시간을 사계절의 선에서 바라보는 야투의 율동 속에서는 자연처럼 선하고 강하며 깨끗하고 맑은 의식을 얻을 것이라는 바램이 그 이유이다.”

– 1981년, 7월 하순, 호박잎이 커질 무렵, 그 위에 떨어지는 밤 소나기를 들으며, 구 공주여고 교실 작업장에서 쓰다.

시상 Poetic Notion

Rim’s performances are in progress. His paintings are a new “interpretation” of his past performances in nature, which goes beyond “reenactment.” They are like a poem in which the traces of memories and emotions uncaptured by technical media such as photographs or videos are reinterpreted and amplified.

“Valuable advice from people who has lived in nature all their life makes me realize once more my own artificiality as a so-called artist and the limitations of subsandard nonsense fabrications, compared to the honest, experience-based gazes of them. I admire the eyes of people who do not paint.”

“From trembling of grass to chirping of grasshoppers, singing of birds, fish, wind brushing through trees, stars in the night sky, flowers of spring, heat of summer, high sky of autumn, and cold temperatures of winter, […] within the rhythm of Yatoo looking at vast open space and change of time from four seasons, it is hoped that we would acquire
minds like nature that are strong, good, clean, and clear.”

– Written in a classroom of the former Gongju Girls’ High School while listening to the night shower falling on the growing pumpkin leaves
of late July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