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송민정
2019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송민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송민정 작가 작업실에서 진행한 인터뷰 음성을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영상과 설치 장면들을 함께 구성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송민정 작가는 현재라는 시점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가입니다. 송민정 작가는 특히 SNS 나 광고의 이미지 혹은 브랜드의 이미지와 같이 우리가 예술인지 혹은 예술이 아닌지 구분할 수 없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작품 속에 가져와서 가장 큰 현재의 흐름, 사람들의 선호도 이런 것 들을 자신의 작품 속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안녕하세요 저는 토커라는 작업을 한 송민정입니다. 제가 하는 작업은 관객의 이원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일 처음에 작업을 시작했을 때도 온라인상에 가짜 브랜드를 만들어서 그 가짜 브랜드를 진짜 브랜드인 것처럼 계속 마케팅하는 방식으로, 실제로 무언가를 팔지 않지만 파는 것처럼 팔지 않는 제품에 광고를 만드는 식이었습니다. 근데 사실 그런 광고에서 실제로 제가 세일링 했던 것은 제 자신에 가까웠습니다.

Hello, my name is Song Min Jung. My work is titled Talker. My work deals with the dualism of the audience. When I first began my work, I created a fake brand online, and kept marketing it as if it was a real brand. I wasn’t really selling anything, but I made ads for products as if they’re real. However, what I was actually selling through those advertisements were myself.

어떤 전시장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지 않을 때, 어쨌거나 작업을 지속해내야 됐을 때 그 기회의 수단으로 작업을 밀착시켰습니다. 일종의 온라인의 기믹으로 작업을 작동시켰었던 것이 처음 2016년부터 2017년 사이 작업들이었고, 그 이후에 작업들은 이제 일종의 기믹들을 실제 어떤 장소 위로 올리는 방식으로 작업 했습니다.

I applied this work as the means of continuing on with my practice when I wasn’t working with a particular exhibition space. My works from 2016 to 2017 were activated as a type of online gimmick. Pieces that followed involved placing such gimmicks on certain, actual locations. This is also a question of opportunity for ensuring exposure for my works.

그것은 사실 작업을 노출시킬 수 있는 기회의 문제이기도 한데, 그 기회의 장소가 실제 물리적 장소가 없었을 때는 온라인 안에서 유령처럼 기회를 노리는 듯 보이지만, 사실 그런 것들도 다 작업의 흐름 안에 포함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물리적인 공간을 얻었을 때, 그 공간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기믹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서 고민을 했고, 그런 방식으로 어떤 물리적인 장소를 사용했습니다.

I might seem like a ghost waiting for a chance online when I don’t have a physical space for my work, but that’s all part of the work as well. And when I do get an actual physical space, I meditate on how I can utilize my gimmicks within such space. That’s how I use a specific physical location.

전시라는 것이 저한테는 어떤 실험의 기회 이외에 큰 의미를 가지고 있진 않습니다. 그래서 제가 하는 작업들은 전시장이 아니었을 때 오히려 기믹 현상이 더 세밀 해질 수 있습니다. 저는 작업을 상업의 스킨을 사용을 한 것이지 진짜 상업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전시장이라는 곳이 오히려 아주 난이도가 높은 제안 이기도 합니다.

The gimmick effect in my work can get more elaborate when the work is not being shown in an exhibition space. My artwork is not business but merely appropriates the façade of commercialism, So for me, working for an exhibition space is actually an extra difficult proposal to accommodate.

제가 작업으로 어떤 몸체를 가졌을 때, 어떤 물리적인 공간을 할당받았을 때 그 공간이 가지고 있는 맥락과 제가 가지고 있는 유령스러운 작업의 맥락을 가장 적절하게 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뭘까 이런 미션으로 늘 전시에 임하고, 그래서 더 재미있습니다.

When my work takes a certain body, or when it’s assigned a particular physical space, I always think about the context of the space and the context of my ghost-like work to figure out how to best integrate them all. That’s my mission with every work, which makes it fascinating.

제가 하고 싶어 하는 이야기, 그런 심리적인 장소와 어떤 신체적인 장소 사이에 낙차, 그 낙차에 대한 질문들을 어떻게 유효하게 만들 것인지 그런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유행의 어법을 사용하는 걸 두려워 하지 않고, 오히려 직접적으로 사용합니다. 제가 작업에서 그 이미지 활용을 하는 것, 항상 현재라는 시점을 되게 중요시 여기고 있습니다. 이전의 작업들은 어플이 업데이트되는 속도랑 거의 비슷했습니다.

I think about how I can fill the gap between the psychological location of the story I want to tell and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space,
and as to how I can validate that difference. I’m not afraid to use the language of latest trends and in fact, I use them directly. As I utilize such images in my work, I always highly value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 fact, my previous works were created nearly at the same speed as the app updates.

물론 저의 취향도 반영이 안 됐다고 할 순 없지만, 저는 그 취향이라는 것이 최종적으로는 작가로서의 취향에서 정돈을 시키면서, 소재 사용에서는 가장 지금에 가까운 소재들을 늘 사용하였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현재를 이야기하는 방식의 작업에서 아주 현재형의 이미지들을 차용했을 때, 작업이 정말 빠르게 과거형이 됩니다.

My work obviously somewhat reflects my personal taste, but my taste is readjusted with my sensibility as an artist. As for material, I use materials closest to the present moment. That’s why my works which address the present rapidly takes on a past tense when they appropriate images of the present tense.

그것 자체를 작업의 매체로 삼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끔 제가 작업에서 직접적으로 말을 하지는 않지만 제가 사용하고 있는 작업의 주 매체는 시간입니다. 현실과 작업 사이를 아주 밀착시키거나, 많은 낙차를 주는 방식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That itself is a medium of my work. Therefore, although it may not be directly stated, the key medium I use in my work is “time.” I press reality and my work very closely together, or deliberately widen the gap between them.

사진 | 홍진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