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김중업 다이얼로그 | Kim Jung-up Dialogue(Process)
2018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김중업 다이얼로그 | Kim Jung-up Dialogue(Process)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김중업 다이얼로그
2018.8.20 – 12.16

학예연구사 | 정다영
총괄 프로듀서 | 이성민 (삼삼오오)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Kim Chung-up Dialogue
2018.8.20 – 12.16

Curator | Chung Dah-young
Executive Producer | LJSUNGMIN (THREESFIVES)

작업 소개

김중업 다이얼로그 전시의 협력 기획 및 구성을 진행한 삼삼오오 이성민 총괄 프로듀서의 섭외로 전시에 참여하였다. 김중업 아카이브 자료를 바탕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조망하는 영상 작품과 함께 작업한 동료 건축가, 작가, 평론가 등을 인터뷰한 시리즈 영상을 전시장에 상영하였다. 전시와 동명의 영상 작품 <김중업의 다이얼로그(2018)>에서는 서울, 부산, 제주 등 각지에 있는 김중업의 주요 건축물과 사라진 터를 영상에 담아 건축에 대해 자신만의 소신과 철학을 끊임없이 밝혀온 그의 목소리와 함께 구성하였다.

‘건축가라는 것은 내일에 건 생명이거든요.
그런데 지어 놓고 나면 그 허탈감이라는 것이 보통 큰 것이 아니예요.
역사가 앞으로 판단을 해 줄 겁니다.’

‘An architect’s life is stacked on tomorrow.
But once the building’s done, I feel so empty.
History will judge in the future.’

김중업 Kim Chung-up

크레딧 보기

크레딧

Executive Producer: LJ SUNGMIN(THREESFIVES)
Coordinator: Cho Hyun Dae
Translator: Kim Yoo-suk
French Proofreading: Yang Jiwon

Film by 57STUDIO
Director: Lee MeeJee
Camera: Production KEZR (Kim Sangil, Kwak JaeMin, Kim SangHyuk, Um JunHo)
Your Photographer (Jun SangJin)
Jang JiNam
Edit/D.I: Lee MeeJee
Music: Jeong JinHwa

Image materials courtesy of the Kim Chung-up Architecture Museum, KBS, Korea TV

프로젝트 내용

《김중업 다이얼로그》전은 한국 현대 건축의 신화적 인물인 건축가 김중업을 조망한다. 하지만 이 전시는 그동안 김중업에 관한 피상적인 진단과 신화화된 측면과는 거리를 두고, 예술과 건축의 관계를 매개로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작가와 그가 남긴 유산을 살펴보는 전시다. 김중업의 타계 30주기를 기념하기 위해 마련된 이 전시는 한국 현대 건축 전시를 꾸준히 기획해온 국립현대미술관이 김중업건축박물관과 공동으로 준비했다. 건축가 김중업의 생애 전반을 조망하는 첫 대규모 전시로서, 김중업건축박물관의 소장품과 국립현대미술관의 아카이브, 그리고 건물주로부터 대여한 자료들과 사진 및 영상 신작으로 구성했다.

1922년 평양에서 출생한 김중업은 르코르뷔지에 아틀리에에서 실무를 한 뒤 한국전쟁 이후 초토화된 한국 땅에서 한국적 모더니즘을 구현하고자 한 건축가다. 그는 임시수도 부산에서 만난 예술가들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국 문화예술계 중심에서 활동하며 예술가 들을 후원하고, 그들과의 협업을 오랜 기간 진행했다. 한국에서 최초의 건축 전시회를 열기도 한 김중업은 전시라는 문화양식을 일찍부터 이해하고 실천한 사람이다. 그는 건축을 건물로 한정하지 않고 담론의 문제로 보고 예술매체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진행했다. 그러한 사유의 흔적은 그가 남긴 이미지 아카이브에서 발견할 수 있다.

《김중업 다이얼로그》전은 역순으로 진행되는 김중업의 작품 연대기를 첫 번째 대화의 시작으로 연다. 그리고 ‘세계성과 지역성’, ‘예술적 사유와 실천’, ‘도시와 욕망’, ‘기억과 재생’ 등 4개의 주제로 그간 김중업과 그의 작품에 관해 주변부에 머물렀던 문맥들을 펼쳐보이고자 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그간 논의가 부족했던 김중업의 후기 작업들과 한국의 중요한 예술가들과의 협업 과정, 도시에 대한 그의 생각들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김중업 다이얼로그》는 이제 막 촉발되기 시작한 한국 건축가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건축, 예술 그리고 우리 사회의 다양한 관계망들과 대화의 장을 여는 단초가 되리라 기대한다.

출처: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전시소개글

주한프랑스대사관 (1960)

프랑스대사관은 사실 그때 제 출세작입니다만, 이 작품을 만들고 나서 드골 대통령에게 국가공로훈장도 받았고, 또 슈발리에라는 기사 칭호도 받았습니다만, 그래서 외국에도 좀 더 알려진 건물이고, 그런데 그동안 좀 개악이 되었어요. 제가 외국에 나가 있는 동안에. 그래서 옛날 모습하고 달라진 것이 아쉽군요.

– KBS 10월 집중기획 한국의 문화주역 – 건축가 如泉 김중업 중에서



French Embassy, Seoul (1960)

In fact, it made my name. After making this, I received the National Order of Merit from President De Gaulle and was knighted, too. So it’s a bit known abroad, too. But it’s been worsened a bit since, while I was abroad. So it’s a pity it looks different now.

KBS feature Cultural Leaders of South Korea

김중업의 건축 수첩 Kim’s architectural notes ,김중업건축박물관 소장

김중업의 건축 수첩 Kim’s architectural notes (김중업 건축박물관 소장)

<김중업의 다이얼로그(2018)>스토리보드 삼일 빌딩 부분 발췌

삼일빌딩(1969)

부끄럽습니다. 뭐 사실 15년이 된 건물인데, 저로서는 그때는 제 모든 실력을 다 발휘해서 도시 안에 하나의 전경으로서 까만 흑수정 같은 것을 만들려고 애써봤어요. 물론 지금 만든다면 조금 더 나은 것을 만들 수 있겠지요. 그렇지만 일단 그 삼일빌딩이라는 것을 놓고 볼 적에는, 아직도 아껴주는 분이 꽤 많으신 것 같아요. 그것은 어디서 오는 문제일까 같으면 비례에서 오는 문제예요. 비례는 그때나 지금이나 어느 정도 예쁜 비례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아껴주신다고 볼 수 있겠죠. 그런 점은 작가로서 흐뭇하죠. 그렇지만 작가가 성장하고 있으니까 자꾸 불만스러운 거죠.

– KBS 10월 집중기획 한국의 문화주역 – 건축가 如泉 김중업 중에서

Samil Building (1969)

Well, it’s embarrassing. It was 15 years ago. Back then, I tried hard, with all my might, to make something of a black morion, as a foreground of the city. Of course, if I were to build it now, it’d be a bit better. But, as for the Samil Building, many still seem to cherish it. Why? It’s because of the proportion. Then and now, it has a rather pretty proportion. That seems to be why people cherish it. That’s rewarding as an artist. But you’re never satisfied because you grow artistically.

KBS feature Cultural Leaders of South Korea

Kim: 저의 작품은 분명 오만하고 고독합니다. 하지만 이 세상에서 어떻게 오만에 자리 잡지 않고, 고독에 머물지 않는 건축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군중에게서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요. 그리고 계약서가 우리의 예술을 수익성을 위한 일로 타락시켰습니다. 멀리 떨어진 산에는 호숫가에 작은 집도 있어요. 하지만 그 호숫가의 작은 집은 큰 도시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에요. 그럼 누구를 위한 것일까요? 이것이 우리 건축가들에게 던져진 수많은 문제 중 하나입니다. 재정을 대는 사람들은 절대 대규모 주택단지와 서민임대아파트와 신도시 안에 살게 될 사람들의 의견을 묻지 않아요. 과연 그들은 그들이 만들고 있는 것 안에 살고 싶어 한다고 생각하세요?
아뇨.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절대로요. 건축가의 근본적인 문제는 이런 것입니다. 우리는 이제 전혀 사람을 위해서 건물을 짓지 않는단 말입니다. 오늘날 건축가는 무엇인가요? 누구란 말인가요? 그저 임대를 위한, 거대한 기계일 뿐입니다. 강제로 만들어 내는 현대화. 아, 저는 정말 강요된 현대화가 싫습니다. 사람은 노예나 다름없죠.

Kim: My works are clearly arrogant and solitary. But is architecture that doesn’t remain in arrogance and solitude possible in the world? We’re completely apart from the masses, and contracts have debased our art into work for profit. In far-off mountains are small houses by the lake. But the small lakeside houses aren’t for those working in big cities. Then who are they for? This is one of the many questions we architects face. Financiers never ask the opinions of those who’ll live in large housing estates, public rental apartments, new towns. Do you think they want to live in what they build? No, I don’t think so, not at all. Such are architects’ fundamental problems. Really, we no longer make buildings for people at all. What are architects today? Who are we? We’re only large machines for leases. Forcibly created modernization. I really hate forced modernization. People are just like slaves.

송: 아까도 여러 작품을 쭉 봤습니다만, 직접 지으신 건물 앞에 세월이 흐른 다음에, 지나시면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김: 그니까 부끄럽죠. 부끄럽다는 것은 무엇인가 하면, 제가 지은 것도 일단은 저로서는 크게 만족이 안 가니까. 그러니까 제가 만족이 안 간다는 것은 역사가 만족을 안 해준다는 이야기가 되어 버려요. 제작하고 있을 때는 즐거워요. 열심히 뭔가 하려고 애써요. 그런데 지어 놓고 나면 그 허탈감이라는 것이 보통 큰 것이 아니에요. 그런 점으로 볼 적에는 작가라는 것은 언제까지나 말하자면 부끄러운 것이죠. 건축가라는 것은 내일에 건 생명이거든요. 역사가 앞으로 판단을 해 줄 겁니다.

– KBS 10월 집중기획 한국의 문화주역 – 건축가 如泉 김중업 중에서

Song: We surveyed your works a while ago, but what is it like to stand before one of your buildings after time has passed?

Kim: That’s why it’s embarrassing. It’s embarrassing because even my buildings don’t really satisfy me. So when I say I’m unsatisfied, it ends up meaning history isn’t satisfied. It’s a joy when I’m producing. I try hard to do something. But once the building’s done, I feel so empty. In that respect, an artist’s always embarrassed. An architect’s life is staked on tomorrow. History will judge in the future.

KBS feature Cultural Leaders of South Korea

서산부인과 전경 <사진=김중업 건축론-시적 울림의 세계 정인하 1998> 출처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http://www.ancnews.kr)

(서병준산부인과의원) 김중업의 건축 수첩 Kim’s architectural notes ,김중업건축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