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이은새
2019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이은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이은새 작가의 작업실(난지아트센터)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모습과 전시장 설치 풍경을 함께 담았다.

이은새 작가는 회화를 다루는 작가입니다. 이은새 작가는 특히 화려한 색과 강렬한 선 그리고 감각들을 캔버스 위에 펼쳐내 보이는 작가인데요. 특히 자신과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이해할 수 없거나 부조리하거나 모순됐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특히 가족이라고 하는 우리가 가장 익숙하게 생각하면서도 또 낯선 가족의 모습들을 화폭 위에 다양한 방식으로 불러오고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안녕하세요. 회화 작업을 하는 이은새 입니다.저는 이번에 가족이나, 공동체의 형태에 대해서 생각을 하면서 가족의 이미지이긴 하지만 좀 더 자의적인 선택에 의해서 모인 사람들이 구성된 가족의 형태를 그려 보고 싶어서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전형적인 가부장제로 모여진 가족들이 아닌 자의적인 모양의 가족들이고 저 또한 아직 가족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가 앞으로 가지고 싶은 가족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저의 상상과 주변의 제 친구들을 생각하면서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가족의 형태에 대해 생각하게 된 계기는 제가 명절에 친가 쪽 식구들과 같이 찍은 가족사진이 있었는데 그 이미지가 너무 전형적이고 좀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형태가 지겹고 바꿔 보고 싶어서 작업하게 되었습니다.

My name is Lee Eunsae. I’m a painter. For this exhibition, I focused on family or community. While my work takes the image of the family,
it portrays a family as a gathering of those who come together in a more autonomous way. They are families formed consciously and not through typical patriarchy. As I haven’t formed a family of my own, I think about the kind of family I wish to form and actual families of friends and people around me. I started thinking about family during the holidays when I saw a photograph of family on my dad’s side, and I thought it was so typical and boring. I wanted to subvert that sort of typical form of the family.

저는 모든 이미지를 구성해 놓고 작업하지만, 사실 전체적으로 보자면 그 시기에 생각한 것들, 본 것들, 그런 것들로 작업 전반을 구성합니다. 지금은 인물 작업을 하고 있고, 작년에는 술 취한 여성에 대해서 작업했었고, 그전에는 미디어에서 대상화되는 여성의 형태나 풍경에 가까운 작업들을 하였습니다. 주로 제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은 규정되어 있거나 전형화된 형태들을 깨트리는 것들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관심사는 같은데 시기에 따라 관심을 갖고 쳐다보는 것들이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While I always work by composing all my images, I compose my overall work with things that I saw and thought about at the time. Although I’m painting figures these days, my work focused on drunken women last year, and before that, I concentrated on landscapes or the form of women as objectified through the media. I’m mainly drawn to breaking forms that are standardized or typified. While this remains the same throughout my work, things that capture my attention in different times change.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이 아무래도 가족이 많이 찾는 곳이고 저 또한 작업으로 그릴 것 중에 과천 앞에서 찍은 가족사진도 있습니다. 제가 아직 꾸리거나 직접적으로 수행해내지는 않았지만 기존에 있었을 가족형태에서 잘 보이지 않았던 것들을 저의 망상으로 꺼내보는 작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is a family-friendly venue. One of my paintings will be based on the photograph of a family, taken in front of the museum. While I haven’t carried it out yet, this work will be about using illusions to unearth aspects about the family which I haven’t been able to see before.

저는 작업할 때 드로잉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고 그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작업을 진행할 때 같은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그려 보기도 하고 이것저것 테스트를 해보는 편입니다. 회화로서 표현을 할 때, 보여 주고 싶은 부분이 다 표현이 되었다 싶으면 미완성의 그림 형태로 보이더라도 멈추는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드로잉에서 했던 붓질의 형태를 캔버스에 옮길 수 있길 바라면서 작업합니다.

When I work, I’m very interested in drawing and consider its process important. So I often repeat drawing the same image, or experiment with different ideas when I work. When I feel that I’ve expressed everything I wish to through painting, I would stop working on it even if it looks incomplete. Therefore, I desire to transfer the form of the brush strokes in my drawing onto the canvas.

어떤 상황이 이미지로서 묘사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저도 구체적으로 더 그려 나갈 텐데, 구체적인 묘사가 필요 없고 인물로 말하자면 제스처라든지, 굳이 단단하게 더 그려서 완성해 나가지 않더라도 제스처의 의미나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어느 정도 보인다면 끝까지 그려서 완성된 일루전을 만들어 내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고민을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하나의 형태만이 가장 이상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다양한 형태가 모여있고 그것이 비난 받거나 이상한 취급을 받지 않는 것이 제일 이상적일 것입니다.

I would develop the drawing further If a certain situation needed more expression as an image. But if detailed portrayal isn’t necessary,
and in the case of figure painting, if the meaning of gesture or expression is somewhat evident without further development and completion, I question if there is meaning in creating a fully detailed and completed illusion. However, there is no one right and ideal form. What is ideal, though, is accepting diversity and variety and not treat others with criticism or ridic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