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Z
✍️ Vol. Text-ure #앙리 미쇼(Henri Michaux)의 '비참한 기적'
2019
Client LENZ
Project ✍️ Vol. Text-ure #앙리 미쇼(Henri Michaux)의 '비참한 기적'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황수연 작가 작업실에서 진행한 인터뷰 음성을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모습과 설치 장면들을 함께 구성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황수연 작가는 자신의 주변에서 발견한 재료들을 오랜 시간 동안 바라보고 자신이 만져보고 두드려보고 소화시킨 다음에서야 조각으로 만들어내는 작가입니다. 그리고 한 작품을 만드는 과정과 그 시간이 작가에게 굉장히 중요한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와 공간에 맞는 다양한 조각 군들을 종이 등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우리는 이런 황수연 작가의 조각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조각의 모습이 아닌 시간과 장소와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는 조각의 다양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이미지: 텍스트를 청각과 시각으로 상상하는 LENZ의 관점을 보여주는 첫 프로젝트로 yyyyynnn의 텍스트를 영상의 텍스처로 표현한 프로젝트입니다. 이렇게 말하니 조금 어려운 듯한데요. 그 프로젝트에 대한 디테일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저희가 yyyyynnn에서 찾은 텍스트는 ‘비참한 기적’이라는 1956년 앙리 미쇼의 글이 었습니다. 앙리 미쇼에 글 먼저 들어보실게요.

비참한 기적 / Miserabel Mirace

열대 대양의 기슭에서, 보이지 않는 은색 달빛의 반짝임에서,
끊임없이 바뀌며 출렁이는 파도의 물결에서…
조용히 부서지는 파도 속에서, 반짝이는 수면의 약간의 떨림 속에서,
빛살을 박해하는 재빠른 조수간만 속에서,
빛나는 고리와 활과 선에 의해 찢어발겨 지는 것 속에서,
자취를 감췄다가 다시 등장하는 것 속에서,
탈 구성되고 재구성되고 접촉되면서,
내 앞에서, 나와 함께, 나의 내부에서 가라앉은 자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려고 확장하면서,
계속 춤추는 빛의 폭발 속에, 참기 힘든 감정의 초조함 속에,
나의 냉정함이, 진동하는 무한 세계의 언어들에 의해 천번이나 더럽혀지고,
수천개의 주름을 지닌 엄청난 유동적인 선들의 무리에 의해 사인 곡선처럼 녹초가 된 가운데,

나는 있다. 그리고 나는 없었다.
나는 사로잡히고, 나는 상실되었고,
완벽한 편재 상태 속에 있었다.
수천개의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나를 수천 개로 산산조작 내고 있었다.

Henri Michaux(앙리 미쇼), 1956

이미지: 1956년 앙리 미쇼의 글, 비참한 기적입니다. 이 글로 yyyyynnn 공간을 설명하셨는데, 이거를 선택하신 계기가 있으신가요?

이진경: 공간에 설명을 사실 그대로 쓰려고 했는데, 구구절절하게 쓰게 되더라구요. 멋도 없고.

이미지: 글쓰는게 진짜 어렵죠.

이진경: 그런데 저희 UNRAVEL 대표님께서 우연찮게, 시를 주시면서 이 공간을 만든 과정이나 했던 방식들이 시와 일맥상통하는 것 같다고. 이 글을 설명글로 쓰는게 어떨까, 라고 제안해 주셔서. 저도 읽고 나서 이런 공간을 만들었던 감정이나 방식들이 이 시와 접하는 비슷한 부분들이 많고, 공감하는 부분들이 많아서. 이 글을 소개글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지로씨의 목소리로 들어보니 또 다르네요. 저도 이제 이 글을 읽고, 시라고 표현하는게 맞을 것 같아요. 이 시를 읽고 강한 인상을 받았던 것이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주요한 매개체가 빛이더라구요. 그래서 그런지 저는 이 글을 택하게 된 계기를 모른채로 이 텍스트가 되게 중요하구나, 라는 생각으로 yyyyynnn의 공간을 빛을 굉장히 주의깊게 보았어요.

이미지: 그러다가 두 분께서 yyyyynnn의 빛에 대해서 좀 더 저희에게 힌트를 주셨는데, 두 분이 저한테 제안해 주셨던 빛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시겠어요?

이진경: 공간에 텍스처를 보여주자, 라고 하다가 큰 빛이 이 텍스처를 한 번씩 훑으면 어떨까? 라고 이야기 했었어요.

곽영원: 이 공간의 시간을 얘기했던 것 같은데요. 아침에 새벽에 왔을 때, 출입구에 들어오는 빛이 안쪽까지 스며들고 이 공간을 돌아다니는 느낌으로 표현을 해 보자라고 시작이 됐던 것 같은데. 사실 손님 분들은 접할 수 없는 빛이에요. 그 빛이 지나가면서 보여지는 텍스처들이 너무 좋다 보니, 준비하시는 취지에 조금 맞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던 거 같고. 이진경 실장이 공간 안에서 물성이 보여지는 어떤 반사되는 부분 또는 이제 흡수하는 부분들을 보고 그런 것들이 조금 더 도드라졌으면 좋겠다. 또는 틈새로 보여지는 인위적인 빛 조차도 공간 안에 보여지는 빛이다, 라고 얘기했었기 때문에 그런 빛으로 저희들이 고민을 많이 했던 것 같아요.

이진경: 그리고 그런 아침에 보이는 햇살이나 그런 것들이 우리만 보고 싶지 않았고 우리만 인식하고 싶지 않았는데, 이거를 모두에게 보일 수 있게끔 인식할 수 있게끔 만들어 주셔서. 그래서 이제 그 것을 이야기할 수 있고 저희가 보여주려고 했던 거예요, 라고 짚어 주시는 작업이었던 것 같아요.

이미지: 저도 이 LENZ로 yyyyynnn과의 프로젝트를 하면서 가장 집중했던 부분이 저는 ‘너무 드러내지 말자’. 제가 제일 감추고 싶었던 게 영상인 걸 감추고 싶었어요. 빛이 영상인 걸 사람들이 알아채는 순간 그건 너무 과정이 다 보일 것 같은 거예요. 영상인 것을 숨겨야겠다. 근데 저희가 이 영상으로 가기까지도 시행착오가 있었어요. 그거에 대해서 보리수와 지로님께서 같이 고생했던 경험담을 한번 공유해 주시겠어요?

보리수: 제가 가장 기억에 남는 때는, 아까 말씀해 주셨지만, 처음에 소개를 해주셨잖아요. 이런 자연의 빛이 밖에서 들어왔을 때 이 구조나 이 가구에 부딪혀서 이런 빛 형상들이 생긴다, 라는 것을 말로만 소개를 들었는데. 자연의 빛이라는 게 이동하는 속도가 사람의 속도하고는 되게 다르잖아요. 그래서 이 공간에서 가장 많이 시간을 보냈고 이 공간에서 가장 많이 고민을 했을 분들이 목격했었을 그런 형상들을, 저희가 직접 이런저런 실험을 통해서 직접 눈으로 발견했을 때 가장 재밌었어요. 그래서 그게 가장 기억에 남아요.

이미지: 재밌었죠.

지로: 저희가 빛에 대한 실험을 되게 많이 했어요. 그래서 아까 말씀하셨듯이 전체를 훑었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셔서 햇빛같이 낮에는 강렬하게 들어오는 그런 것들을 좀 표현하고 싶었거든요. 근데 사실 그게 조금 되게 어렵더라구요. 빛도 약하고 느낌도 안나고. 빛은 시간에 따라서 계속 변화하는데, 그거를 포착해서 표현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됐어요. 결과적으로 여러가지 시도를 통해서 yyyyynnn이라는 공간을 계속 찾아내는 과정이 있었다고 생각하거든요. 저는 찾아내는 과정 속에서 즐거움이 있었던 것 같아요.

이미지: 작업의 과정에서 실패에 단계가 있었는데, 그 실패의 단계가 좀 후련했던게. 다시 되돌아갈 수 없을 정도로 처참히 실패했어요. ‘아 이건 아니었네’ 미련이 남는게 아니라. 아 햇빛은 무엇으로도 재현할 수 없다, 라는 진짜 큰 교훈을 저희가 알게 됐죠.

지로: 진짜 자연에 대항하면 안 되겠다.

이미지: 진짜 그럴 줄 몰랐어요.

곽영원: 저는 지로씨가 은쟁반들고 나왔을 때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이미지: 저희는 너무 쉽게 그 반사체가 구현이 되니까. 그 빛조차도 쉬울 거라고 살짝 너무 가볍게 읽었던 거죠. 그 경험을 하고 나서 정면에 있는 사각형의 창에 보여지는 빛의 움직임은, 그 시행착오 덕분에 훨씬 더 정도의 길로 접근할 수 있었어요.

지로: 그게 또 하나의 어떤 찾는 과정에서 과정이 생겨났던 것 같아요. 처음에는 의도하지 못했던 것들을 이제 안 되니까. 다시 새로운 것을 찾아서 새롭게 발견하고 만들어내는 그런 과정이어서 저는 실패했었지만 의미했었던 시간이었어요.

이미지: 그 보리수님이 얘기한 것처럼 자연의 빛의 속도를 인지하지 못했는데, 어느 순간 보면 얘가 확확 변해 있는 그런 묘한 속도감이 있잖아요. 그거를 재현하는 게 쉽지 않다 보니까. 결국은 지속적이고 느린 움직임을 모터로 저희가 그걸 구현을 해보려고 한 거죠. 근데 그걸 조명을 돌리는 게 아니라 반사체를 돌림으로써 좀 더 자연스러워 보이는? 이번에 저희 LENZ가 yyyyynnn과 작업하면서 제일 많이 경험하고 공부했던, 저희 나름대로 실험했던 포인트는. 무언가 직접적으로 보여주려고 하기보다는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그 방법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그게 너무 자연스럽게 우연히 될 때가 좀 있었어요. 이렇게 말을 하고 보니까 아까 재료 실험을 하셨을 때 그때 느낌이랑 어떻게 보면 유사하지 않을까 한번 맞춰봤습니다. 그것을 표현하려고 달려들었을 때는 잘 안 됐는데, 이게 왜 안 되지? 라고 하면서 실험을 하면서 우연히 찾은 효과로 그것이 너무 자연스럽게 구현이 됐을 때. 그런 뿌듯함이 있었죠.

이미지: 결국 제가 오색의 그림자는 프로젝션으로 했잖아요. 그 프로젝터의 성능이 너무 좋으면 안 됐었거든요. 프로젝터라는게 너무 도드라지는 바람에 성능이 열악한 프로젝터로 그걸 구현을 해서 사람들이 그 프로젝터를 인지하지 못했을 때가 너무 사실 즐거웠거든요. 근데 그럴 수 있었던 것 중에 하나가, 난 마감인 것 같아요. 이거는 저의 개인적인 어떤 경험의 배움이었던 것 중에 하나가. 결국 여기 yyyyynnn의 STUDIO UNRAVEL이라는 디자인을 주로 하는 CREATIVE STUDIO죠. 그러다 보니까 이거를 우리가 작업하는 것에 가장 한끝. 마감의 끝이 너무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됐어요. 그래서 저희가 프로젝션에서 저렇게 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았더라도, 그것을 숨기는 방식이 공간과 잘 어우러져야 되는데. 저게 너무 잘 숨겨졌잖아요. 그게 한 포인트였던 거 같아요 정말로. 그리고 너무 뚝딱 만드셔가지고.

지로: 너무 부러웠어요.

이미지: 저 무거운 철제를 너무 쉽게 잘라서 붙여 오셨더라고요. 이게 과연 다르네… 저희가 그때 놀랬었잖아요.

지로: 엄청 좋아했죠. 박수쳤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