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STUDIO는 2013년부터 미술관, 극장, 비엔날레, 페스티벌 등에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며 양질의 아카이브를 구축하였습니다. 이 자료들을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분들과 공유하기 위해 웹사이트를 개설하였습니다. 57STUDIO의 여정이 예술을 사랑하는 분들에게 영감을 주는 흥미로운 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네이버
한글한글 아름답게 마루 캠페인 영상
2018
NAVER
Hangul Hangul Beautifully MARU Campaign
2018
Client: 네이버 / NAVER
Agency: 안그라픽스 / AG
Art Director: 안미르
Art Department: 이우용
Director: 이미지
1st Assistant Director: 정한나
Production Assistant: 강원모
D.O.P: 김상일
Focus: 엄준호
Camera Department: 곽재민
Line PD: 황호윤
Gaffer: 이병관, 정진욱
Light Department: 라이트버드, JJ 빛을 그리다
Insert Light Design: Studio8
Voice: 기도형, 홍종욱
Edit: 이미지
Cast: 이태훈, 김연수, 이지원 외 여고생2인, 남고생 3인, 대학생 1인
Hair & Make up: 이혜인
Location: 네이버 본사, 라이브러리1, AG타이포연구소, 파주활판공방, 세종대왕기념관
작업 소개
57STUDIO는 안그라픽스가 진행한 NAVER의 “한글한글 아름답게 마루 프로젝트”의 영상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였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안상수 디자이너의 철학을 기반으로,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현대 디지털 환경에 맞게 계승하고, 한글꼴의 현대적 원형을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마루 프로젝트’는 명조체의 뾰족한 부리를 디지털 환경에서 표준화하는 시도를 담고 있으며, 안그라픽스가 이를 기획 및 진행하여 마루부리 명조체의 디자인 과정과 그 의미를 조명합니다. 57STUDIO는 이 프로젝트의 영상 콘텐츠를 담당하여, 사용자 관점에서 접근한 콜로키움 영상과 디자이너의 시각을 반영한 캠페인 영상을 각각 제작하였습니다.
각 영상은 활용 목적에 맞춰 기획되었으며, 한글 디자인의 미적 요소와 기능성을 균형 있게 담아내는 데 집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마루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한글꼴의 미감과 현대적 조형 원리를 더욱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57STUDIO planned and produced video content for NAVER’s “Hangeul Hangeul Beautifully – Maru Project,” led by Ahn Graphics. Rooted in designer Ahn Sang-soo’s philosophy, this project aims to uphold King Sejong’s vision for Hangeul creation in the modern digital landscape while refining the contemporary typographic identity of Hangeul.
The Maru Project focuses on standardizing the sharp terminals of Myeongjo typefaces for digital environments. Initiated and developed by Ahn Graphics, the project highlights the design process and significance of Maru Buri Myeongjo. As part of this initiative, 57STUDIO produced two distinct video contents—a colloquium video capturing user perspectives and a campaign video reflecting the designer’s insights.
Each video was carefully crafted to serve its purpose, striking a balance between aesthetic elegance and functional practicality in Hangeul design. Through these visual narratives, the Maru Project’s vision for Hangeul typography’s beauty and modern structural principles is conveyed in an intuitive and engaging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