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Z
Vol. Text-ure #Love Your Depot (with 엘트라바이 No.2)
2019
Client LENZ
Project Vol. Text-ure #Love Your Depot (with 엘트라바이 No.2)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황수연 작가 작업실에서 진행한 인터뷰 음성을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모습과 설치 장면들을 함께 구성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황수연 작가는 자신의 주변에서 발견한 재료들을 오랜 시간 동안 바라보고 자신이 만져보고 두드려보고 소화시킨 다음에서야 조각으로 만들어내는 작가입니다. 그리고 한 작품을 만드는 과정과 그 시간이 작가에게 굉장히 중요한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와 공간에 맞는 다양한 조각 군들을 종이 등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우리는 이런 황수연 작가의 조각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조각의 모습이 아닌 시간과 장소와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는 조각의 다양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이미지 : 비록 이 전시장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지만, 러브유어디포는 폐기까지 염두하고 구성한 시스템이거든요. 그런 면에서 엘트라바이의 식물들은 보통 그 역할을 다 하면 어떻게 되나요?

박소희 : 항상 그게 가장 큰 이슈인데. 우선은 저의 경험으로 오는 2015년 젠틀몬스터와 협업해서 식물을 전시를 한 적이 있었는데. 한 달 동안, 지금 여기 러브유어디포도 그렇지만, 물도 주고 계속 관리를 하면서 그렇게 전시를 했었는데. 어쨌든 한달 이후에는 그 공간을 비워줘야 되는거였고. 그래서 미술관에서 그림이나 사진등을 이렇게 살 수 있잖아요. 돈이 있으면. 그런 것처럼 이제 식물도 이렇게 경매로 진행을 했었던 적이 있었고. 마지막 날 모두 이렇게 입양 됐었어요.

박소희 : 그리고 제가 식물로도 (작업을)하지만 꽃으로 뭔가를 진행했을 때. 그런데 꽃은 이미 잘려져 있잖아요. 그 리빙페어에서 꽃으로 전시를 했을때에는. 마지막 날 오신 분들에게 다 나눠 주는. 그래서 이렇게 작업을 하고 이제 쓰레기로 가는게 아니라, 나눌 수 있는. 그렇게 진행을 했었던 기억이 있네요.

안재영 : 저는 그 입양이라는 단어선택이 꽤 많이 적절한 거 같아요. 아주 적절한거 같아요. 그런데 그 입양 아까 조금 전에 말씀하신 게 입양과 나눔이라는 방식 두가지를 얘기하셨는데. 두가지 방식이 불가능한 작업들은 결국 사라지게 되잖아요. 근데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작업에 반영이 되나요?

박소희 : 좀 전에 말씀드린 작업들을 살아있는 식물로써 작업을 했을 때, 물기를 머금고 살아있는 꽃들도 그랬을 때 현장에서 폐기해야되는 방법에서 말씀 드린거고. 사실 저는 제 작업 그냥 없어지는게 좋습니다.

박소희 : 사진이나 영상으로 남는 작업들이 있지만, 형태적으로는 사진이 남고 영상이 남는 거지 식물은 형태적으로 사라지는게 분명하거든요. 그래서 이제 제가 포토그래퍼들이랑 작업을 해도 이게 제가 포토그래퍼가 아닌지라 사진작업은 온전히 저만의 것이라고는 할 수 없죠. 근데 제가 만든 작업은 어쨌든지 죽고 살아야하니까. 근데 저는 제 작업이 사라져서 좋은것 같아요. 현장에서 그걸 본 사람의 시간이 중요하고 제가 처음 꽃을 했을 때 좋았던게 꽃은 보통 한 일주일에서 열흘이면 사라지거든요. 그 사라짐이 좋았고, 그냥 그랬네요.

이미지 : 그 역시 식물이라는 재료가 다루기 쉽지 않은 특수성이 강하잖아요. 그래서 더 매력적이지 않은가 싶은데요. 혹시 식물로 협업한 프로젝트 중에서 기억에 남는 것이 있으신가요?

박소희 : 제 작업은 보통 개인전이 아닌 모든 작업들이 협업프로젝트였기 때문에. 우선은 했던 것들은 하나도 빠짐없이 다 좋고요. 우선은 저와 다른 일을 하는 사람과 맞춰 보는 일이 항상 재밌는거 같아요. 재미있으려고 그냥 그렇게 작업을 하는거고. 제가 책으로 만들어진 작업 중에 ‘하이테크노’라는 작업이 있는데. 원래 친구들 이상한데, 세 명이서 낮술을 하게 됩니다. 근데 이제 오래된 친구들이라서 그냥 그동안 각자 자리에서 열심히 일을 하다가, 다들 어쨌든지 그런 갈망이 있었겠죠. 작업에 대한. 그래서 ‘우리 뭐 하나 해볼래?’ 그게 빈티지 컬렉터 친구가 빈티지 화병을 100개를 모으는 작업을 하고. 그 화병에 각각, 그 화병도 다 모두 다 다른 모양이었는데, 그 다른 모양에 제가 플라워 어레인지를 하고 난 다음에 포토그래퍼가 사진으로 남기고. 그리고 이제 책으로 나오게까지 됐는데. 다들 프로들이 만나서 일을 하다 보니까 즉흥적으로 나온 얘기들이 어느 순간 작업이 후다닥 이렇게 되어 있더라고요. 그런게 되게 재밌어요.

박소희 : 그러다가 그 사진에 감명을 받은 또 저희 친구중의 한 명이, 이제 작곡가가, 자기가 여기에 음악을 만들겠다 그래서 음악을 만들었고. 책이 나오는 시점에서 전시장에는 사진과 인스톨레이션. 이제 직접 볼 수 있는 인스톨레이션과 음악이 계속 그 전시장에 흘러나오고 있었고. 우선은 저희가 바랬던 거는 이렇게 감상을 할 때 음악을 들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제 주위에 그런 좋은 친구들이 계속 있어서 이렇게 작업을 계속 하고 있었습니다.

이미지 : 작업할 때 제일 중요한 게, 곁에 있는 사람이 누군지 너무 중요한 거 같아요. 대단해요.

안재영 : 저도 작업을 하면서 매번 느끼는게, 옆에 있는 동료가 저랑 같이 작업을 하는 동료가 정말 정말 중요하더라고요. 작업을 하면서 동료들이 저한테 때론 조언도 해주고. 해결책도 재시도 해주고. 저도 반대로 제시를 해 줄 때도 있지만. 그것보다 동료가 내 옆에 존재한다는 거. 그것만으로도 작업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힘이 굉장히 많이 되는 거 같거든요. 조금전에 말씀하신 책을 보니깐, 책의 좀 구성이 조금 독특한데. 펼침 페이지로 되어 있네요?

박소희 : 그게 저희가 작업을 하고 나서 이 책이 나오기까지 1년이 걸렸어요. 이거는 이제 우선은 여기 내용은 없지만, 그냥 한 페이지에 사진을 다 넣을수도 있었단 말이에요. 그리고 한 장씩 볼 수도 있었는데. 이게 그렇게 되면 그냥 확 찢어 가지고 어디 붙일 수도 있고. 그렇게 소비되는게 조금 싫더라고요.

박소희 : 그리고 그 의견은 우선은 포토그래퍼 친구가 그렇게 소비되는 현상을 보면서 좀 그래 가지고. 어쨌든지 이렇게 온전히 그냥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끔. 그래가지고 모든 사진은 다 스프레드로 어쨌든지 잘려져있게. 그 대신 액자나 저희가 온라인상에서 pdf 로 이미지를 이렇게 거래가 될 때는, 그때 액자나 그럴때만 온전한 이미지로.

이미지 : 재밌네요. 되게 책이 어떤 책으로서의 기능보다는 죄악의 도구로 쓰였네요? 음악이 준비되어있는데 어디 한번 잠시 들어 볼까요?

이미지 : 하이테크노 음악 들어 보셨습니다. 그 책의 식물들을 보면서 각 식물들의 캐릭터가 느껴지는거 같은데요. 책의 식물들을 보면서 음악을 들으니까 신기하네요. 이 음악을 만드신 분이 이 사진을 보고 만드신 거에요? 아니면 이 작업현장에 같이 계셨었어요?

박소희 : 아니에요 없었어요. 사진만 나중에 결과물을 저희가 어쨌든 결과물이 사진 굉장히 많이 찍었을거잖아요. 그때 이제 같이 고르는 자리에 우연히 함께 했다가, 자기가 이제 꽂힌 사진들이 몇개가 있었어요. 트랙이 전체 다 사진마다 트랙이 있는건 아니고. 그 친구가 이제 자기가 좋아하는 사진들에 대해서, 거기에 감동을 받아서 작곡을 했어요.

이미지 : 되게 잘 어울리는 거에요. 영상 클립영상을 저한테 주셨는데. 음악이랑 저 사진 이미지랑 너무 잘 맞아 가지고, 작업의 단계가 좀 궁금했거든요. 근데 확실히 저 이미지를 보고 음악을 만드셨다고 하니까 확 이해가 되는 거 같아요. 엘트라바이가 지금 한 몇 년 되신 거죠?

박소희 : 이제 8년, 8년차.

이미지 : 8년차. 오래 하셨다.

박소희 : 네. 노땅입니다.

이미지 : 혹시 앞으로 엘트라바이가 진행할 프로젝트 혹시 예정된거 있나요?

박소희 : 우선은 예정된거는 없는 거 같고. 근데 항상 이제 올해는 작년에도 생각했던 건데. 올해는 꼭 영상하시는 분들과 작업을 해 보고 싶어요. 주위에 영상작업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제 친구들이랑 항상 영상작업에 대해서 얘기를 하고 있고. 작업을 할 때는 무조건 누군가와 하는게 제일 중요한데. 저는 친구라서 그렇게 얘기하는 게 아니라, 제 주위에 친구들 제일 멋진 거 같아요. 그리고 잘하고 있는 친구들이 너무 많아요. 그래서 영상 작업 기대합니다.

안재영 : 그때는 저도 함께 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미지 : 저도요. 러브유 디포와 함께한 분들 중에 첫 번째로 엘트라바이 박소희 대표님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앞으로 엘트라바이의 활동을 응원하며 오늘 녹음은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제작 57스튜디오, 현장 엔지니어 지로, 패널 안지영, 진행 이미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