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Function _load_textdomain_just_in_time was called incorrectly. Translation loading for the wordpress-seo domain was triggered too early. This is usually an indicator for some code in the plugin or theme running too early. Translations should be loaded at the init action or later. Please see Debugging in WordPress for more information. (This message was added in version 6.7.0.) in /home/57studio/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6114
Vol. Text-ure #Love Your Depot (with 정명우 No.1) - 57STUDIO
LENZ
Vol. Text-ure #Love Your Depot (with 정명우 No.1)
2019
Client LENZ
Project Vol. Text-ure #Love Your Depot (with 정명우 No.1)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황수연 작가 작업실에서 진행한 인터뷰 음성을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모습과 설치 장면들을 함께 구성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황수연 작가는 자신의 주변에서 발견한 재료들을 오랜 시간 동안 바라보고 자신이 만져보고 두드려보고 소화시킨 다음에서야 조각으로 만들어내는 작가입니다. 그리고 한 작품을 만드는 과정과 그 시간이 작가에게 굉장히 중요한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와 공간에 맞는 다양한 조각 군들을 종이 등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우리는 이런 황수연 작가의 조각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조각의 모습이 아닌 시간과 장소와 흐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는 조각의 다양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이미지 : Love Your Depot 전시장에는 상쾌한 녹색으로 시원하게 칠해진 큰 벽면이 있습니다. 관객들이 가장 사진을 많이 찍는. 흡사 포토존 같은 장소인데요. 이곳의 이름은 정명우의 그린 패드입니다. 전시 조직 EVEN THE NECK에서는 2013년 정명우의 <움직이는 바닥에게> 퍼포먼스 작업에 대해 이렇게 적었습니다.

위험한 공구를 다루는 사람은 모든 감각이 예민해져 있는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정명우에게 가장 민감해지는 감각은 청각이다. 그는 작업 중에 들리는 공구의 소리에서 리듬과 하모니를 찾고 각 소리들의 배합에 집중한다. 그는 2013년, 아홉가지 공구소리를 들을 수 있는 ‘909’를 제작한다. 이것은 그에게 일종의 악기와도 같다.

이미지 : 오늘은 Love Your Depot 그린 패드의 주인공, 정명우 작가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명우씨, 청취자 분들께 인사 부탁드리겠습니다.

정명우 : 네, 안녕하세요. 정명우입니다.

이미지 : 그리고 저와 함께 57스튜디오로 Love Your Depot 프로젝트에 참여한 안재영씨, 오늘도 모셨습니다. 인사 부탁드려요.

안재영 : 네, 안녕하세요. 두 번째 인사입니다. 반갑습니다. 안재영이라고 합니다.

이미지 : 우선 오프닝에서 본 <움직이는 바닥에게> 퍼포먼스 너무 인상적인데요. 이게 2013년인가요? 저 퍼포먼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정명우 : <움직이는 바다에게>는 사실 제 졸업 작업인데요. 2013년에 이주요 작가님이 <나이트 스튜디오> 전시를 준비하고 계셨어요. 그때 이제 작가님이 무빙 플로어를 만들어 달라는 부탁을 저에게 해주셨고. 그래서 저는 2010년부터 알고 지내던 사이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제 하게 됐는데. 그 무빙플로어를 만드는 기간하고, 제가 졸업 작품을 만드는 기간하고, 그때 맞아 떨어져 가지고. 어떤 경험을 졸업 작품으로 풀어낼까 하는 생각을 하다가. 무빙 플로우를 만들고 있는 어시스턴트를 하고 있는 혹은 테크니션을 하고 있는 경험을 작업으로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그게 제 현재 위치나, 그 다음에 제 경험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을 해서요. 그래서 이제 그거를 <움직임을 바닥에게>라는 작업을, 퍼포먼스 작업을 만들게 됐고. 그래서 이제 그것을 졸업 작품으로 발표를 하고. 우연히 이제 이주요 작가님이 제 졸업 전시에 오셔서 보신 다음에, 이걸 아트 선재에서 한 번 해보자 라고 해서 주차장에서 또 퍼포먼스로 진행하게 되고. 이런 작업입니다.

이미지 : 저 때 저 기록 영상 기록 너무 잘 남기신 거 같아요. 저 때 그 함께 작업하신 분이 남겨 주신 거예요?

정명우 : 네. 문보람 작가가 저를 다방면으로 서포트 해주셨는데. 저게 시작되는 부분이 주차장. 그 엘리베이터에서 차량용 엘리베이터에서 하면 좋겠다라는 아이디어를 내서. 거기서 갇혀 있는 수고를 해주었죠. 문보람 작가가.

이미지 : 너무 잘 남기신 거 같아요. 저희가 사전 미팅 때도 저 영상 보면서 제가 너무 아깝다 이랬잖아요. 지금 저거 재현하신다 해도 저 느낌 안 나올 수도 있어요.

정명우 : 저 키트 자체가 다 제가 분해를 했기 때문에 다시 만드는 게 가능할지는 사실 모르겠네요.

이미지 : 시간대도 어쩜 저렇게 매직아워 때를 딱 맞춰서 했는지. 여러모로 그래도 영상으로 남겨서 너무 다행이다 싶었어요. 근데 보니까 저게 뭐 톱으로 이렇게 나무를 자르는 거라던지. 그 기계 자체에 좀 모션이 있는데. 기계와 공구를 다루는 데 굉장히 능숙하신 거 같아요. 원래 이런 작업을 하셨었나요?

정명우 : 이제 저 시점으로 따지면, 그 전에는 사실 저런 작업은 하지 않았었고요. 사실 제가 학교를 회화를 전공을 했거든요.

이미지 : 반전이었어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정명우 : 학부 때 회화를 하면 할수록 뭔가 이렇게 수렁에 빠지는 거예요. 잘 안 되고. 그 다음에 회화를 하면 할수록. 좋은 느낌을 받지 못하는 거죠. 그래서 이제 여러 회화 선생님들하고 이런저런 상담을 했는데. 그 중에 이제 노충현 선생님이…

정명우 : 노충현 작가가 선생님이셨어요?

정명우 : 수업 때 한번 들었던 적이 있었는데. 그 선생님 저한테 그런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유튜브 영상 중에 자코메티가 드로잉을 하는 그런 영상이 있는데. 그걸 한번 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이제 그 내용을 다른 건 아니고. 그냥 자코메티가 세필로 사람의 형상을 드로잉을 하는 건데. 그렇게 나이가 지긋하게 드신 노신사분도 세필로 한 획, 한 획. 이렇게 그으면서 이미지를 완성해 가는데 하고 싶으셨던 말은 그거에요. 너는 ‘왜 이렇게 급하니’ 약간 이런 얘기였죠. 이제 ‘회화의 호흡이라는게 있다’라는 말씀이셨는데. 그거를 계기로 제가 제 자신을 봤을 때. 이런 회화의 호흡은 지금 현재의 저한테는 좀 맞지 않는다고 생각을 많이 했고. 그래서 제가 어떻게 하는지 좀 스스로 판단을 했을 때. 작업하는 스타일이 좀 더 빠르고. 그 다음에 몸으로 부딪혀서 뭔가 습득하고. 그 다음에 그걸 풀어내는 방식을 좋아하는 거 같더라고요. 그래서 이제 저런 설치와 퍼포먼스를 병행하게 된거죠.

이미지 : 되게 좋은 얘기를 들은 거네요. 어떻게 보면 결과적으로는.

정명우 : 그래서 설치를 요즘은 잘 안 하고 있어요. 퍼포먼스를 주로 하는데. 설치는 사실 물질이 남잖아요. 그 작품 자체 오브제가 남다 보니까. 그것에 대한 그 처리가 사실 많이 난감해서. 요즘은 많이 안 하고 있는데.

정명우 : 원래 설치를 주로 하게 된 게. 제가 군대를 목공병으로 들어가게 돼서… 다들 놀라셨죠.

지로 : 처음 들었어요.

이미지 : 그런게 있는지도 몰랐어요.

정명우 : 키트라던가 보관함 같은 걸 만드는 걸 주로 하고 저희가 사령부여서 되게 테이블 같은 것도 만들어 주고. 사령관님을 위한 그런.

지로 : 되게 잘 만들어야겠다.

정명우 : 네 잘 만들어야 돼요. 마감에 엄청난 신경을 쓰면서. 그런 경험들이 좀 많이 있어서. 이제 이런 기술을 갖고 나오다 보니까. 이제 자연스럽게 전시 테크니션으로 많이 뛰게 됐어요. 그래서 졸업하면서 이런 일을 계속 하니까. 차라리 이럴바에 사업체를 차리자, 라는 생각을 하게 됐고 그래서 이제 서브잡으로 개인 사업체를 하나 제가 가지고 있는 CEO입니다.

이미지 : 그러면 서브잡으로는 전시 설치. 왜냐면 제가 그 명우씨를 처음 소개 받았을 때는 전시 설치를 하시는 테크니션으로 먼저 소개를 받았었거든요. 그러면 보통 그 서브잡, 갖고 계신 개인 사업체의 주 활동 영역은 어떤 설치나 이런 작업의 테크니션인가요?

정명우 : 앞에서 말씀드렸던 그 사업체의 명이 ‘괄호’라는 팀인데요. 원래는 팀이었는데 이제 사실상 많이들 떠나서. 저 혼자 운영하고 있고요. 말씀드렸다시피 전시공간 디자인 그리고 조성. 그 다음에 뭐 설치 인력으로도 참여하고. 심지어 철거까지 다 관여를 하고 있고요. 그래서 전시와 관련된 물리적인 것에 원스탑, 올 서비스를 해드리는 업체입니다. 많이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 아 좋다. 듬직하네요.

안재영 : 저는 명우씨가 지금 현재 쪽 가지고 있는 포지션들이 굉장히 독특하고 그리고 좀 매력적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어찌됐든 명우씨도 이제 창작 활동을 하는 포지션을 가지면서,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동시에 이제 미술관에서도 일을 하잖아요. 그러니까 미술 신에서도 일을 하는데. 저 역시도 약간 명우씨랑 비슷한 포지셔닝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작가들의 작업을 바라볼 때 좀 거리두기를 저는 하는 것 같아요. 근데 아마 제가 생각했을 때 명우씨도 이렇게 객관적으로 작업을 바라보는 관점이 있지 않을까 하는데. 이런 것들이 작업할 때 굉장히 좀 큰 장점으로 작용할 것 같거든요?

이미지 : 맞아요. 이게 전시장 안팎을 모두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이 생겨서, 좋은 거 같아요. 그러면 지금도 괄호 활동을 계속 하시는 거죠?

정명우 : 지금도 계속 하고 있고요. 괄호는 사실 이번 주. 그러니까 화요일 날 춘천에서도 설치를 또 하나 만들어 주고 왔고요. 앞으로도 한 지금은 3월까지는 지금 괄호 차원의 일은 계획이 되어 있어요. 잡혀 있어서. 저를 다행히도 누군가 불러주더라구요.

이미지 : 청취자 여러분들 중에 괄호를 모르시는 분도 있을 것 같아요. 왜냐면 저희는 괄호가 익숙하지만 이제 갓 시작한 분들께는 괄호가 낯설수도 있으니. 괄호를 간략하게 소개시켜 주시겠어요?

정명우 : 괄호는 이제 전시공간 디자인을 주로 하고요. 근데 그거 말고도 여러 프로젝트나 퍼포먼스를 진행을 했었어요. 그중에 사실 유일하게 했던 프로젝트는 2015년에 잠깐 창업 당시에 잠깐 했던 프로젝트인데. 전시 재사용 프로젝트였어요. 전시 재사용 프로젝트는 저희가 이제 일을 하다 보니까 철거까지 한다고 말씀드렸잖아요. 이제 철거를 하게 되면 거기서 나오는 그런 폐기물들이 많아요. 그래서 그 폐기물들을 가지고 가구를 만들어서 판매하자는 그런 아이디어였고 그리고 심지어 그 폐기물들을 다른 전시에 또 활용을 하는 그런 프로젝트였어요. 그래서 가구로 만드는 거는 2015년에 아르코에서 했던 역병의 해 전시였는데. 규모가 커서 폐기물이 쏟아져 나왔는데. 그거를 회수해서, 그거를 가지고 와서 테이블을 만들었어요. 역병의 해 테이블이라고 만들었는데. 그거는 이제 교역소에서 열렸던 좌담회에 제공을 했어요.

정명우 : 그래서 이제 사람들이 그 테이블 위에서 이제 되게 불편하게 좌담회를 하게 된 사진이 나와 있을 거예요. 그리고 또 하나는 이제 급하다 보니까. 가구 만드는 프로젝트를 약간씩 미루게 되면서 그냥 폐기물만 쌓여 갔거든요. 1년 동안. 그래서 이제 더 이상 작업실에 둘 수가 없어서. 그거를 한번 이제 털어내는 전시로. 이제 교역소에서 또 했던 헤드론 저장소에 모든 그런 폐기물들을 다 쏟아냈죠.

안재영 : 저도 괄호는 이름을 되게 많이 들었거든요. 저도 교역소 때 퍼포먼서로 참석을 했었는데. 근데 저는 그게 괄호에 멤버가 명우씨가 포함되어 있는지는 몰랐어요. 지금 알았어요.

이미지 : 그리고 나서 사실은 저는 괄호 이름 처음들은 게 테크니션으로 소개 받는 거 말고 이 팀이 이런 것도 해라고 했던게 사실 굿즈였거든요.

정명우 : 네 굿즈에도 참여를 했죠.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사실은 협업에 대해서 되게 관심이 많아요. 근데 이제 거의 공부를 하는 수준이고. 사람들하고 이렇게 저렇게 부딪혀 보는 걸로써 의미를 아직은 두고 있는데요. 협업을. 어떤 결론에 내리기보다는. 그래서 이제 그때 굿즈는 문보람 그 다음에 김예지, 그 다음에 박수민씨하고 같이 4명이서 굿즈를 하게 되었고요. 그리고 괄호 자체적으로도 기획팀에 속해서 기획도 많이 같이 했고요. 그리고 공간 디자인도 그때도 같이.

이미지 : 그때 공간 디자인까지 같이 하신 거였어요?

정명우 : 네 정확히는 김동희 작가랑 저희 괄호랑 공간 디자인도 같이 하고 이러면서 굿즈를 꾸려나갔죠. 그래서 김예지 작가하고 문보람 작가 그 다음에 박수민 작가하고 같이 했던 거는 ‘살롱드백드롭’이라는 대기 공간을 만드는 거였어요. 그 공간에서 이제 퍼포먼스. 문보람 작가의 <불타는 별별>이라는 퍼포먼스도 이루어지고. 관객들이 굿즈를 보다가 이제 지치면 잠깐 와서 쉬기도 하고. 이케아 쇼룸처럼요. 이케아와 비교할 수는 없지만. 그런 개념으로. 이렇게 인포데스크 앞에 마련해서 관객들이 쉬기도 하고. 그 다음에 여러 작품도 관람하면서. 자그만 살롱드백드롭이란 공간이었고. 그 협업 자체는 즐거웠어요. 모두가 다.

이미지 : 사실 굿즈가 대단했죠. 지금 시간이 지나도 굿즈는 미술씬에서 어떤 그 독특한 성격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예술가들이 이렇게 함께 모여서 말씀하신 그 협업을 굉장히 아름답게 보여준 사례가 아니었나 싶기도 하고, 어떤 마켓에 대한 실험인 것 같기도 했었고. 그 행사 자체가. 그리고 거기 그때 당시에 참여했던 작가분들의 에너지가 대단했어요. 저 그때 굿즈 갔을 때 아직도 기억나는게. 여기 다 모였네. 약간 이런 느낌이죠. 근데 역시 그 자리에도 계셨군요.

정명우 : 즐거웠어요.

안재영 : 좀 전에 다른 작가분들이랑 수민씨라던지 다른 보람씨라던지. 작가들과의 협업에 대해서 간략하게 얘기를 해주셨는데. 조금 더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에서의 협업이 이루어졌는지 디테일한 설명을 부탁드릴께요.

정명우 : 사실 전시의 어느 파트를 만든다는 것이, 그렇게 해서 전시를 만든다는 거 자체가. 사실은 협업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을 해요. 모든 것 하나하나가 다 사실 협업이고. 그 다음에 만들어지는 건데. 그때부터 협업에 대해서 관심이 되게 많았어요. 어떤 지점을 협업을 할 것인가. 그리고 어떤 지점은 개인적으로 할 것인가. 어쨌든 협업에 대해서 되게 많은 고민들이 많은데. 그리고 그런 것들을 서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 자체가 되게 어쩔 땐 수직적이고, 수평적이기도 하고. 이런 여러 방법들도 되게 존재하고.

정명우 : 그리고 그거 자체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어느 실험의 장이라고 또 제 스스로는 그렇게 거창하게 생각을 하는데요. 그래서 그런 것들을 계속 거치면서 협업을 해서 뭔가를 같은 결과물을 같이 달려간다는 거 자체에서 시너지가 날 때 엄청 흥미롭고 좋았던 거 같아요. 그래서 굿즈로 예를 들면 이제 박수민씨가 뭐 디자인을 하고 제가 만들고. 그리고 문보람, 김예지 작가가 갑자기 개입하면서 어떤 화룡점정 같은 걸 찍어주고. 계속 그랬다는 건 아니고. 이런 식으로 서로가 모자라는 것들을 계속 서로가 챙겨 가면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 때. 그리고서 만들어서 다 같이 향유할 때. 그런 즐거움들이 있어서 지금도 협업을 언제든지 하고 싶고. 근데 이제 지금은 좀 융통성 내지 아니면 약은 거 같기도 하고. 제 스스로 어느 순간 선긋기 하는 거 같기도 하고. 뭔 말인지 모르겠네.

이미지 : 중요하죠. 그니까 협업이라는 말 단어 안에. 사실 너무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과 이해관계를 그걸로 덮어버릴 때가 많잖아요. 특히 전시나 이런 아트씬에서 하는 활동 같은 경우는 어떤 수익성이라든지 뚜렷한 목적과 결과물로써 서로를 분배할 수 없는 그런 것 때문에 더욱더 무서운 얘기긴 하지만, 서로 부족하고 어려울 때는 고통을 나눴는데. 이게 잘 된 다음부터는 그거를 함께 즐길 때는 이제 마음처럼 그게 안 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