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 참여작가 인터뷰 #1 조영주
2023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 참여작가 인터뷰 #1 조영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참여작가 인터뷰 #1
프로그래머: 송초롱
참여작가: 조영주
패널: 곽영빈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Merry Mix: The More, The Better
Artist Interview #1
Programmer: Song Chorong
Artist: CHO Youngjoo
Panel: KWAK Yungbin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57STUDIO
촬영: 황낙원, 강주희
촬영보: 안재원, 오유찬

작업 소개

57STUDIO는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콘텐츠로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아티스트 인터뷰 기획과 제작을 진행하였습니다.

@mmcakorea
전시가 종료된 이후에 영상 작업은 어떻게 기억될까요? 그리고 어떻게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한 이번 프로젝트는 전시 종료 이후, 참여작가 3인의 작업을 새롭게 기록하고자 시작되었습니다.대면, 비대면 그리고 AI 기술을 사용한 각기 다른 세 가지 컨셉 안에서 매주 순차적으로 참여작가 3인의 작품 해설 영상이 공개됩니다.

첫 번째 주인공은 조영주 작가입니다. 미술평론가 곽영빈과의 대면 인터뷰를 통해 진행된 <디어 마이 아티스트>, <테크네 & 뮤지케> 작업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만나보세요.

프로젝트 내용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은 오랫동안 꺼져 있던 국립현대미술관의 대표 소장품, 백남준의 ‹다다익선›(1988)을 대대적으로 복원해 다시 켜는 것을 기념한 전시이다. 1988년 9월 15일 백남준은 국립현대미술관에 모니터 1,003대를 이용한 대규모 영상설치 작품 ‹다다익선›을 완공했다. 전시는 ‹다다익선›의 제작 배경과 그 이후 현재까지 작품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아카이브, 그의 작품세계와 관련 자료를 새롭게 해석한 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Merry Mix: The More, The Better is an archival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reactiv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s greatest collection, The More, The Better (1988), following its extensive period of restoration. PAIK Namjune completed this large-scale video installation of 1003 TV monitors on September 15th, 1988. The exhibition will take on a journey across the background of its creative production, an archive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work since its conception, and the works of different artists who interpreted PAlK’s oeuvre into their own words.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소개글

Cho Youngjoo, Techne & Musike

곽영빈: 작가님 오랜만에 뵙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조영주: 안녕하세요.

곽영빈: 저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간단하게 소개를 다시 환기를 드리자면 곽영빈이라고 하고 미술 비평가로 활동을 하고 있고 미술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도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특히 이번에 백남준 전시 관련한 맥락에서 질문을 드려보면 어떨까 싶어서 몇 가지 질문을 좀 마련을 해왔는데요. 편하게 답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퍼포먼스 아트의 연장선에서 작가님의 스스로의 포지셔닝, 내 위치, 내가 이전 작업들보다 조금 더 앞으로 나아가거나 고민하는 지점들 그런 얘기로 처음에 운을 떼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조영주: 실은 제가 퍼포먼스 작가라고 최근에는 종종 불리는 것 같아요. 하지만 이전에는 영상 작가, 그 이전에는 커뮤니티 아트, 설치작가, 이렇게 다양하게 이름이 계속 바뀌었거든요. 그것은 제가 매체를 워낙 다양하게 사용하다 보니 그렇게 계속 불리는 것 같아서 실은 저는 거기에 대해서 큰 의미를 두지 않고요, 작업이 매번 어떠한 것을 시도하고 실험해 보고 싶을 때 그것의 적절한 재료가 무엇일까? 그게 사운드가 될 수도 있고 협업이 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정말 작게는 석고로 손으로 만드는 것이 될 수도 있고요.매번 그것이 바뀌다 보니 명명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 보지는 않았고요.

곽영빈: 퍼포먼스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직접 관객으로서 라이브로 내가 직접 본다. 그때 볼 수 있는 사람이 한정이 되어 있을 수밖에 없으니까 당연히 영상 작업으로 나중에 시간차를 두고 보는 사람들이 저처럼 있을 수밖에 없잖아요, 또 이번 백남준 작가 같은 분도 어찌 됐건 레퍼런스를 사실은 환기한다는 건 작가 입장에선 내가 이 사람으로부터 어떤 식으로 너무 좋으면 좋은 대로 떨어지고 싶다, 차이를 좀 두고 싶다. ‘비슷한데요.’라는 말을 듣고 싶어 하는 작가는 아무도 없을 테니까요. 그런 차원에서 얘기를 좀 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조영주: 벌써 2년 전 작업이고요. 백남준 작가는 너무나 대단한 분이잖아요. 그래서 저는 백남준과 제가 무슨 관계가 있을까를 처음에 가장 질문했어요. 근데 아무 관계가 없더라고요. 아무 관계가 없고 그러면서 어떠한 지점이 저를 끌어당길까를 여러 가지를 살펴보다가 그 당시 실은 제가 이원 생중계라는 시스템에 무척 관심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준비 중에 있었어요. 그거는 백남준의 작품에서 영향이라기보다는 이산가족 상봉, KBS에서 80년대에 수개월 동안 했던 그때 방영됐던 프로그램에 대해 제가 리서치를 하고 새 프로젝트를 준비하던 중에 백남준과 만남이 있던 거죠. 전시 준비를 하게 됐는데 그러면서 그 매체를 백남준은 동시에 세계의 나라 생방송한 프로그램이 있었고 그래서 처음에 굉장히 그거에 끌렸어요. 매체적인 지점 어떻게 이것을 기획했는지 그 작가의 카리스마와 능력과 기획력, 이런 것들이 끌렸다가 나중에는 정말 공통점이 무엇일까라는 생각을 하다가 그의 아내의 에세이를 보면서 여러 가지 발견하게 된 것은 굉장히 작가로서 성공한 그 모습은 제가 알고 있잖아요. 그런데 그 이전 혹은 그 이후의 말년 이런 모습들을 에세이에서 엿보게 된 것 같아요. 그래서 몸이 아파서 돌봄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든지 그러면서 고국을 그리워하는 어떤 마음이 있었겠죠. 그러니까 아픈 와중에 한 손으로 ‘울 밑에 선 봉선화’라든지 ‘아리랑’ 굉장히 한국의 향수를 일으키는 곡들을 피아노로 쳤다는 대목을 보면서 이게 저랑 되게 비슷한, 인간적으로 누구나가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어떠한 지점이 저는 그제야 조금 발견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아무리 그렇게 유명하고 명성이 있는 작가였겠지만 창작의 어떤 고통 혹은 그 과정은 창작이 어렵잖아요. 새로운 것을 제안해야 되고 보여줘야 되고 실험해야 된다는 그 과정은 또 저랑 똑같았지 않았을까? 그러니까 아티스트로서 산다라는 것 자체가 저와 공통점이었겠다그럼 저는 그 지점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곽영빈: 이번에 백남준 전시에 작가님이 참여하실 때는 공교롭게 그런 테크닉적인 테크네라는 지점을 되게 전경화하신 지점이 저는 이전의 퍼포먼스에 많이 좀 무게가 가 있었던 거 같아서 약간은 중심 이동 같은 거 고민의 지점들이 조금씩 다른 식으로 가고 계셨던 게 아닌가 생각을 하기도 했었거든요. 혹시 여기에 좀 덧붙일 말씀이 있으실까요?

조영주: 아마도 제 작업의 내용적이거나 주제적인 지점은 돌봄, 여성, 여성 신체 이미지, 이렇게 쭉 가는데 실은 그 무렵, 테크네 뮤지케를 할 무렵에 매체에 대한 질문이 굉장히 많이 왔었어요. 제가 이원 생중계를 할 때 보통은, 한 미술관의 다른 장소층이 다르다든지 방이 다른 두 곳에서 동시에 진행을 해요. 굉장히 아이러니한 거죠. 먼 두 곳을 생중계하면서 우리가 보통 그 기술을 사용하는데 같은 건물 아니면 보통 1분 내로 왔다 갔다 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 1분 동안은 여기 퍼포먼스도 놓치고 이쪽 퍼포먼스도 놓치는 그런 상황이 되는 게 라이브인 거잖아요. 그래서 그거를 역으로 작업에 끌어들이면서 그런 매체적인 고민, 라이브성, 그 라이브성은 뭔가 이런 질문부터 해서, 장소와 더불어 관객의 질문 그래서 그 매체적인 질문이 사실은 그 무렵에 많이 올라왔었던 것 같아요. 그게 아마도 팬데믹이라는 그 시기 그다음에 제가 처한 미술계라는 이 안에서의 어떤 특성들 그러면서 그 작업이 나오게 된 것 같아요.

곽영빈: 제가 오프닝 퍼포먼스를 못 갔다 그랬잖아요. 결국 전 나중에 봤는데 처음에 사실 오늘 질문했던 걸 다시 가지고 오는 걸 수도 있겠습니다만 제가 오프닝을 못 봤다면 엄청난 걸 놓치게 되는 걸까요?

조영주: 일단은 라이브 퍼포먼스를 놓치셨잖아요? 그러면 그 라이브 퍼포먼스를 놓치신 게 된 거고요. 비디오 작품, 테크네 뮤직케는 보셨으니까 그건 보시게 된 거예요.내용적인 지점은 충분히 우리가 캐치할 수 있는 거지만 두 매체가 달라짐으로써 정말 저는 굉장히 다른 것을 관객이 가져간다고 생각을 하는데 그 라이브 퍼포먼스 안에서 이루어졌던 것은 경험하지 못하신 거죠. 결국에는그거는 어떤 선택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우리가 어떤 작업을 10분짜리지만 1분만 볼 수도 있는 것처럼 그런 정도의 큰 걸 놓치신 거죠.

곽영빈: 그러면 우열관계가 있는 건가요?

조영주: 아니에요, 우열관계가 있지 않다고 저는 생각하고 동등하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여러 가지 어떤 미술관의 특성상 비디오 작품은 굉장히 많은 관객이 오랫동안 볼 수 있는 특성을 가진 거고요. 퍼포먼스는 그렇지 않죠.

곽영빈: 모든 걸 다 작가가 통제하지 못한다는 게 어떤 의미에서는 디폴트라는 생각이 들고 그것에 대한 반응을 어떤 식으로 시간차를 두고 하느냐, 그리고 그 과정 안에서 매체라고 불리는 것들과의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하느냐가 자신의 작업을 자기의 아이디어만 가지고 다 장악하지 않을 수 있는 이게 좀 이상한 표현이죠. 장악을 하는 게 대부분 좋은 건데 장악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게 가능성이라고 만약 부를 수 있는 거라면그 지점에 있어서의 퍼포먼스의 역할 같은 게, 혹은 위상 같은 게 어떤 함의 같은 게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좀 들기도 하는 지점이거든요. 혹시 여기에 작가님 생각이 있으실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조영주: 제가 최근 작업들, 예전에도 그랬지만 협업을 굉장히 많이 하는 편이에요. 그리고 퍼포머들 당연히 있고, 촬영 감독님들 있고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있고 생중계는 특히나 즉흥성, 저의 즉흥성은 당연하지만 감독님들의 즉흥성들 그리고 각자가 가지고 있는 창조성 그런 것들이 막 녹아지고 섞여서 가거든요. 저는 지금 말씀하셨던 것처럼 그 작가가 모든 아이디어를 가지고 기획을 가지고 모든 것을 장악하는 작가분들의 특성이 있지만 저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그리고 그것을 열어 놓고 작가 한 명이 하는 것이 아니라 굉장히 많은 사람이 같이 갈 때 그것을 의도적으로 열려 있는 지점들을 마련하지 않으면 그래도 되겠죠, 하지만 그것이 굉장히 저는 제 작업에서 중요한 특징이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곽영빈: 지금 시점에서 한번 이렇게 돌아보신다면 음악이라는 혹은 넓은 의미에서 사운드라는 것의 어떤 요소들이ㅜ작가님 작업에서 어떤 무게 같은 걸 갖는지 혹은 최근에 만약 제 추측대로 거기에 조금 더 포커스가 나름대로 이전보다 무게 중심이 가는 게 맞는다면그 지점에 대한 생각들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조영주: 제가 그런 공연 예술에는 워낙 어릴 때부터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많은 요소들이 제 작업 안에 있는 것들이 굉장히 자연스러운 일이에요. 음악 역시도요 특히 영상을 다루면서 사운드의 역할들이 좀 더 중요하구나 그리고 사운드의 영역이 이렇게 깊고 넓구나를 지금 알아가는 단계라고 생각을 해요. 제가 어떤 사운드 퀄리티라든지 이런 것들은 지금에서야 조금씩 보완하고 공부를 해나가는 그런 지점이 있는 것 같고요.

곽영빈: 말씀 처음부터 해주셨던 것들 저도 예측하지 못했던 얘기들이 되게 많았었는데 저도 다시 한번 더 흥미롭게 들었던 것 같고요. 들으셨던 분들도 작가님 작업의 전시 보시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조영주: 감사합니다.

Kwak Yungbin: It’s good to see you again after so long.

Cho Youngjoo: Hello.

Kwak Yungbin: Some viewers may already know me but, just to briefly introduce myself, I’m Kwak Yung Bin. I work as an art critic,
although I’m also interested in many other fields besides art. In particular, I wanted to ask some things in connection with the Nam June Paik exhibition, so I’ve come up with a few questions. Feel free to answer them however you like.

To start off, I’d like to ask about your own position
as an extension of the performing arts, and which aspects you hope to move forward with when thinking on your previous works or grappling with related issues.

Cho Youngjoo: It feels like I’ve been hearing myself described as a performance artist a lot lately. But before that, I was a video artist,
and before that a community artist and installation artist. So I’ve gone through a lot of different labels. I’ve worked with quite a wide range of media,
and I think that may be the reason they keep changing. Honestly, I don’t attach much significance to them. Whenever I want to try something different or experiment with my work, I think about what the right material for that would be. It could be sound-based or collaboration-based. It could be something small and handmade in plaster. So it’s different every time, and I haven’t really thought all that much about the labels.

Kwak Yungbin: Because performances take place in a particular setting, where people are viewing it live and in person, there are obviously going to be constraints on who can watch it. And of course, with video work, there are people who watch it after some time has passed, like me. In the case of someone like Nam June Paik, you have the idea of referencing something. From an artist’s perspective, if you really admire someone, you may want to kind of distance yourself from them. After all, no artist wants to hear that their work is similar to someone else’s.I’d like to hear your thoughts on that.

Cho Youngjoo: The work is from two years ago. Nam June Paik was such a remarkable figure. So the question of what connection existed between Nam June Paik and me was the biggest question for me from early on. Bu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n’t any connection.Still, despite the lack of connection, I considered different aspects that might appeal to me. At the time, I was really interested in dual broadcasting systems and was developing a project along those lines. So it wasn’t really influence that I received from Nam June Paik. Rather, while researching reunions among divided South and North Korean family members, and the related programs aired on KBS for several months in the ’80s, I encountered Nam June Paik when working on that new project and starting to prepare for the exhibition. In terms of medium, Paik created works that were simultaneously broadcast live to different countries. So I was really drawn to that at first. To the medium. I was interested in how he planned it, things like his charisma as an artist, and his talents and design capabilities. Later on, I was thinking about what actual commonalities we shared, and I read an essay written by his wife where I learned a few different things. I was familiar with his image as this really successful artist, and the essay gave me insights into who he was both before and after that, in his later years. For example, there was the situation where he needed care due to his failing health, and he likely experienced feelings of longing for his homeland. So in his poor health, he would play pieces like “Garden Balsam” or “Arirang” on the piano with one hand, songs that really evoked a sense of nostalgia for Korea. I think that reading that was when I first discovered similarities to me, in terms of aspects that all of us might share as human beings.

And despite being such a famous and celebrated artist, [he] also experienced the struggles and process of creation. Creation is hard. It’s a process requiring us to suggest and show and experiment with new things, and that also seemed to resonate with me. There were certain similarities in terms of us living as artists. Those are the aspects that I decided I wanted to focus on.

Kwak Yungbin: With your contribution to this Nam June Paik exhibition you do seem to have really emphasized the technical element, the techne. So though it seemed like the focus was more on performance in the past, it felt like there was something of a shift in that. I sensed that your considerations were going in a slightly different direction. Do you have any comment you want to make about that?

Cho Youngjoo: I guess that in terms of the content and thematic aspects of my work,
I was progressing to things like care, women, and female body imagery, and right about the time of Techne & Musike, I focused on a lot of questions relating to media. Normally, dual broadcasting involves different locations in a museum whether it’s different floors or different rooms. There’s something very ironic about it. We ordinarily use that technology for live broadcasts between distant locations. But within the same building, or at a distance you can travel in the space of a minute, you’re missing something from each performance during that minute. That kind of situation is something genuinely “live.” So as I incorporated that situation into the work, there were the considerations in terms of media, with the liveness. It started with those questions, and there were also questions of place and audience,a lot of medium-related questions that came up around that time. That may have had to do with the pandemic situation, as well as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art world that I was dealing with. So that’s the context that the work emerged from.

Kwak Yungbin: I mentioned that I couldn’t attend the opening performance. I ended up seeing it later on. I may be revisiting what I asked about earlier, but it seems like I missed a great deal by not seeing the opening.

Cho Youngjoo: So what you missed was the live performance. Even though you missed the live performance, you saw the video work, you saw Techne & Musike. So you did see it. The content is something we’re capable of grasping. But because the two media are so different, I feel like the viewer takes something very different away from it. So you ended up not experiencing what happened during the live performance. I see that as a matter of choice. For example, a work might be 10 minutes long, and we only watch one minute of it.So it was along those lines. You missed a big part of it.

Kwak Yungbin: So is one better than the other?

Cho Youngjoo: No, I don’t think there’s any one that takes precedence. I view them as equal. But there are also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art museum. A video work is something that a lot of people can view over a long period of time. A performance isn’t like that.

Kwak Yungbin: It seems like the artist’s inability to control everything is kind of the default. So the question is how to respond to it in a different sense of a time, and also how the relationship with what we call the “medium” is defined in that process. So your ideas alone don’t allow you to control everything about your work. It’s kind of a strange way of putting it. In most cases, having control is good, but if not having control it creates some kind of possibility, I feel like there’s a role that the performance plays or a stature that it holds in that sense, a certain implication that’s present there. I’m also curious to hear your thoughts on that.

Cho Youngjoo: With my recent works, and my previous works as well, I tend to do a lot of collaborating. You have the performers, obviously, and the cinematographers. A lot of different people. Live broadcasting involves a lot of improvisation. Obviously, there’s my improvisation, but also improvisation by the directors, along with the creativity that everyone brings to it. So those things are all blended together. As you mentioned just now, an artist by their nature typically has certain ideas and plans where they’re controlling all the different aspects. But I don’t really see my work as being like that.And when you open it up, when it isn’t just a single artist but a lot of different people working together, you have to deliberately introduce aspects that are open-ended. In any case, when it comes to my work, I think that’s a really crucial characteristic.

Kwak Yungbin: Looking back from the current standpoint, there have been elements of music or, in a broader sense, sound that seem to have a certain importance in your work. To me, anyway, it appears that recently the focus has shifted in that direction a bit more compared with before. Do you agree with that, and could you share your thoughts on it?

Cho Youngjoo: I’ve been really interested in the performing arts from a young age, it feels natural for me to have a lot of different elements in my work, and that’s true for music too. When you’re working with video, sound takes on even more importance. I also think there are levels of understanding around just how deep and broad the realm of sound can be. So with things like sound quality and such, it feels like I’m just now starting to learn and perfect things.

Kwak Yungbin: You’ve brought up quite a few things that I didn’t even expect to hear. So listening to you has been really enjoyable. I hope that this will help our listeners in appreciating the exhibition. Thank you.

Cho Youngjoo: Thank you.

Cho Youngjoo, Techne & Mus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