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대한제국의 미술, 빛의 길을 꿈꾸다 | 전시해설영상
2018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대한제국의 미술, 빛의 길을 꿈꾸다 | 전시해설영상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대한제국의 미술, 빛의 길을 꿈꾸다
학예연구사 | 배원정
나레이션 |이승준(배우)
2018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Deoksugung
Art of the Korean Empire, The Emergence of Modern Art
Curator | Bae Won-jung
Narration | Lee Seung Jun
2018

크레딧 보기

연출 및 구성: 이미지
기록 영상 촬영: 엄준호, 이규연
기록 사진: 정현준
나레이션: 배우 이승준
편집/C.G: 이미지

작업 소개

57STUDIO는 대한제국 시기의 미술을 조명하는 전시 소개 영상을 기획 및 제작하였습니다. 본 영상은 배우 이승준의 전시 오디오 가이드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시 공간과 작품의 디테일을 면밀히 포착하여 대한제국 미술의 역사적 의미와 전시의 취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본 전시는 대한제국기의 회화, 사진, 공예 등 다양한 미술 장르를 아우르며, 이들이 이후 시대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 근대미술사 연구가 조선미술전람회 이후 변화가 뚜렷했던 1930-40년대에 집중되었던 것과 달리, 대한제국기의 미술은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선도한 중요한 시기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이 시기는 상대적으로 조명받지 못했으며, 본 전시는 이러한 역사적 공백을 메우고 대한제국 미술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합니다.

57STUDIO planned and produced an introductory video for an exhibition highlighting the art of the Korean Empire period. This video is based on the exhibition’s audio guide narrated by actor Lee Seung-Jun, and focuses on capturing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details of the artworks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Empire art and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The exhibition encompasses various art forms from the Korean Empire era, including painting, photography, and crafts, and aims to explore how these art forms connect to later periods. Unlike the focus of modern art history research, which has traditionally concentrated on the changes seen in the 1930s and 1940s after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 art of the Korean Empire is recognized as a pivotal period in leading contemporary artistic movements. However, this period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and this exhibition seeks to fill this historical gap and shed new light on the value of Korean Empire art.

안녕하세요. 배우 이승준입니다.

대한제국은 1897년부터 1910년까지, 단 13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존재했던 나라입니다. 하지만, 외세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주적인 부국강병을 꿈꾸었던 한반도 최초의 근대국가이기도 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대한제국 시대의 미술 중에서도 특히 황실의 미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새로운 자주 근대국가로 나아가려 했던 고종의 바람이 가장 적극적이고도 즉각적으로 나타난 분야가 바로 궁중미술이었기 때문입니다.

고종어진

이 전시실은 제국의 미술이라는 주제로 구성됐습니다. 제일 먼저 고종의 초상화가 저희를 맞이하고 있군요. 임금의 초상화는 보통 어진이라고 부르는데요,
황제가 된 고종은 근엄한 표정을 지은 채 정면을 바라보며 앉아있습니다. 고종이 앉아있는 어좌의 용머리 장식도 선명한 황금색을 띠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어진에는 황금색이 많이 쓰였다는 점 말고도,
다른 어진들과 비교했을 때 색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서양식의 명암법을 사용해서, 고종의 얼굴과 의복을 상당히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근대의 시작이 어진 속에서도 드러나 있는 셈이죠.

고종임인진연도병

이 그림의 제목은 고종임인진연도병입니다. 좀 길죠? 플어서 해석해 보자면 고종을 위해 임인년에 올린 진연을 기념해서 만든 그림 병풍, 이라는 뜻입니다. 임인년은 1902년을 말하구요, 진연이란 궁중 연회를 뜻합니다. 그런데 저는 이 열 폭의 그림 중에서도 특히 하나의 그림에 더 눈길이 갑니다. 바로 오른쪽에서 4번째 그림인데요, 그림 하단 양옆으로 서양식 군복을 입고 총검을 든 신식군인들이 등장하고 있죠? 그리고 그보다 조금 더 위에는 대한제국의 국기인 태극기가 보입니다. 궁중 연회를 그린 그림에도 ‘대한제국’이라는 시대사적인 배경이 잘 나타나고 있는 셈입니다.

신중도

불법을 지키는 호법신들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호법신들은 장수의 모습을 하고 등장하는데요, 이 그림에는 좀 특이한 모습의 호법신들이 보입니다. 여기 제일 앞줄 중앙에 있는 신들인데요, 특히 왼쪽에 있는 호법신은 푸른 제복을 입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쓰고 있는 모자에는 오얏꽃 문양이 새겨져 있네요.

호법신의 모자에 새겨진 오얏꽃은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꽃이었습니다. 게다가 제복의 견장 위에는 태극기 문양도 보입니다. 이제 이 푸른 제복을 입은 호법신이 어떤 사람인지 감이 잡히시나요? 네, 바로 대한제국의 신식 군인입니다. 그런데 이런 신식군인의 모습이 왜 불화 속에 그려져 있는 걸까요?그 이유는, 아마도 새롭게 등장한 신식 군대의 힘이 나라를 지켜주길 간절히 원했기 때문일 겁니다.

이 전시실은 사진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대표적인 서구문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대한제국 황실은 이런 사진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의 궁중회화에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그 전까지 그림이 해왔던 기록과 재현의 역할을 사진이 대체하기 시작한 것인데요, 고종을 그린 초상화가 사진으로 대체되는 과정 속에, 그런 변화가 잘 드러나 있습니다.

대한황제 초상

배경이 되는 종이 위에, 그다지 크지 않은 고종의 사진이 붙어 있습니다. 오른쪽 윗부분에는 글씨도 써있습니다. 대한황제진 광무9년 재경운궁. 1905년 경운궁에서 촬영된 대한제국 황제의 사진이란 뜻입니다.
이 사진은 당시 대한제국을 방문했던 미국 순방단에게 하사하기 위해서 촬영했던 고종 황제의 공식 사진입니다. 당시 고종은 경운궁 중명전 1층 중앙 통로에 앉아서 이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런데 익선관을 쓰고 황룡포를 입은 채 앉아있는 고종의 뒤에, 일본식 자수 병풍이 세워져 있네요. 해와 달과 다섯 봉우리가 그려진 일월오봉병을 대신해서 말이죠.

그래선지, 일본 사람이 찍은 사진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던데요, 사실 이 사진은 한국인이 찍은 것으로 확인된 최초의 고종 황제 사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사진 전까지는, 일본인 사진사들이 대한제국 황실의 사진 문화를 주도하고 있었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사진을 찍은 김규진은, 사실 사진가가 아니었습니다. 빼어난 글과 그림을 자랑하던 서화가였습니다. 영친왕의 서화 스승이기도 했죠. 김규진은 이 사진을 찍은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가서 본격적으로 사진 기술을 익히게 되는데요, 그 뒤에는 대한제국 황실의 후원이 있었다고 합니다.

외국 매체에서 본 대한제국의 표상

19세기 중엽 이후, 서구에서는 사진과 인쇄기술의 발달 덕분에 이미지를 담은 출판물과 신문, 사진, 엽서와 같은 매체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그렇다면 외국 매체에 실린 우리나라의 사진 이미지는 어땠을까요? 대한제국 수립과 1900년 파리만국박람회 참여에서부터 고종의 강제 퇴위와 순종의 즉위을 거쳐 경술국치로 이어지는 한국 근대사의 장면들은 대부분 다른 나라 사람들의 손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소비됐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외국 매체 속 한국의 이미지는 정형화되어 나가게 됩니다.

조선말기 분원 백자 섹션

조선말 분원에서 만들어진 백자들이 앞쪽에 전시돼 있네요. 분원은, 왕실에서 쓰는 그릇을 전담해서 구워내던 가마터를 말하는데요, 분원에서 생산된 백자들은 관요였기 때문에, 좋은 품질을 자랑했다고 합니다. 지금 여러분이 보고 계시는 분원 백자는, 조선의 마지막 명품 백자들이었던 셈입니다.

비원자기

비원자기는, 말 그대로 비원에서 만들어진 자기입니다. 1911년, 창덕궁 비원에 비원소라는 가마터가 생겼는데요, 그 가마터에서 생산된 자기를 비원자기라고 불렀던 겁니다. 그런데, 비원 자기는 이전 조선시대의 자기들하고는 다른 점이 있었습니다. 일단 백자가 거의 없었습니다. 대부분이 분청사기와 청자들이었죠. 게다가 지금 보고 계시는 것처럼, 크기도 아주 작았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비원자기를 담았던 나무 상자들이 혹시 보이십니까? 여기에 힌트가 있습니다. 상자를 만들었다는 건, 바로 이 자기들을 판매했다는 얘기거든요.

그런데 비원소는 바로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에서 운영하는 가마터였습니다. 그리고, 미술품제작소는 고종이 설립한 공예기관이었죠. 고종은 1908년, 황실의 내탕금으로 이 기관을 설립했습니다.

김은호 [신선도]

인기있는 도교의 선인들이 총망라되서 그려진 인물화입니다. 고종 황제의 만수무강과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그려진 그림인데요, 제일 왼쪽에 있는 마지막 폭에 ‘김은호근서’라고 쓰인 글씨가 보이시나요? 근서는 왕에게 삼가 그려 바친다는 뜻입니다. 이 그림이 황실에 의해 주문제작된 궁중화라는 걸 알려주는 글자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조선시대에 그려진 궁중화에도, 이렇게 화원의 이름이 쓰여졌을까요? 아닙니다. 조선시대의 도화서 화원들은, 그림에 자신의 이름을 쓰지 않았습니다.

옆에 전시된 모란도나 책가도 같은 그림을 보시면 알 수 있을 텐데요, 그렇다면 화가가 이렇게 자신의 이름을 그림에 남긴다는 건 어떤 의미였을까요? 그건 바로, 화가에게 자의식이 생겼다는 뜻입니다. 궁중화가들이 근대적인 예술가로 변모하고 있었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그림 속에도 이런 근대성이 나타나 있는데요, 이 그림에 사용된 표현법을 보시면, 우선 인물들이 매우 선명하고 강한 색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먹을 부은 것처럼 그려서 붓의 흔적을 지은 표현법도, 매우 근대적인 방식입니다.

김규진 [묵죽도]

김규진은 근대 사군자화를 대표하는 화가입니다. 김규진은 여기 전시된 그림들처럼, 서예적인 화법을 이용해서 다양한 묵죽을 그렸습니다. 옆에 걸린 김규식의 사진을 한 번 봐주시겠습니까?
엄청나게 커다란 붓을 들고 있는데요, 이 붓의 길이는 무려 180cm나 됐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퍼포먼스 붓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은 이 커다란 붓은, 바로 근대화가로서 가지게 된 김규식의 자의식을 보여주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순종 황제가 직접 제작을 의뢰해서 완성된 창덕궁 벽화 6점 -m그 그림들을 담은 영상이 전시실 안쪽 섹션에서 상영되고 있습니다. 19세기 말, 우리나라에서는 근대가 싹트려고 꿈틀거리고 있었습니다. 전통의 토대 위에 외국의 것을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가려고 했던 것입니다. 대한제국 황실과 고종은 그 과정에서 근대를 주도하기 위해 애썼습니다.

오늘 저와 함께 한 이번 전시가 여러분에게 잊혀졌던 대한제국의 미술을 돌아보고 알아가는 기회가 되셨기를 바라봅니다.
오늘 제 안내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