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 리-플레이 :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 아티스트 인터뷰 "안기현 + 신민재(AnLstudio)"
2015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 리-플레이 :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 아티스트 인터뷰 "안기현 + 신민재(AnLstudio)"

서울시립미술관
리-플레이: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아티스트 인터뷰 “안기현 + 신민재(AnLstudio)”
2015.10.20-12.13

SeMA
RE-PLAY: 4 PLATFORMS & 17 EVENTS
Artist Interview “KeeHyun Ahn + Minjae Shin(AnLstudio)”
2015.10.20-12.13

작업 소개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진행된 전시 <RE-PLAY| 4 PLATFORMS & 17 EVENTS> 아티스트 인터뷰 영상을 기획, 제작하였다.

우리의 공간은 꼭 직각이나 평평한 면이 아니라 인간의 행위의 범위를 기준으로 곡면과 곡선을 가지고 적용을 하면 좀 더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됐습니다.
– AnLstudio

크레딧 보기

크레딧:

촬영/편집 57STUDIO

서울시립미술관은 ‘포스트 뮤지엄’이라는 비전 아래 관객을 위한 공간, 대중과의 소통, 타 장르와의 협업을 실천해왔다. ‘최근 도시재생정책과 함께 화두가 되는 ‘유휴공간’을 주제로 이를 지역 거점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프로젝트 리-플레이: 4개의 플랫폼 & 17번의 이벤트 를 선보인다. 1980년대 이후 서구에서 등장한 ‘도시재생’이라는 개념은 문화 콘텐츠를 통해 후기 산업도시를 (재)활성화하고, 낙후한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도시문화정책을 포함한다. 국내에서도 2000년대부터 ‘창조도시’의 개념과 함께 유휴시설을 문화와 접목하여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하지만 이러한 오래되고 빈 건물을 활용한 도시재생 과정에서 사용자와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고려와, 이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 및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음을 지적할 수 있다. 관객과 커뮤니티가 직접 참여하고 창작 등 문화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미술관 프로그램과 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이다. 이 전시는 관객이 문화 활동의 주체이자 대상이 되는 문화공간의 모습을 모색하고, 그 작동 가능성을 실험하는 무대라 할 수 있다.

출처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전시소개글

같은 워크숍을 진행하더라도, 워크숍 안에서는 주도적으로 리드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관조하는 입장의 사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워크숍을 진행하다보면 참여 정도에 따라서 워크숍 안에서도 공간적인 레이어 등이 구분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런 과정 속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포지션을 찾을 수 있도록, 그래서 창의적인 부분이나 생각의 다름에 공간들이 반응할 수 있도록, 공간 안에 공간이 들어갈 수 있고 공간과 공간이 겹쳐질 수 있는 경우에는 공간과 공간이 100% 단절되고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관계성을 갖고 있으면서 경계를 구분해 주는 필터링의 역할을 해 주는 벽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완전히 막힌 것이 아니라 시각, 시선, 빛의 환경 등에 대해서는 구획을 해 주지만 워크숍을 하는 프로세스나 과정에 있어서는 공유를 할 수 있는 반투명한 벽면을 제안하게 됐습니다.

이 재료들은 쉽게 분리가 되고, 최소공간에 수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개수만큼을 가지고 공간을 새롭게 만들 수 있는, 재사용과 재활용이 가능하고 어떤 조건이든 크기와 형태를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모듈을 제안하게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