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제교류재단 KF
Shaping the Future Together | 상자루_경북스윙
2020
Client 한국국제교류재단 KF
Project Shaping the Future Together | 상자루_경북스윙

한국국제교류재단
2020 KF-Shaping the Future Together
SOLIDARITY: Be Supportive
상자루_경북스윙
2020

Korea Foundation
2020 KF-Shaping the Future Together
SOLIDARITY: Be Supportive
Sangjaru _ Gyeongbuk Swing
2020

크레딧 보기

Produced by:
Korea Foundaion/한국국제교류재단
Director:
MeeJee Lee
1st Assistant Director:
Kyoungjin Sung
D.O.P:
Sang il Kim
Gaffer:
Dong Ju Kim
Production Team:
Yuchan Oh,
Hoyoon Hwang,
Ha Eun Kim,
Hanna Jung
1st Assistant Camera:
Kim TaeWoo
B camera:
Jung Jae ha
Camera Department:
Jung Won Woo,
Yang Yong Jin,
La Hee Lee
Lighting Team:
Man-hyun Maeng,
Hyun il Kang,
Kwang yong Lee
Dron:
Jong Joo Hong
Sound Operation:
The Veax’s Studio – Baek Jong Sung,
Kim Hye jin
Cast:
Diver
- Young Chae Kim,
Hyun Geun Gu
Location Manager:
CHARLESTOUR IN JEJU
Hair/Make up:
Mi hyoung Kim
Editor/Colorist:
MeeJee Lee
English Translation:
Hyo Gyoung Jeon
Location Shooting:
Jeju Handong ffot Cafe
A Film by
57STUDIO

작업 소개

펜데믹으로 인해 야외 활동이 제한된 상황에서, KF의 지원으로 5명의 아티스트와 함께 평화와 희망, 용기, 그리고 연대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하기 위한 음악 필름을 기획하고 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SOLIDARITY 에피소드는 상자루와 함께하며, 전통 농악에서 영감을 받은 음악으로 펜데믹에 지친 사람들의 마음을 달래고 액운을 쫓는 힘을 담고 있습니다. 제주도의 마을을 돌며 상자루는 밝은 내일을 기원하는 음악을 통해 사람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Amid the restrictions on outdoor activities due to the pandemic, we collaborated with five artists to plan and produce a music film with the support of KF, aiming to deliver messages of peace, hope, courage, and solidarity to the world. The SOLIDARITY episode, created with Sangjaru, features music inspired by traditional Korean farmers’ music (nongak), offering comfort to those weary from the pandemic and conveying the power to chase away bad luck. As Sangjaru travels through Jeju’s villages, their music carries a message of hope, wishing for a brighter tomorrow.

경상도 지역에서 농악을 할 때는 주로 귀신을 쫓거나 어떤 기운 같은 것들을 몰아내기 위해서 저희 선조들이 악기를 치는 행위를 했었는데요.
저희가 경북 스윙을 연주한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과거에 저희 조상들이 이 땅에서 해오던 샤먼적인 역할을 저희가 21세기 샤먼대처럼 이어받아서 하고 있는 그런 느낌을 받습니다.

In the Gyeongsang region, the ancestors often performed nongak [traditional farming music] in order to drive out ghosts or evil spirits by playing their instruments.

경북 스윙이라는 음악은 경북 구미시 무을면에 있는 수다사로부터 전승되어오는 경북 구미 무을농악을 바탕으로 집시 재즈 일부인 스윙이라는 장르와 결합된 음악입니다.

The piece we’ve introduced this time, called Gyeongbuk Swing, has its foundations in Mueul nongak, which comes from Suda Temple in Mueul-myeon in the city of Gumi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e’ve combined it with swing music, a part of gypsy jazz.

경북 무을농악도 사실 다 굿이라고 불리는데요. 이 굿이라고 하는 게 종교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터를 닦아 주고 좋은 기운을 가져오고 연주를 하고 다 같이 사람들이 하나가 돼서 함께 즐기는 그런 의미의 것들을 다 예전에는 굿이라고 불렀거든요.

Mueul nongak, in fact, can be classified broadly as gut [shamanic rituals]. In the past, gut weren’t just performed forreligious reasons. They had many different purposes, such as establishing a foundation, bringing on good spirits, bringing everyone together as one through the music and enjoying time together as a group.

특히 꽹과리나 장구 같은 이런 풍물악기를 친다는 행위 자체를 사람들은 영적인 힘을 갖고 있다고 믿었던 거 같아요.

It seems people tended to believe that the act of playing pungmul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s, especially the kkwaenggwari [flat gong] or janggu [slim waist drum], held a spiritual power.

옛날에 공동체에서 함께 있어야만 할 수 있었던 농악 같은 그런 특유의 문화라고 해야 될까요?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문화들이 점점 보편화되어가고 있는 미래의 속에서 작게나마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들을 보여주고 공동체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들을 느끼게 하는 게 상자루가 앞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Since nongak was only played when people gathered together as a community, could we call this a particularly unique piece of culture? In the future, as that particular, exclusive cultural experience becomes more and more generalized, we think Sangjaru can take on the role of awakening that nostalgia for the past, even if just a little bit, and making the audience want to return to being part of a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