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아트센터 NJP art center
소장품 하이라이트 | 큐레이터와 함께 2: 백남준, 〈TV 첼로〉
2021
Client 백남준 아트센터 NJP art center
Project 소장품 하이라이트 | 큐레이터와 함께 2: 백남준, 〈TV 첼로〉

백남준 아트센터 소장품 하이라이트
큐레이터와 함께 2: 백남준, 〈TV 첼로〉
기획: 정윤회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2021

NJP art center Highlights
Curator’s Take 2: Nam June Paik, TV Cello
Organized by Jung Yunhoe (Curator, Nam June Paik Art Center)
2021

크레딧 보기

제작 :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
기획 : 정윤회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디자인 : 김규호
영상 : 57STUDIO
촬영 : 정원우, 정재하
조명 : 김태우
촬영팀 : 양용진
편집/D.I : 이미지

작업 소개

백남준아트센터는 백남준과 그의 동료 작가들의 작품, 그리고 그의 실험적 예술정신을 계승한 동시대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작품으로 구성된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7STUDIO는 백남준의 대표작인 TV 정원, 참여 TV & TV 왕관,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TV 부처, TV 첼로 등 총 5점을 소개하는 영상을 기획하고 제작하였습니다. 이 영상은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의 글과 해설을 통해 작품의 배경과 의미를 깊이 있게 전달하며, 백남준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합니다.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houses a collection that includes works by Nam June Paik, his contemporaries, and contemporary media artists who carry forward his experimental artistic spirit.

57STUDIO planned and produced a video series introducing five of Paik’s iconic works: TV Garden, Participation TV & TV Crown, Paik-Abe Video Synthesizer, TV Buddha, and TV Cello. These videos provide in-depth insights into the context and significance of the artworks, guided by commentary and writings from the curators of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Through this series, viewers are introduced to the innovative and unique artistic world of Nam June Paik.

백남준아트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백남준 작가의 작품 〈TV 첼로〉를 소개합니다.

〈TV 첼로〉는 크기가 다른 3대의 텔레비전을 쌓아 첼로와 같은 형상을 만든 작품입니다. 백남준은 세 대의 텔레비전 모니터를 해체한 뒤 이를 다시 플렉시 글라스 상자에 넣어서 쌓아 올렸습니다. 그리고 첼로 헤드와 테일피스, 현을 붙여 마치 첼로와 같은 형상을 만들었습니다. 작품 전체의 크기는 약 1.4미터로 일반적인 첼로 보다 조금 큰 정도입니다.

This is Nam June Paik’s TV Cello from the Nam June Paik Art Center’s collection.

TV Cello is a stack of three TV monitors of different sizes, arranged in a cello shape. Paik extracted TV monitors from the casing, put them in plexiglass boxes, and stacked them on top of one another. A cello bridge, tailpiece, and strings were attached to them to form a cello-like instrument. The total height of this piece is 1.4 meters, a little bigger than a standard cello.

Screenshot

위아래 모니터와 가운데 모니터는 각기 다른 영상을 보여 줍니다. 두 영상 모두에는 백남준과 샬럿 무어먼 퍼포먼스 장면과 백남준의 비디오 작품인 〈과달카날 레퀴엠〉 그리고 나체여성 이미지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가장 아래 모니터 박스에는 백남준이 붉은 색과 노란색의 아크릴 물감을 사용해 남긴 서명이 선명하게 남아 있습니다.

The smallest screen in the middle and the larger ones at the top and bottom display different sets of video images, which are composed of extracts from the recorded tapes of Paik and Moorman’s performances, Paik’s video pieces, Guadalcanal Requiem, female nude images, and so on. There is Paik’s signature written clearly in red and yellow acrylic on the bottom box.

백남준이 만든 〈TV 첼로〉라는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현재 10여점 가량 남아 있습니다. 〈TV 첼로〉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1971년 입니다. 당시에 백남준은 1960년대부터 함께 작업해온 첼로 연주자이자 전위 예술가인 샬럿 무어먼의 퍼포먼스를 위해 이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Assumably 10 versions of TV Cello are known to exist around the world. It was in 1971 that Paik first produced TV Cello. Paik produced this work for the performance of Charlotte Moorman, a cellist and avant-garde artist who had worked with Paik since the 1960s.

무어먼은 실제로 〈TV 첼로〉를 연주할 수 있었고 그 때마다 충돌하는 듯한 전자음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이에 반응해서 첼로 모니터의 이미지가 일그러지거나 변형되기도 했습니다. 이 작품이 처음 대중에게 선보여진 것은 1971년 뉴욕의 갤러리아 보니노에서 〈TV 첼로와 비디오테이프를 위한 협주곡〉이 공연될 때였습니다. 당시 〈TV 첼로〉의 화면에는 그 지역의 텔레비전 방송과 녹화된 비디오 자료 그리고 공연 공간을 실시간으로 찍은 이미지 등이 나타났습니다. 무어먼은 첼로의 현을 튕기거나 아크릴 박스를 두드리는 방식으로 첼로를 연주해 화면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This video cello could be played by Moorman, making ear-splitting banging and popping sounds. Responding to the sounds, the images on the screens are distorted or transformed. TV Cello was first shown to the public when Paik’s Concerto for TV Cello and Videotapes was performed at Galeria Bonino, New York, in 1971. During the performance, the TV screens showed live local TV programs, pre-recorded video footage, and a closed-circuit camera’s live feed of the audience. Moorman played the cello, plucking the strings or slapping the acrylic boxes, causing changes to the screens.

백남준아트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TV 첼로〉는 실제로 연주를 할 수 있는 작품은 아닙니다. 처음에 만들어졌던 〈TV 첼로〉와는 달리 백남준아트센터 소장품은 실제 첼로의 부품을 이용해서 만들어져서 조금 더 첼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남준아트센터의 〈TV 첼로〉는 백남준의 미학적 성취를 대변하는 작품인 동시에 관람객들로 하여금 백남준과 샬럿 무어먼의 오랜 협업을 떠올리게 합니다. 무어먼은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전통적인 첼로 교육을 받은 전문 연주자였습니다. 그러면서도 뉴욕 아방가르드 페스티벌을 주최할 만큼 전위예술에 큰 관심을 가졌던 인물입니다. 백남준과 무어먼은 60년대와 70년대에 걸쳐서 여러 공연을 함께 했으며 깊은 예술적 협업 관계를 쌓았습니다.

TV Cello in the NJP Art Center’s collection was not designed to play. Unlike the original version, the one in the NJP Art Center was made out of the parts of a real cello to resemble much more the instrument. TV Cello in the NJP Art Center’s collection represents Paik’s aesthetic achievement and reminds viewers of the long collaboration between Paik and Moorman. Moorman was a professional cellist who studied classical cello at Juilliard. Also, she was so interested in avant-garde art that she organized Annual Avant-garde Festival of New York. Paik and Moorman staged many joint performances in the 1960s and 70s and firmly established a collaborative artistic relationship.

백남준은 정형화된 음악의 관습에서 탈피하고자 음악에 성적인 요소를 도입하려고 했습니다. 물에 흠뻑 젖은 연주자가 등장하는 〈생상스 테마 변주곡〉이나 연주를 하는 이가 옷을 벗어야하는 〈오페라 섹스트로니크〉같은 작품들을 보면 이런 성격이 잘 드러납니다. 백남준은 자신의 작품을 연주하는 퍼포머가 음악을 이해하고 있는 전공자이기를 바랐습니다. 무어먼은 이에 걸맞게 전통 음악과 전위 예술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드문 예술가였습니다.

To escape from the stereotyped conventions of music, Paik intended to bring sexual content to music. This intention was realized when Moorman performed Variations on a Theme by Saint-Saëns with her hair and gown soaking wet or Opera Sextronique in various states of nudity. Paik wanted his pieces played by a professionally-trained musician with the ability to perform music. Moorman, though a traditionally educated musician, was an unusual artist who could embrace both classic and avant-garde music.

백남준은 〈TV 첼로〉를 만들기 이전에도 무어먼을 위한 작품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1969년에 만든 〈살아 있는 조각을 위한 TV 브라〉입니다. 이 작품은 두 대의 3인치 모니터를 가슴에 브래지어처럼 착용할 수 있게 만든 작품입니다. 같은 해 열렸던 《창조적 매체로서의 TV》라는 제목의 전시에서 무어먼은 이 작품을 착용하고 첼로를 연주하며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Paik created a piece for Moorman even before TV Cello, which is TV Bra for Living Sculpture made in 1969. This work consists of two 3-inch TV screens functioning as the cups of a woman’s bra. In the exhibition TV as a Creative Medium in 1969, Moorman wore TV Bra as she played her cello.

무어먼을 위해 만든 작품들에서 백남준은 텔레비전과 신체를 때로는 텔레비전과 악기를 결합합니다. 기계장치가 신체의 일부가 되거나 신체와 함께 움직이는 이런 작품들은 백남준의 표현에 따르면 기술을 인간화한 것입니다. 백남준은 예술과 기술 관계에서 중요한 점은 또 다른 과학적인 장난감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매체와 기술을 어떻게 인간화하는가라고 말합니다. 〈TV 첼로〉는 우리가 기술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인간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질문합니다. 백남준이 음악과 퍼포먼스 기술과 예술을 조합해 만들어 놓은 새로운 장 위에서 우리는 또 다른 가능성들을 시험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Paik created works specifically for Moorman, combining the TV with the body or the TV with musical instruments. These works have mechanical devices that become part of the body or move with the body, which Paik described as a humanization of technology. According to Paik, what matter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is how to humanize media and technology, not making another scientific toy. TV Cello asks how we can use technology by ‘humanizing’ it creatively. We could experiment with another possibility on the new foundation that Paik paved by combining music and performance, technology and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