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아트센터 NJP art center
소장품 하이라이트 | 큐레이터와 함께 5: 백남준, 〈참여 TV〉 & 〈TV 왕관〉
2021
Client 백남준 아트센터 NJP art center
Project 소장품 하이라이트 | 큐레이터와 함께 5: 백남준, 〈참여 TV〉 & 〈TV 왕관〉

백남준 아트센터 소장품 하이라이트
큐레이터와 함께 5:
백남준, 〈참여 TV〉 & 〈TV 왕관〉
기획: 정윤회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2021

NJP art center Highlights
Curator’s Take 5:
Nam June Paik, Participation TV & TV Crown
Organized by Jung Yunhoe (Curator, Nam June Paik Art Center)
2021

크레딧 보기

제작 :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
기획 : 정윤회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디자인 : 김규호
영상 : 57STUDIO
촬영 : 정원우, 정재하
조명 : 김태우
촬영팀 : 양용진
편집/D.I : 이미지

작업 소개

백남준아트센터의 소장품은 백남준과 동료 작가들의 작품, 그리고 그의 실험적 예술정신을 공유하는 동시대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7STUDIO는 TV 정원, 참여 TV & TV 왕관,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 TV 부처, TV 첼로 등 백남준의 대표작 5점을 소개하는 영상을 구성·제작했으며,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의 글과 해설을 통해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설명을 제공합니다.

The collection at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consists of works by Nam June Paik and his fellow artists, as well as contemporary media artists who share his experimental artistic spirit. 57STUDIO planned and produced a video introducing five of Paik’s iconic works, including TV Garden, Participation TV & TV Crown, Paik-Abe Video Synthesizer, TV Buddha, and TV Cello. The video offers in-depth explanations of the artworks through writings and commentary by the curators of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백남준아트센터는 2019년 소장품 하이라이트를 발간한 데 이어 큐레이터가 소개하는 작품 해설 영상을 제공합니다. 백남준아트센터의 학예연구사들은 전시와 학술 프로그램 기획을 통해 쌓은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백남준 작품에 대한 핵심적인 미술사 정보와 더불어 다양한 지식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보다 많은 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제공하고자 합니다. 그 일환으로 제작된 소장품 해설 영상은 백남준아트센터 아카이브의 각종 자료를 더해 흥미롭게 구성됩니다. 큐레이터와 함께 백남준의 예술 세계로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collection highlights in 2019, Nam June Paik Art Center is pleased to present the curator’s video commentary on Paik’s major works from its collection. Building up research capacity through exhibitions and scholarly pro­grams, cura­tors at Nam June Paik Art Center are devoting constant effort to expand a spectrum of knowledge about Paik’s work, alongside art historical information, and to make it more accessible. The commentaries produced for this sake include the interesting materials relating to each work, housed in Nam June Paik Art Center Archives. Please join the curator for exploring Paik’s world.

출처 : 백남준아트센터 홈페이지 프로젝트 소개글

백남준아트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백남준 작가의 작품 〈참여 TV〉와 〈TV 왕관〉을 소개합니다.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백남준에 대한 이미지는 아마도 텔레비전 모니터를 적극적으로 작품에 활용하는 작가라는 점일 것입니다. ‘비디오 아트의 아버지’라는 세간의 별칭처럼 백남준은 화면에 투사되는 비디오 영상 작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텔레비전이라는 새로운 매체 그 자체 역시 동일하게 그의 관심선상에 있었습니다. 텔레비전이 가지는 특성에 대한 백남준의 깊은 탐구가 드러나는 두 작품을 소개합니다. 〈참여 TV〉와 〈TV 왕관〉입니다.

This is Nam June Paik’s Participation TV and TV Crown from the Nam June Paik Art Center’s collection.

Perhaps, Paik’s most famous image would be an artist who actively used TV monitors in his works. As his widely-known nickname “the father of video art” suggests, Paik was much interested in working on video images projected on screens. Furthermore, he had as much interest in a new medium of TV. Here are two works that show how deeply Paik explored the particular qualities of the TV medium: Participation TV and TV Crown

백남준은 1963년 독일의 작은 도시 부퍼탈에 있었던 갤러리 파르나스라는 곳에서 자신의 첫 개인전을 엽니다.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이라는 제목의 이 전시에는 막 서른을 넘긴 젊은 작가 백남준의 생각들이 반영된 흥미로운 여러 작품들이 출품되었습니다. 회로가 조작된 텔레비전들도 그 중 일부였습니다. 갤러리의 방 하나를 차지한 13대의 텔레비전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조작되어 있었습니다. 〈참여 TV〉의 초기적인 개념도 여기에서 탄생했습니다.

Paik had his first solo show at the Galerie Parnass in Wuppertal, a small city in Germany, in 1963. This exhibition, 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featured impressive works by Paik, a young artist in his early 30s, who had groundbreaking ideas. Among them, Paik exhibited electronically manipulated TV sets. Each of the thirteen TV sets displayed in one room was technically manipulated in each different way. It is in this exhibition that Paik presented his rudimentary concept of Participation TV.

〈참여 TV〉는 텔레비전과 마이크로 구성된 작품입니다. 관객들이 마이크에 대고 소리를 내면 모니터에 영상이 나타나도록 장치가 되어있어 관객들이 직접 참여해 작품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구성이었습니다. 백남준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관객의 ‘참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961년에 그가 작곡한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은 관객들이 각기 다른 소리가 들리는 공간들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작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상이었습니다.

Participation TV consisted of two microphones and a television set. The audience could participate in creating artwork by inputting live sound through the microphone, thereby causing images to appear on the screen. Very early in his career, Paik became interested in the audience ‘participation.’ Symphony for 20 Rooms, composed by Paik in 1961, was a score intended for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work by wandering freely between the rooms where various sounds would be produced.

백남준은 텔레비전이라는 매체에도 이와 같은 생각을 적용했습니다. 시청자에게 일방적으로 전해지는 텔레비전의 소통방식을 바꿀 방법을 고민하면서 시청자가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텔레비전을 구상한 것입니다.

Paik applied this idea to the new medium of TV. He considered how to change the TV’s one-way communication, always positioning the audience as recipients, and so invented a form of TV whose screen people could manipulate.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소장하고 있는 〈참여 TV〉는 회로가 조작된 텔레비전과 마이크 이외에도 오디오 제너레이터와 앰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이 소리를 만들어 내지 않아도 텔레비전 화면에서 춤추는 3색의 이미지가 계속해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작품의 핵심은 관객들의 참여에 있습니다. 관객들이 내는 다양한 소리는 전자 신호로 변환됩니다. 그리고 소리의 높낮이와 크기에 따라서 텔레비전 화면에 나타나는 춤추는 패턴의 형태와 크기도 변화합니다.

Participation TV in the NJP Art Center’s collection includes audio generators and amplifiers, besides an electronically manipulated TV and microphones. Using them, people can see tricolor images keep dancing on the TV screen without making sound themselves. Nevertheless, it is audience participation that still lies in the heart of this work. The various sounds made by the audience are converted to electronic signals. According to their pitch and volume, the shape and size of the waving patterns change on the TV screen.

또 다른 작품 〈TV 왕관〉의 화면에도 역시 삼원색의 가느다란 주사선들이 드러납니다. 하지만 〈TV 왕관〉의 패턴은 조금 더 정형화되어 있고 복잡한 규칙성을 보입니다. 춤을 추는 선들의 패턴은 마치 작품의 이름처럼 왕관과 같이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형태를 만들기 위해 백남준은 먼저 텔레비전 내부의 장치를 조작해 화면 전체에 고르게 주사되던 전자빔을 한 곳으로 모았습니다. 그리고 오디오 제너레이터가 만드는 신호를 텔레비전에 입력해서 그 주파수에 따라 전자빔에 패턴화 된 간섭을 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The screen of another video work, TV Crown, also displays patterns made of fine tricolor scan lines. However, the pattern is more standardized and has more complex regularity. Here, the dancing pattern looks like a crown, as the title suggests. To create this shape, first, Paik modified the internal circuits to bring the evenly spaced scan lines together in one place. Then, the signals from audio generators were input into the TV, resulting in patterning intervention in electronic beams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ies.

〈TV 왕관〉 역시 처음에는 관객들이 오디오 제너레이터를 직접 조작해 화면에 나타나는 패턴의 모양과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관객들은 능동적인 시청자이자 일종의 창작자로 거듭나게 됩니다. 관객들은 주사선의 움직임을 눈으로 보면서 그 물리적 속성과 미세한 변화까지도 쉽게 감지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Initially, TV Crown also allowed the audience to control screen images’ shape and movement speed by personally operating audio generators. Through this process, the audience would have been reborn both as active viewers and creators. Watching scan lines’ movement with their eyes, they could have easily perceived even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subtle changes.

〈참여 TV〉와〈TV 왕관〉이 보여주는 관객참여에 대한 백남준의 관심은 1963년의 첫 개인전 이후에도 꾸준하게 이어집니다. 백남준은 이후 1969년 전시 «창조적 매체로서의 TV» 등에서도 〈참여 TV〉를 변주하여 관객들에게 새롭게 선보였습니다. 1971년의 개인전 «전자 예술 III»에 이르러서는 〈참여 TV〉의 개념과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기술을 결합해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관객 참여가 가능하게 했습니다.

Paik’s interest in audience participation, found in Participation TV and TV Crown, continued even after his first solo show in 1963. Paik presented a new variation of Participation TV in his 1969 exhibition TV as a Creative Medium. In his 1971 solo show Electronic Art III, Paik combined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TV and the technology of Paik-Abe Video Synthesizer, making the audience participate more actively and positively.

1969년에 미국 전역에 송출 되었던 백남준의 비디오 작품 〈전자 오페라 1번〉은 “텔레비전을 끄세요” 라는 지시로 마무리됩니다. 텔레비전의 작동을 통해 시청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 여러분이 보시고 있는 이 영상의 창을 닫는 것도 백남준식 참여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는 걸까요?

Electronic Opera #1, Paik’s video work broadcast across the U.S. in 1969, ends with the instruction: “Turn off your TV sets.” Paik encouraged the viewer to participate by operating TV. Then, could it be a form of Paik-styled participation to close the window you are viewing?

《전자예술 II》(1968) 전시 하이라이트 Electronic Art II (1968) exhibition high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