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Commissioned Work
2020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Commissioned Work

서울시립미술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작품영상
2020.8.19 – 12.31

Seoul Museum of Art
Rise Up Rim Dong Sik
Commissioned Work
2020.8.19 – 12.31

크레딧 보기

제작 : 서울시문화본부, 서울시립미술관, 57STUDIO
PD : 서울시문화본부 김호정, 송고운
연출 : 이미지
촬영/조명 : 정원우, 정재하
음향 : 양용진
사운드 감독 : 더백스 스튜디오 백종성
믹싱/마스터링 : 서정혁, 백종성
피아노/Synth : 김세종
기타 : 서정혁
보이스믹싱/fx 레코딩 : 김혜진
편집/색보정 : 이미지
영문 번역 : 전효경
영문 감수 : 앤디 세인트루이스
녹취/자막 : 박지호, 안재영, 오유찬

작업 소개

임동식 작가는 2018년부터 4차례에 걸쳐 자신의 예술 기록 자원을 서울시 문화본부에 기증하며, 서울시립미술관 미술 아카이브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시 문화본부는 그의 기록을 전시로 풀어내어, 자연, 삶, 예술의 통합을 추구했던 그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고, 퍼포머이자 아키비스트로서의 면모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57STUDIO는 이번 전시에서 영상 기획 및 제작뿐만 아니라 전시장 내 전반적인 미디어 프로덕션 협업을 담당하며, 커미션 작품 영상, 작가 인터뷰, 전시 설치 영상 등 전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임동식 작가의 예술 세계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관객들이 그의 작품과 기록에 더욱 깊이 공감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커미션 작품 영상에서는 임동식 작가의 공주 작업실과 인터뷰를 통해, 마을 공동체의 삶 속에서 그의 예술적 근원을 탐구하는 모습을 담아냈습니다.

“’올라가’ 단순한 작업이지만
제 자신을 향해서
뭔가 암시의 말을 던지는 주문과도 같은 거였습니다.
올라가.”

– 임동식

Artist Rim Dong Sik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eoul Museum of Art’s art archive by donating his artistic records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Cultural Headquarters on four occasions starting in 2018. Building upon this, the Seoul Museum of Art and the Seoul Cultural Headquarters presented his records through an exhibition, shedding new light on his artistic philosophy that pursued the integration of nature, life, and art. The exhibition also re-evaluated Rim’s dual identity as a performer and archivist.

57STUDIO played a key role in this exhibition, not only in planning and producing videos but also collaborating extensively on media production throughout the exhibition space. The studio created a range of content, including commissioned artwork videos, artist interviews, and exhibition installation footage, delivering a comprehensive view of Rim’s artistic world.

The commissioned artwork video captured Rim Dong Sik’s studio in Gongju and his reflections, exploring the roots of his artistry within the context of village communities. This approach vividly conveyed Rim’s artistic philosophy, offering audiences a deeper connection and understanding of his works and records.
“Rise up” was a simple task, yet it felt like a mantra, a cryptic message I was directing toward myself.
“Rise up.”

-Rim Dong-sik

Installation View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2020, 싱글채널비디오, 12분 24초, 57스튜디오
Rise Up Rim Dong Sik, 2020, Single channel video, 12 min 24 sec. by 57STUDIO

Commissioned Work


* 이 영상은 57STUDIO 웹사이트 내에서만 재생 가능합니다.
* This video can only be played on the 57STUDIO website.

자연은 보면 볼수록 새로워지고요. 풀 한 포기, 나무 이파리 그런 게 이제 내밀한 관심이죠. 내밀한 관심이 이제 시작되는 것은 마을에서 이렇게 이제 지내다 보니까 더욱더 그런 것이 강화됐고요. 마을 가운데 옛날 탑이 있고 마을 입구에 유구천이라고 일급수, 청정수가 흐르는 냇가도 있고 마을 뒤편에는 정자나무 한 사오백 년 정도로 추정되는 그런 큰 나무도 있고 같이 동행했던 야투의 동료, 이성원 젊은 작가가 시골 마을 실정을 잘 아니까 그 친구가 원골 마을이란 곳을 가보자, 공주에서 차로 한 70km 떨어진 대거든요. 그래서 가 보니까 너무 좋더라고요.

이성원 선생님의 집이 이 그림에서 보면 여기 밑입니다. 여진 이 씨의 종중 땅이기 때문에 이성원 선생님이 승낙을 받아갖고 영구 건물을 물론 안되고 가건물 형태의 어떤 작업장은 지을 수 있다. 그런 허락을 받아서 제가 집을 지어본 사람도 아닌데 똑딱거리면서 집을 지었었는데 너무 재밌었어요. 정말 살아있는 설치미술이죠. 이쪽에 창 내고 이쪽에 또 무슨 창 내고 또 내부는 어떻게 하고 할 때에 계속 매달렸죠. 지금 생각해도 꿈같은 시간이었어요.

수선화를 심었습니다. 총 30평 정도가 넘는데 제가 5800송이까지는 심어봤습니다. 너무 좋아서, 말하자면 밤에 나가더래도 이게 환하게 보여요. 은하수의 별처럼 특히 달밤에는 자신도 모르게 방 안에 있는 게 아니라 여기 나와있는 게 좋아서 아주 어렸을 때 읽었습니다.

희랍의 양치기 소년이 목이 말라서 우물에서 물을 마시려고 고개를 숙여서 들여다볼 때 물속에는 아주 아름다운 소년이 자기를 바라보고 있어서 너무나 그 사람을 만나고 싶어 자기 자신의 물 그림자 인지도 모르고 물에 비친 모습인지도 모르고 우물 속에 뛰어들어 수선화가 됐다, 나르시스적인 이야기 그런 것을 어렸을 때 들었을 때도 자기애의 사람들이 갖는. 자기에 대한 관심 자기에 대한 사랑 이야기 너무나 좋더라고요.

그리고 또 공감 가는 거고요. 나중에 커서 생각하더라도 사실 부처가 되고자 이들도 따지고 보면 자기를 사랑하는 자기애로부터 비롯된 게 아니냐 또 나중에 천국 가기 위해서 교회를 다니고 구원받고자 하는 그런 마음속에 종교를 갖는 이들의 마음에도 그것이 곧 자기를 사랑하는 마음이 아닌가 결국 그림 그린다는 것도 자기를 나타내고자 자기의 뜻을 내보이고자 하는 자기애의 표상이다, 생각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다’하면 태초의 느낌이 많이 들을 것 같아요. 우리나라 해변에서 바라본 바다를 처음 보는 건 75년도에 처음 본 것이지요. 그 느낌은 뭐라고 할까요, 그때 파도가 안 쳐서 그런지 넓게 보이고 아름답게 보이는 넓은 바다가 굉장히 침착하게 보였어요. 그리고 오래전부터 저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 같은 그런 모습처럼 느껴졌고요. 보인다는 것은 정말 보는 사람의 자기 내부의 생각과 에너지를 통해서 보이는 거 같아요. ‘오래전부터 기다렸는데 네가 지금 와서 보는구나.’ 그런 대화가 오가는 듯한 느낌을 이렇게 가지면서 안면도 꽃지 해변의 정경을 보면서 감동했습니다. 너무 좋더라고요. 마치 화석을 캐듯이 뭐가 나올지 모르는 그런 것처럼 말하자면 그림 그리는 행위라던가 야외 현장에서의 퍼포먼스, 그런 것도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가, 본인이 정해지지 않고 잘 알지도 못하는 미지수를 향해서 화석 캐듯이 하나하나 다가가는 게 아닌가, 그런 생각도 하고요.

화석은 지금 이제 동영상을 이렇게 찍고 있지만 동영상에 이러한 장면이 잡히는 것도 가만히 생각하면 화석과의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의 지구가 만든 돌멩이 속에 뭐 조개가 들었건 뭐가 들었건 큰 돌 속에서 공룡의 화석 이런 것이 발견되면 어떤 구체적인 형태와 모양을 담고 있는 게 화석이잖아요. 마찬가지로 사진이라는 것도 필름 속에 그 상이 담기는 거 그 자체에는 이제 돌 속에 사람이 했던 자연이 했던 간에요. 어떤 상이 담긴다는 거에 담겨서 이렇게 기록된다는 거, 보존된다는 거 그런 면에서 이제 공통점이 있는 것도 참 재밌습니다.

지금 제가 손대고 있는 그림은 ‘올라가’입니다. 이렇게 백사장의 봄은 이런 나무토막 같은 것, 이런 것이 장마 져서 떠내려가서 이제 곳곳에 있는 게 있거든요. 그것을 이렇게 세워서 꽂아 놓고 주변에 돌멩이라던가 납작하게 생긴 것, 동그랗게 생긴 것 이런 것을 올려놓고 ‘올라가,’ 단순한 작업이지만 제 자신을 향해서 이제 뭔가 암시의 말을 던지는 주문과도 같은 거였습니다. 올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