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SeMA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My favorite archive : 권정현, 김호정, 유예동, 송고운
2020
Client 서울시립미술관 SeMA
Project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 My favorite archive : 권정현, 김호정, 유예동, 송고운

서울시립미술관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임동식 작업실 : Team1(서울시문화본부 권정현, 김호정, 유예동, 송고운)
2020.8.19 – 12.31

Seoul Museum of Art
Rise Up Rim Dong Sik
My favorite archive : Team1(Seoul Culture Kwon Jeonghyeon, Kim Hojeong, Yoo Yedong, Song Goun)
2020.8.19 – 12.31

크레딧 보기

제작 : 서울시문화본부, 서울시립미술관, 57STUDIO
PD : 서울시문화본부 김호정, 송고운
연출 : 이미지
촬영/조명 : 정원우, 정재하
음향 : 양용진
사운드 감독 : 더백스 스튜디오 백종성
믹싱/마스터링 : 서정혁, 백종성
피아노/Synth : 김세종
기타 : 서정혁
보이스믹싱/fx 레코딩 : 김혜진
편집/색보정 : 이미지
영문 번역 : 전효경
영문 감수 : 앤디 세인트루이스
녹취/자막 : 박지호, 안재영, 오유찬

작업 소개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전시는 커미션 작품 영상, 작가 인터뷰, 전시 설치 영상 등 전시 전반을 담은 영상 콘텐츠를 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My Favorite Archive 영상에서는 임동식의 아카이브 자료를 수집한 아키비스트와 학예연구자들이 다양한 아카이브 중 관객에게 꼭 소개하고 싶은 피스들을 선보입니다. 이 시리즈를 통해 각자의 관점에서 선택한 아카이브가 임동식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흥미로운 단서가 되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Rise Up, Rim Dong-sik
exhibition is a project that produced a variety of video content, including commissioned work videos, artist interviews, and installation documentation. The My Favorite Archive video features archivists and curators who collected Lim Dong-sik’s archival materials, presenting pieces they find significant for audiences. This series highlights how their selections provide intriguing insights into Lim’s artistic world from diverse perspectives.

서울시립미술관은 2020년 8월 19일부터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을 서소문 본관 1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일어나 올라가 임동식》 展은 순수 자연에 대한 강렬한 사랑을 바탕으로 예술 세계를 펼쳐온 한국 자연 미술가 임동식(1945~)의 개인전이다. 2018년부터 임동식은 4차에 걸쳐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2021년 12월 개관 예정)를 위해 서울시 문화본부에 본인의 예술기록 자원을 기증한 바 있다. 이에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시 문화본부는 협업을 통해 197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는 작가의 예술기록 자원을 전시로 풀어내어, 자연, 삶, 예술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평생 끈질긴 퍼포머이자 꼼꼼한 아키비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 온 작가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번 전시는 아카이브와 관련된 본격적인 연구의 첫발을 내딛는 동시에 자연에 쉼 없이 열정적으로 다가가는 과정을 다성적 짜임새를 지닌 예술로 승화시킨 작가 임동식의 방식을 통합적으로 목도할 기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시도가 사유 예술가로 불리길 희망하는 임동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로 이어지고, 향후 서울시립 미술 아카이브에서 전개될 프로젝트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출처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 전시소개글

(유예동)
임동식 아카이브는 크게 8개의 시리즈로 분류가 되어 있는데요.

(권정현)
임동식 선생님께서 워낙 활동 연대도 길고 활동 분야도 다양해서 아무래도 시기별로 구분하는 것이 임동식이라는 작가의 작업 변화상을 이해하기에 용이하다고 생각되어서 결국 시대순을 큰 줄기로 해서 분류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김호정)
저희가 수집한 자료의 총량이 1,300여 건이 되고 DB화된 이미지만 해도 6,000장 정도가 돼요. 그렇게 많은 자료들을 선생님이 수집하는 단계부터 본인이 일일이 검토를 하시고 분류를 하셔서 그런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자료들이 이번에 보여질 수 있을 것 같아요.

(송고운)
임동식 선생님께서 자료를 정리하시면서 이렇게 포스트잇이나 메모로 이 자료가 무슨 자료인지 손수 적어주셨어요. 그 메모들을 보면서 작업을 확인하기가 굉장히 수월했었고 메모해 주신 것을 위주로 다른 자료들을 접목시켜 가면서 확장해 나갔는데 이렇게 선생님께서 자료를 분류하면서 내용을 적어주시는 과정을 50일 정도 거치셨다고 들었어요.

수집을 다니다 보면 자료 소장자마다 자료를 대하는 태도가 다 다르세요. 임동식 작가님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방대한 양의 자료를 갖고 계신데 그 자료를 본인이 통제하고 정리하는 태도를 갖고 계세요. 자료에 대한 기술이 단지 정보를 정확히 기술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지적인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어떤 자료의 경우에는 작가노트처럼 그때 감상이나 예술가로서 어떠한 의도로 작업을 했는지 간단하게 한두 줄 정도의 문장으로 덧붙인 경우도 있었는데요. 임동식 선생님께서 기입한 정보도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서 이러한 정보들이 누락되지 않고 같이 아카이브로 수집되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유예동)
저도 생각나는 부분 중 하나는 처음에 임동식 선생님께서 자료를 보여주실 당시에도 자료들이 랜덤하게 묶여 있다기 보다는 큰 포트폴리오 폴더 같은 것을 갖고 계셨어요. 이미 한차례 그런 자료들을 정리하셨다는 것 자체가 본인의 작업을 어떤 식으로 분류하고 생각하는지 아카이브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 하는 부분들 자기 작업에 대해서 치밀하게 자료들을 모으고 정리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이미 기본적으로 갖고 있었다는 것이죠. 임동식 선생님께서 워낙 열심히 작업을 해주시기도 했고 아카이빙하는 과정 자체가 하나의 아카이브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을 주셔서 메모가 달린 전체를 디지털화하는 방식으로 그 상태로 계속 남겨두는 것으로 아카이빙하기로 정리가 되었습니다.

(송고운)
상단에 달걀을 품고 누워있는 저 작업의 제목은 사실 〈생명의 음을 듣는 동작-심장〉이거든요. 근데 다시 회상하시면서 적으실 때는 〈꽃과 생명에 마음 전달하기〉라고 적어주신 거예요. 이렇게 선생님께서 작업을 되뇌실 때마다 그때 감정을 현재화하면서 제목이 조금씩 바뀌는데 그렇지만 그 감정은 고스란히 전달되는 매력이 있죠. 회화로 작업을 재소환하면서 그리실 때에도 역시 마찬가지였던 것 같아요.

(유예동)
임동식 선생님께서 일전에 자료를 정리하신 적도 있고 어떤 자료들이 있는지 세세하게 알고 계신 상황이긴 했는데 자료를 정리하시면서 새롭게 발견하신 부분도 많이 있으셨던 것 같아요. 기억을 다시 소환하는 과정이지 않았나 싶어요. 자료를 정리하시면서 중간에 쉬실 때 인상적이었던 것들을 묶어서 SNS에 올리는 것이 본인이 쉬어가는 시간이었다고 말씀해 주셨고 아무래도 선생님의 작업을 보시면 예전에 했던 작업들이 다시 소환되기도 하고 다시 여러 가지 매체나 형태를 통해서 재해석 되는 과정들이 켜켜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아마 아카이빙도 그런 작업 성격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지 않았나 싶고요.

(권정현)
임동식 선생님 수집 자료 중에는 독일 유학시절에 진행했던 작업을 주제로 해서 수작업으로 제작한 책자가 10여 권 있는데요, 당시에 했던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작업을 다시 책이라는 형태로 바꿔 제작한 또 다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는 책자들입니다. 저는 이 자료를 보면서 굉장히 인상적이었던 것이 요즘 미술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예술가들이 책을 만드는 방식의 시초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오늘날 작가들이 만드는 소규모 출판 서적에 선구적인 작업이라고 볼 수 있는 동시에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기법들이 쓰여 오늘날 출판 작업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줄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권정현)
퍼포먼스나 설치와 같은 작업을 어떻게 기록하고 남길 것인가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단지 사진으로 보여 주는 데에도 한계가 있고 어떤 텍스트로 기록을 남기는 것에도 한계가 있는데 임동식 작가님은 그러한 문제를 책이라는 형태로 풀어내면서 원본의 퍼포먼스 작업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중심으로 하는 또 다른 작품을 만들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송고운)
선생님께서는 이것을 책이라고 표현하기보다 주로 자료집이라고 지칭하세요. 본인의 작업이 자료와 연동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계셨던 것 같아요.

(유예동)
자신의 작업을 다시 돌아보면서 하나의 아카이브 혹은 자료집으로 남긴다는 것도 창작의 작업으로 순환되는 과정처럼 보였어요. 도록이나 작품집을 낼 때 그 현상을 그대로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아니라 편집과 재조직하는 과정 속에서 다시 하나의 작업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보였거든요.

(송고운)
임동식 선생님 작업이 야회현장미술, 자연미술, 퍼포먼스 등 여러 방식으로 불리는데 자료로 작업이 남게 되고 그것을 어떤 면에서는 반복하는 것이지만 ‘반복’이라기보다는 ‘순환’하는 구조로 보이거든요. 계속 순환하면서 다시 새로운 의미로 현재화되는 과정이 자료집에서도 잘 드러나는 것 같아요.

(송고운)
<Kunstproben(예술시도)>이라는 전시 도록인데, 임동식 선생님과 함부르크 조형예술대학의 같은 반 학생들, 지도교수인 클라우스 뵈믈러(Claus Böhmler) 교수가 함께 진행했던 전시의 도록이에요. 이거에 대해서 선생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이 재미있어서 같이 공유를 해볼까 합니다. 도록 표지 촬영을 언제 어디서 하기로 했는데 선생님께서 날짜와 장소를 잘못 알아들으신 거예요. 친구들이 선생님을 기다리다가 안 오니까 궁여지책으로 <거북이와 함께한 방랑>이라는 작업의 사진을 오려서 배경에 포함 시켜주었어요. 여러 권 만드셨던 자료집이 분실되기도 하고 찢어져서 파편적으로 저희에게 수집되어 있는 상황이었어요. 저희들끼리는 자료집의 페이지 구성이나 다른 도록에 실린 온전한 자료를 보고 유추하면서 다시 정리하는 작업을 거쳤는데 그러면서 이 자료집 안에서 사진이 탈락된 부분을 다시 찾게 되었어요. 양쪽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는 자료의 왼쪽을 보시면 사진이 분명 있었던 자리인데 탈락되고 없었던 거예요. 도록 안에 보니까 저 빈 곳의 사진 이미지가 무엇인지 드러났고 다른 차수로 수집된 사진의 온전한 자리를 찾는 계기가 되었죠.

(김호정)
사진이 하나가 따로 떨어져 있어서 선생님께서 써주신 A4용지 위에 붙은 다른 자료겠거니 생각을 했는데 도록 안에 있는 상세 페이지를 보니까 저 사진이 원래 여기 있어야 하는 자료더라고요.

(유예동)
목록으로는 1,300여 건이지만 실제 자료는 낱장으로 훨씬 많잖아요. 아무래도 수집 자료를 정리하는 과정 자체가 원래 맥락들을 다시 재조합하는 일인 것 같아요. 당연히 수집 과정에서 맥락 정보를 잘 인지하여 가져오면 좋은데 저희에게 자료를 기증해 주신 선생님이나 저희나 제약된 상황에서 진행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 완벽하게 한 번에 정리되지는 못하고 전시라는 좋은 기회를 만나 재정리되고 재맥락화되는 과정이 아닌가 싶어요. 지금 해석된 부분이 전부가 아니라 계속해서 누군가에 의해 덧붙여지고 다시 해석되는 과정으로 변화해가는 것이 아카이빙의 근본적인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