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윤두현
2019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윤두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윤두현 작가의 작업실(인천아트플랫폼)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모습과 전시장 내 설치 과정을 함께 담았다.

윤두현 작가는 밝고 유쾌한 태도로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 대해서 질문하는 작가입니다. 이 작가가 최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재료는 바로 맥 OS의 바탕화면인데요. 이 바탕화면 이미지들을 포토샵으로 압축하고 재조립하고 출력하고 다시 오려 붙이는 이 과정들을 통해서 바탕화면이라고 하는 우리가 가장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이미지들을 낯설고 경쾌하고 즐거운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안녕하세요, 저는 윤두현입니다. 설치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제작하는 방법은 일단 바탕화면을 주로 사용합니다. 바탕화면을 포토샵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변형을 해서 출력을 한 뒤 손으로 자르거나, 다시 출력해서 접거나 아니면 손으로 조각을 만들어서 바로 붙이거나 하는 식으로 작업을 하는데, 디지털과 아날로그 사이를 넘나드는 느낌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Hello, my name is Yoon Doohyun. I mainly work in installation.
My work is usually inspired by a computer desktop screen. The desktop image is manipulated through programs like Photoshop and printed and cut up manually. Sometimes it’s printed out again and folded, or made into sculptures and pasted. I try to give the feeling of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digital and analog.

바탕 화면 이미지는 익숙해서 우리에게는 걷는 풍경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일상에 맞닿아 있는 풍경 같은 느낌이라서 사용하게 되었고 그것으로 이미지를 계속 다른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는 구조체를 만들고 있습니다. 스스로 어떤 제약을 주고 싶지 않고, 이런 과정을 통해 나오는 형태나 이미지가 어떤 것인지 궁금하여 플레이 풀하고 유머러스하게 나타내고 싶어서 이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The desktop images are so familiar that they’re almost like scenes we might see on a stroll. I started using the images because they’re like everyday landscapes. I’m building structures that can keep on reinterpreting the desktop images in different ways. I don’t want to place any restrictions on myself. I’m curious as to what form or image results from such process, and wish to express them in a playful and humorous way.

기하학 쪽이나 픽셀 같은 느낌으로 많이 작업하려 합니다. 단순화되어있는 형태들이 이미지와 거리를 벌리기가 좋습니다. 원래 갖고 있는 이미지를 다른 방식으로 보여 주는 것들이 기하학과 같은 패턴이고, 상징을 제거하고 기하학을 사용하면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속 이런 기하학 형태를 선호합니다. 원래 조각에 관심이 많기도 합니다.

I often try to incorporate geometric or pixel-like feeling to my works. Simple forms are easy to keep distant from the image. I’m continuously drawn to such geometric forms, because expressing the original image in different ways is a geometry-like pattern, and work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when geometry is stripped of symbolism. I’ve always been interested in sculptures as well.

조각들에서 나타나는, 서로 기대는, 텐션을 배치에서 계속 주려고 하고, 조각 안에 무언가를 걸쳐 넣어 구조의 느낌을 주려고 합니다. 공 한 개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 공이 튕겨서 어느 방향으로든 갈 수 있는 길을 계속 만든다고 생각하고 작업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길들이 계속 만들어져서 그 갈래를 계속 벌리는 식으로, 또는 어떻게 보든 사실은 다 상관없게 만들고 싶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방식으로 즐겼으면 좋겠다’라는 느낌으로 하고 있습니다.

I attempt to always give this sense of tension and dependence in sculptural works, and put something inside the sculpture to give it a sense of structure. I imagine a ball. It’s about bouncing that ball, and creating new paths to whichever directions it goes. As these paths are created, the gaps between them keep widening. But also, it might not matter how you look at it. That’s how I want my work to be, to be enjoyed in a wide variety of ways.

이 작업은 감각을 짜내서 하는 것이라서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는 저도 도저히 알 수가 없습니다. 처음에는 즐겁게 나올 뿐이지만, 저는 무조건 한 번 더 만들면 그전보다 좋은 작업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디지털에서의 시간, 디지털에서 가질 수 없는 것들이 어떤 것인가를 고민해보았는데, 무엇이 증발하거나 섬세하게 변하는 것과 같이 우리가 알지 못하는 부분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지구에 관한 다큐멘터리 같은 것들에 관심이 있고 되게 좋아합니다.

Such work demands all of my senses, so I have no idea how long it would take. A work is fun at first, but I do believe that each iteration can create even better work. I thought about what we can’t possess in the digital time and space. I thought this is an unknown area to us, like something ephemeral or delicately changing. I love documentaries on nature. I’m very interested in that sort of things.

거대하고 신비로운 현상들이 여기서는 구현하기가 쉽지 않은, 그런 구조입니다. 컴퓨터는 직선의 회로인 거 같다고 느낍니다. 디지털은 돌아가지 않고, 최초의 디지털이 있으면 위에 계속 쌓이면서 있는, 그 상태 그대로 올드해지는 형태입니다. 근데 자연은 돌아가는 시스템입니다. 이 차이를 이야기해 보고 싶었습니다. 순환 비슷한 느낌일 수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는 수치화를 반대하는 느낌이 강한 것 같아서 작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Such massive, mysterious phenomena are difficult to reenact in this sort of structure. It seems that computers are based on linear circuits. The digital world never circulates, but just keep piling on top of the first digital element. It just grows old, always the same as before. But nature is a circular system. I wanted to address that difference.

조각이 그 공간을 점유할 때 어떤 형태가 제일 좋은지 고민하였습니다. 어차피 점유하는데 얼마나 적은 양으로 얼마나 많이 점유할 수 있을까 함정, 이런 것과 비슷한 것이라 느끼고 있습니다.

I thought about the best form for a sculpture when it inhabits a certain space. I thought how minimal material can inhabit the maximum space. This sort of feels like a trap to me.

사진 | 홍진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