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MMCA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정희민
2019
Client 국립현대미술관 MMCA
Project ✍️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 정희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젊은모색2019: 액체 유리 바다

학예연구사 | 최희승
참여작가 |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
2019.6.20. – 9.15.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Young Korean Artists2019: Liquid, Glass, Sea

Curator | Choi Heeseung
Artist | Keem Jiyoung, Song Min Jung, Ahn Sungseok, Yoon Doohyun, Lee Eunsae, Chang Seo Young, Chung Heemin, Choi Haneyl, Hwang Sueyon
2019.6.20. – 9.15.

작업 소개

정희민 작가의 작업실(인천아트플랫폼)에서 진행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가의 작업 모습과 전시장 내 설치 과정을 함께 담았다.

정희민 작가는 마치 가상현실에서 본 이미지 같은 이미지들을 캔버스로 보여주고 있는데요. 특히 아주 건조하게 발려진 표면과 그 위에 아주 두꺼운 촉촉한 물성을 만나게 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감성을 만들어내는 작가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개의 입 속’이라는 굉장히 추상적인 공간을 설정하고 거기에서 바라본 석양지는 아름다운 풍경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정희민 작가의 그림을 통해서 동시대 회화에 가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 최희승 큐레이터

크레딧 보기

크레딧:

감독: 이미지
촬영: 엄준호, 정원우, 이규연
촬영팀: 강원모, 나영서, 이규빈, 정희영
편집/D.I: 이미지
미디어 설치 코딩: 안재영
사진 : 홍진훤

《젊은모색 2019: 액체 유리 바다》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 프로그램인 ‘젊은모색’의 19번째 전시이다. 1981년 《청년작가》전으로 출발한 《젊은모색》전은 한국 신진 작가들의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 세계를 조명하며, 국내 동시대 미술의 경향과 잠재력을 예견해보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젊은모색 2019》전은 미술관 학예사들의 조사, 연구 및 추천과 다수의 회의를 통해 주목할 만한 신진 작가 9명 김지영, 송민정, 안성석, 윤두현, 이은새, 장서영, 정희민, 최하늘, 황수연을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의 부제인 ‘액체 유리 바다’는 서로 다른 주제와 매체를 각자의 개성으로 다루는 참여 작가 9 명에게서 발견한 공통의 키워드이다. 이는 단어 사이의 틈새 같이 완결된 문장으로 매듭지을 수 없고 특정한 개념으로 정의 내릴 수 없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자유롭고 유동적인 태도를 상징한다. 또한 단단하면서 섬세한 액정유리 같이 현실 안팎의 장면들을 더욱 투명하고 선명하게 반영하는 젊은 작가들의 성향과, 끊임없이 율동하는 너른 바다처럼 미래에도 멈추지 않는 흐름으로 존재하게 될 그들의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하는 9 명의 작가들은 미디어의 이미지, 게임, 브이로그, 스마트폰 앱, 유튜브 등에서 발견한 특성이나 정서를 끌어들여 사회적인 이슈, 시대적인 고민과 정면 대결하기도 하고, 인터넷의 파도에 몸을 맡겨 함께 떠다니기도 한다. 또한 물질과 형태, 신체와 시간, 스크린의 내·외부 등에 대한 탐구를 독자적인 언어로 전개한다. 우리는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힘겹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작가들의 의지와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바로 지금’을 통과하고 있는 우리에게 이번 전시가 세대의 물결을 감지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소개 글

저는 페인팅 작업을 하는 정희민입니다.
주로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들을 평면 위에 풀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표현하고 싶은 어떤 질감이나 느낌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어떤 재료들 혹은 형식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들을 계속 탐구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작업을 계속해 나가기보다는 새로운 재료를 찾고 써보는 것에 더 재미를 느껴서, 이제는 점점 회화에 대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표현 방식에서 벗어난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Hello, my name is Chung Heemin.
I’m a painter, and my work brings experiences from everyday life onto the flat surface. I’m interested in the continuous exploration of certain material or forms needed in order to materialize a certain texture or feelings that I wish to express. It’s more fascinating to experiment with new materials than using the same methodology in my work. So now, I create works that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expressive forms in painting.

왜 출력을 안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가 많고 혹은 이것이 출력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도 많이 받고, 붓질을 하고 싶지 않은지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도 있습니다. 회화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조금 벗어나 있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런 질문들을 많이 받는 것 같습니다.

I’m often asked why I don’t print my work, or if my work is indeed a print. Others also ask me if I wouldn’t want to make brush strokes. I get many questions like that because my techniques deviate from the fixed notions of painting.

공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이고, 그 공간에서 어떻게 연출을 할 것인지 작업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것과도 연결되는 부분이어서 그림을 구상하기 전에 공간에 대한 계획을 세울 때도 있고 어떤 그림을 그릴지 구상하고 나서 공간에 대한 계획을 세울 때도 있는데, 전시를 할 때마다 그 공간의 느낌에 많이 동화되어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I think of space as a very important factor. How the work is shown in the space often makes the work stand out in a good way. So before I compose my image, I sometimes make plans about the space, or do so after thinking about what paintings to create. In every show, I become assimilated into the feel of the space.

캔버스 자체를 하나의 오브젝트로 제시하고 싶은 느낌이 있었고, 전시장 공간 가운데에 캔버스를 세우거나 벽에서 캔버스를 떨어뜨리거나 혹은 가벽이나 이미지 위에 그림을 거는 식의 제스처를 취했었고 그 때부터 ‘발길을 붙잡지 않는 그림’ 에 대해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미디엄을 쓰는 것에 관심이 있고 미디엄을 드러내면서 표현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데 빛도 그런 미디엄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합니다.어떤 공간에 대한 경험을 만들어 줄 때 빛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I wanted to propose the canvas itself as an object. I would prop up a canvas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space, distance it from the wall, or hang it on a fake wall or image. Since then, I began to think about ‘paintings in fluid forms’ I’m interested in using the medium, and expressing myself through it. Light is one of such mediums. I believe that the light is crucial in creating an experience about a certain space.

얼핏 정물화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정물에 대한 것은 아니고 정물이 놓여 있는 어떤 공간을 대한 것인데 이렇게 돌아 돌아 보다 보면 소외감이라는 표현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지금 여기 이 공간에 속해 있지 않은 이상한 이물질이 생긴 것 같은 느낌으로 공간을 봤고, 공간에서 몰입해서 무엇인가를 보는 경험을 써 내려간 것이 마치 꿈처럼 느껴져서 이물질 같은 상태로 있는데 마치 여기에서는 똑같은 하나의 존재가 되는 상상을 했습니다. 내가 그 공간에 속해 있는 느낌을 받을 때 그것이 마치 꿈처럼 느껴지는 유리된 감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It may seem like a still life at a glance, But it’s not about still objects but about the space that holds it. Such circulation brings one to think about the expression of exclusion. For me, space seemed to belong to a different time and space and when I became absorbed into that space, it felt like a dream. I imagined becoming one same existence. It’s about the sense of disconnection one has when it feels like they belong to a certain space, and that feels like a dream.

물질이라고 하는 것을 표현하기에는, 이 부분은 제가 계속 갱신을 해 나가야 되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눈이 크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느낌을 최근에 많이 받고 있습니다. 영상적인 것과 비주얼한 생동감에 눈은 적응을 해나가는데 비해 이것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그 속도를 못 따라잡는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이 어디까지 표현이 될 수 있는 것인가’그런 고민들을 하고 있습니다.

An observation I keep on thinking about repeatedly is that, to express what’s called material, we cannot catch up with the speed at which the eyes are growing. The eyes are adapting to the vividness of video and the visual. I feel that rendering this through material cannot catch up with its speed. To what extent can I express what I wish? That’s a question I ask these days.

사진 | 홍진훤